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창일(배재대 교수·한국사)은 ‘송병준’을 친일매국노 제1호로 꼽았다.


「송병준은 한말에 현감, 군수 등을 역임하였고, 통감부가 설치된 후에는 통감부 권력을 등에 업고 농상공부대신, 내무대신 자리에 올랐다. 또한 합병 후에는 일본의 백작까지 지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출생과 성장 배경 등은 베일에 가려져 있어 전모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사전류에는 그의 행각과는 걸맞지 않게 단편적이고 소략하게 기술되어 있다.


그는 1857년(1858년이라고도 하나 실제는 1857년이다) 8월 20일 함경남도 장진에서 태어났다(태어난 곳도 장진이 아니라 서울의 기생집에서 태어난 뒤 아버지가 장진으로 데려갔다 한다). 아버지는 장진군의 속사인 송문수이고, 생모는 기생으로 덕산 홍씨라고 한다.

 


부친 송문수와 본처(제주 고씨) 사이에는 자식이 없었으나, 너댓명의 첩을 두었기 때문에 송병준에게는 배다른 동생이 셋이나 있었다. 송병준이 어렸을 때, 아버지 송문수는 일가를 이끌고 경상도 추풍령 부근에 내려와 정착했다. 서자로 태어난 송병준은 적모 밑에서 심하게 구박을 받으면서 자랐는데, 여덟 살 때 어머니로부터 도둑질 혐의를 받고 쫓겨나게 되었다.


이때부터 그에게는 새로운 삶이 펼쳐진다. 집에서 쫓겨난 송병준은 동학교도(송병준은 동학 2대 교주인 최시형을 만났다고 술회하고 있으나 믿어지지 않는다)라 칭하는 일단의 도적떼에게 구출되어 3개월 가량 쫓아다니다 헤어진 후, 도둑질과 문전걸식으로 연명하였다. 하루는 참외를 훔치러 갔다가 참외밭 주인에게 들키게 되었는데, 도리어 주인이 불쌍하게 여겨 함께 살게 되었다.

 

 

 


얼마 후 주인이 참외를 팔러 서울로 올라갈 때 함께 가게 된 송병준은 우연히 민씨 세도가인 민태호(고종의 외숙, 민영환의 양부)의 눈에 띄어, 그의 애첩 홍씨 집에서 일하게 되었다. 후일 송병준은 이 홍씨를 자기의 생모라고 말하고 있지만 이는 그가 자기 출신을 미화하기 위해 꾸며 낸 거짓말이었다.」


강교수의 글 송병준에서 첫 단락 ‘배신과 사기의 배후’에 소개한 글이다. 1884년 갑신정변을 일으킨 김옥균을 살해하려고 일본에 건너갔으나, 도리어 설득당하여 그의 동지가 되었다. 1886년 귀국하여서는 김옥균과 통모한 혐의로 투옥되었으나 민영환의 주선으로 출옥, 흥해군수와 양지현감 등을 역임하다가 정부가 체포령을 내리자 다시 일본으로 피신했다.

 

 


하늘과 역사는 용서하지 않는다


그 뒤의 그의 행적은 일일이 소개를 하지 않기로 한다. 다만 그 송병준이 용인 양지에 살 던 집이, 현재는 남양주시 평내동 궁집 옆에 자리를 하고 있다. 원래 용인에 있었던 집을 후손들의 몰락으로 매각한 것이다. 이 집을 그대로 옮겨와 복원하였다 하여, 이곳에서는 이 집을 ‘용인집’이라고 부른다.


용인에 이 집이 있었을 때는 그 세도가 나는 새도 떨어트릴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역사는 그렇게 녹녹치가 않다. 그 세도가의 몰락은 결국 집까지 남의 손에 넘어가고, 몰락한 세도가의 상징으로 전혀 관계가 없는 남양주로 이건하었다. 참으로 세상을 살면서, 왜 인간이 올곧게 살아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집이다.

 

 


좋은 집이다. 하지만 이 집에서 살고 싶지는 않다.


용인집은 구한말의 가옥이다. ㄴ 자로 꾸며진 사랑채와 행랑채, 그리고 ㄱ 자로 꾸민 안채가 합해 튼 ㅁ 자형으로 조성하였다. 집 앞에 놓인 석물들도 모두 용인에 있던 것을 그대로 옮겨왔다는 것을 보면, 당시 이 집의 세도를 알만하다. 이 집은 아마도 송병준이 용인 양지현감을 지낼 때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에 중문을 바라보고 좌측으로 꺾인 행랑채와 우측의 사랑채가 ㄴ 자 형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사랑채 우측 끝에는 한 칸을 앞으로 덧달아 누정을 만들었다. 창문이 모두 유리로 되어있는 것을 보아, 당시 세도가들의 집 꾸밈을 알 수 있다. 구한말에 지은 집들에서 이런 유리문이 자주 보이기 때문이다.

