2003년으로 기억을 한다. 태풍 매미가 한반도를 할퀴고 자나갔다. 당시 인명피해는 사망과 실종 132명에 이재민이 61천 명에 달했다. 재산피해만도 당시 화폐기준으로 47천 억 여원에 달하는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태풍 매미가 지나갈 즈음을 전 후로 해 난 강원도 지역을 다녀왔던 것으로 기억이 난다.

 

201398일 경에 태풍 매미가 생성되었다는 발표를 들으면서 강원도로 향했던 기억이 난다. 난 강원도 속초나 양양을 갈 때는 원주에서 고속도로를 내려 회성으로 가쳐 청일면과 서석을 지나게 되는 19번 국도를 늘 이용한다. 서석에서 오대산을 지나는 명개를 거쳐 구룡령을 넘어 속초비행장 앞을 지나는 길을 이용하고는 했다.

 

이 길은 아마 나처럼 많이 다닌 사람은 사업을 하는 사람이거나 그 곳에 거주하는 사람 말고는 없을 것이다. 그만큼 이 길을 자주 다녔다. 우선은 길이 아름다워서 좋고, 가다가 계곡을 들어갈 수 있는 길이기 때문에 즐겨 다녔다. 매미가 영동지방에 하루에 400mm가 넘는 폭우를 쏟고 가기 전에도 이 길을 이용했다.

 

 

달라진 마을들에 놀랐던 기억이

 

지금은 그때의 악몽이 다 지워진 듯하다. 당시 매미가 휩쓸고 지나간 며칠 후 다시 이길을 들어섰다. 그런데 산사태로 인해 집이 완파가 된 집들과 물에 떠내려 온 차량들이 구겨진 휴지조각처럼 변해 있었다. 개울가에 서 있는 아름다운 집이 몇 채가 다 사라졌다. 길은 끊어지고 전신주는 자빠져 개울 가운데 처박혀 있었다.

 

지금도 그 당시를 기억하면 온 몸에 소름이 돋는다. 그처럼 처참하게 변해버린 길을 지나갔다. 그런데 그 길 가운데 닥 한 마음이 아무런 피해를 입지 않았다고 누군가 이야기를 했다. 어떻게 그럴 수가 있을까하고 생각을 했지만, “저 마을(춘당리)은 피해를 당하지 않았데요. 아마 장승님들이 도왔나 봐요라는 말을 들었다.

 

그 당시에도 춘당리를 지날 때는 당집 앞에 잠시 차를 세우고 그 발치 아래서 잠시 고개를 숙이고는 했다. 그리고 서낭당을 지나오다가 다시 길 우편에 있는 장승 앞에서 또 한 번 고개를 조아리고는 했다. 오랫동안 민속을 연구해 온 나로서는 당연한 행동을 한 것이다. 특이할 것이 없는.

 

 

춘당리 장승과 서낭당을 돌아보다.

 

그런데 이번 길에서는 이상한 것을 보았다. 서낭당 아래 장승과 누석탑이 있다. 분명 따로 있던 것인데 말이다. 내 기억이 잘 못 된 것인지, 정말 헷갈린다. 계단을 따라 서낭당 위로 올라가 보았다. 문이 걸려있다. 예전에는 이렇게 갈려있던 적이 없었는데. 문 앞에 걸어놓은 안내문구를 적은 쪽지를 보니 이해가 간다. 한 마디로 무당들이 이곳에 들려 함부로 서낭을 더럽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안내문 - 성황당은 마을에서 신성시하는 곳으로 예의를 다해야 함에도 개인적으로 활용함에 여러 문제가 있어 통제하오니 정성을 드리고 싶은 분은 아래 연락처로 전화주세요. 춘당2리 이장 010-53○○-10○○>이라고 적어놓았다. 전화를 걸어 안을 들여다보고 싶었지만 이렇게 비기 오는 날 이장님께 폐를 끼치고 싶지가 않아 발길을 돌렸다.

 

 

2011년에 장승을 옮겨 한 자리에 모아

 

장승공원을 조성한 것은 현 춘당2리 함영길 이장이다. 이장으로 부임하고 난 후 장승과 서낭을 한 곳으로 모아 놓는 것이 바람직하단 생각에 떨어져 있던 탑과 장승을 서낭당 앞으로 옮겨 놓았다고 한다. 18일 춘당리를 지났지만 함영길 이장과 연락을 못하고 있다가, 22일이 되어서야 겨우 전화로 인사를 나눌 수 있었다.