 


안채는 안마당을 지나 ㄱ 자 집이다. 8칸 팔작지붕으로 지은 안채는 잘 조형된 장대석으로 기단을 쌓고 그 위에 집을 올렸다. 방과 대청, 부엌 등을 고르게 배치한 것이나, 치목과 석재 등을 사용한 것으로 보아서 당대의 재능이 뛰어난 장인들이 지은 집이란 것을 알 수가 있다.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그 동안 만난 200여 채의 고택. 용인집은 집 그 자체로는 정말로 좋은 집이다. 하지만 이 집에서는 절대로 살고 싶지가 않다. 이 집에서는 나라를 팔아넘기려고 한 매국의 냄새가 짙기 때문이다. 또한 수많은 사람들의 피냄새가 난다. 그래도 이 집을 돌아보는 것은, 역사는 준엄하다는 것을 세상 사람들에게 알려주고 싶기 때문이다. 그것도 제헌절인 7월17일에 돌아보았다는 것이 더욱 의미가 갚다.


동헌은 고을의 수령이 집무를 보는 곳이다. ‘전주부’라고 하면, 지금의 전주시청을 말하는 것이고, 동헌인 풍락헌은 현재 전주시장의 집무실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 전주부 안에는 ‘내아’라고 하는 살림집인 안채가 자리하고 있다. 내아는 동헌에서 서쪽에 자리를 한다고 하여 ‘서헌’이라고도 부른다.

조선시대 전주부영에는 형방청(현재의 법원이나 검찰청과 같은 곳), 장방청(현재의 감옥), 군기고, 장청, 작청(6방의 청사로 지금의 각 실과에 해당), 사령청, 통인청, 관노청, 관청(지금의 식당) 등의 수많은 관아 건물이 있었다. 그러나 현재의 전북도청에 해당하는 전라감영과 전주부영의 관아 건물 가운데 남아있는 것은 유일하게 이 동헌뿐이다.


수많은 환란을 겪은 전주동헌

전주 동헌의 명칭은 풍락헌, 또는 음순당이라고 불렀다. 이는 전라도 관찰사가 집무를 맡아보던 전라감영의 선화청과 상응하는 관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전주부의 임무를 관찰사가 겸임을 했기 때문이다. 전주부의 실무는 중앙에서 파견한 판관이 맡아했다. 이럴 정도로 전주부의 임무가 중요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원래 전주부는 조선조 초에 청사를 마련한 것으로 『완산지』에 기록하고 있다. 건물이 오래되어 낡고 퇴락해 무너진 것을, 판관 서노수가 개건을 했다. 그 후 고종 27년인 1890년에는 화재로 소실이 되기도 했다. 다음 해 판관 민치준이 중창을 한 것을, 1934년에 일제가 강제로 철거하여 매각을 결정했다.

이로 인해 자칫 사라지게 될 전주 동헌을 전주 유림인 유창근 선생이 구입하여,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로 옮겨 전주 유씨의 제각으로 사용을 했다. 영원히 그 흔적조차 없어질 뻔한 전주동헌은 이렇게 그 명맥을 보존하게 되었으며, 2007년 전주시의 노력으로 유인수 선생이 제각의 건물을 전주시에 쾌척을 하게 되었다.

파란만장한 환란을 겪은 전주동헌은 전주시의 개청 60년인 2009년에 전주로 다시 돌아왔으며, 이는 전주를 떠난 지 75년 만이다. 당초 정면 7칸이던 전주 동헌은 한 칸이 줄어든 6칸의 제각을 지었으나, 철저한 고증작업을 거쳐 원형 그대로 복원하였다. 현재 새롭게 조성이 된 전주동헌은, 전주시 완산구 교동 28번지 전주향교 옆에 자리하고 있다. 부속 건물로는 동헌인 풍락헌을 비롯하여, 내삼문, 안채, 중간채, 사랑채로 꾸며져 있다.




당당한 전주 동헌 풍락헌

아직 일반인에게 공개를 하지 않은 풍락헌이다. 마침 KBS드라마 <성균관 스캔들>의 촬영 때문에 잠시 열려있는 풍락헌을 돌아보았다. 풍락헌은 여느 동헌보다도 그 규모가 당당하다. 정면 7칸, 측면 4칸으로 지어진 건물은 장대석으로 기단을 쌓고 그 위에 건물을 지었다. 주추는 원형의 밑이 넓고 위가 좁은 돌을 사용했으며, 그리 높지 않게 두었다.

기둥은 보수를 한 자욱이 여기저기 보인다. 풍락헌을 바라보면서 좌측 3칸은 방을 드렸는데, 맨 끝의 방은 누정과 같이 툇마루에서 돌출을 시켜 꾸몄다. 누마루를 깐 대청은 모두 4칸으로 창호는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였다. 뒤편의 문도 창호로 내어 멋을 더했다. 방의 뒤편에는 깊게 아궁이를 내었으며, 굴뚝은 건물에서 조금 떨어져 있다.



당당하게 복원이 된 풍락헌. 아마 이렇게 당당한 건물이 전주 유씨들의 제각으로나마 남아있었다는 것에 대해 다행이라 여겨진다. 일제에 의해 강제철거가 되어 매각이 될 뻔한 전주 동헌. 다시는 이런 아픔을 당하지 않기를 바란다. 하마터면 소중한 우리의 역사의 현장이 영영 우리 곁을 떠날 뻔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