 

저희 춘당2리는 정말 태풍 매미 때 산에서 집중 호우에 떠내려 온 나무들로 조금 벽들이 망가지기는 했어도 큰 피해는 하나도 없었습니다. 저희 장승공원에는 서낭당과 장승을 모셨는데 서낭당에 제의는 매년 음력 2월 초하루에 마을 부락계에서 주관을 합니다. 그리고 장승제는 머슴날이라고 하는 음력 백중일(음력 715)에 마을에서 주관을 하여 잔치를 벌입니다.”

 

춘당2리는 현재 83호 정도가 되는 마을이다. 19번 국도를 따라 조성된 마을 중에서는 적지 않은 마을이다. 아직도 장승제와 서낭제를 끔찍하게 모시고 있는 강원도 횡성군 청일면 춘당2. 다음 이 19번 국도를 달려 구룡령으로 향할 때는 반드시 서낭당 문을 열고 제대로 서낭신에게 예를 올려야 할 것 같다.


울산 울주군 두서면 구량리 860에 소재한 천연기념물 제64호인 울주 구량리 은행나무는 아픔의 나무다. 이 은행나무는 수령이 550년 정도가 되었으며, 조선 초기에 이지대 선생이 심은 나무라고 전해진다. 이지대 선생은 고려 말기의 정치인인 익재 이제현 선생의 4세손이다. 선생은 이 나무를 한양에서 갖고 와 연못가에 심었다고 한다.

현재 나무 앞에는 한성부 판윤인 죽은 이공의 유허비가 서 있다. 현재는 연못은 사라지고, 주변이 논밭으로 변해버렸다. 이 나무는 마을의 정자목으로 밑 부분의 한쪽이 썩어있다. 구량리 은행나무의 둘레는 8.4m 정도이며, 높이는 22.5m이다. 이 나무는 2003년 태풍 매미 때 부러져 나무의 한쪽이 사라져 버렸다.


한성판윤을 지낸 이지대 선생

이지대 선생은 조선 태조 3년인 1394년에 경상도 수군만호로 있을 때, 왜구가 탄 배를 붙잡았다. 그 공으로 인해 한성판윤까지 벼슬이 올랐다. 그러나 1452년 수양대군이 김종서 황보인 등을 죽이고 안평대군까지 강화로 유배를 보내자, 벼슬을 버리고 이곳으로 내려왔다고 한다.

구량리 은행나무가 있다는 안내판이 보인다. 7번 국도에서 나무가 서 있는 구량리까지 찾아가는 길은 버거웠다. 그러나 하나의 천연기념물을 볼 수 있다는 생각에 걸음을 재촉한다. 마을 옆 논 한가운데 서 있는 은행나무는 한편을 지지대로 받쳐 놓았다. 아마 그 쪽이 매미 때 훼손이 된 곳인가 보다.



은행나무의 위용에 눌리다.

은행나무 한 그루가 주는 감동을 받아 본 적이 있는가? 나무를 보는 순간 나에게 밀려 온 것은 바로 위엄이었다. 나무의 크기도 그렇거니와 한쪽 편이 잘려나갔음에도 그 위용이 여전하다는 것이다. 감히 이 자연 앞에서 누가 함부로 이야기를 할 수 있을까? 나무 앞에 선 한성판윤 이지대 선생의 유허비도 색다르다.

구량리 은행나무를 보면서 자연은 스스로 치유를 한다는 말이 생각난다. 태풍 매미에 상처를 입고서도 푸른 잎이 무성히 달려있다. 그런 아름다움이 더욱 가슴을 뛰게 한다. 스스로 치유를 하고 550년 세월을 버텨 온 구량리 은행나무. 그 모습을 보고 있노라니 참으로 인간이 하찮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 나무에 대한 또 다른 전설은 없었을까? 마을 주민들에게 은행나무에 대해서 물어보았다.

태풍 매미에게 한편을 훼손당한 구량리 은행나무

한성판윤 이공 유허비와 제단석

아들을 점지하는 은행나무

“어르신 저 은행나무를 마을에서 위하지는 않나요?”
“왜요. 마을에서는 저 나무를 신성시 하죠”“저 나무에 전설은 없나요?”
“저 은행나무를 훼손하면 그 사람은 해를 입어요. 그래서 저 은행나무 주변에는 사람들이 잘 들어가지 않아요”
“또 다른 전설은 없나요?”
“아들을 낳지 못하는 여인들이 저 은행나무에 가서 아들을 낳는다고 하죠”

아들을 점지하는 구량리 은행나무. 태풍에 가지가 찢어지는 아픔을 스스로 치유를 한 나무에는, 많은 사연이 전하고 있다. 천연기념물이 있다면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이유 중 하나이다. 그 곳에는 항상 전설 같은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기 때문에.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