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무안군 무안읍 성동리에서 이건한 대가집

한국민속촌 안에 들어가면 몇 채 안되는 와가 중 하나가 제9호 집이다. 남부지방의 대가로 불리는 이 집은, 전남 무안군 무안읍 성동리에 있던 대가집을 그대로 한국민속촌으로 이건을 한 집이다. 이 집은 가옥 전체에 누마루와 툇마루 등이 고르게 배치가 되어있어, 호남지방의 특유의 집의 형태를 알아 볼 수가 있다.


이 집의 전체적인 꾸밈은 튼 ㅁ 자 형이다.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ㄷ 자 형의 안채가 자리하고 있으며, 좌측에는 ㄱ 자형의 사랑채가 있고, 우측에는 l 자형의 광채가 자리하고 있다. 거기에 문간채가 한편을 막고 있어, 전체적인 모습은 큰 ㅁ 자가 된다. 이 집의 특징은 집이 상당히 큰 집인데도 불구하고, 아기자기한 면이 돋보이는 집이다.

누마루의 여유, 대가 집의 특징

집안은 한꺼번에 다 소개한다는 것이 가끔은 버거울 때가 있다. 특히 ‘고래등 같다’고 표현을 하게 되는 집들은 대개가 그 안에 이야기도 많은 법이다. 그러다 보면 몇 번으로 나누어야 그 집의 모습을 제대로 소개할 수가 있을 듯하다. 한국민속촌의 9호 집 역시 그러한 집 중 한 곳이다.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좌측에 놓여있는 사랑채. 아마 이 집이 대개집이 아니라고 해도, 이런 사랑채 한 채를 갖고 있다면 세상 부러울 것이 없을 듯하다. 한편을 ㄱ 자로 달아내어 누마루를 놓았다. 누정과 같이 주추위에 기둥을 놓고 땅에서 떨어지듯 조성을 했다. 말은 사랑채의 누마루방이지만, 그대로 정자가 되는 그런 형태이다.

집안 여인들의 편의를 돕는 동선

누마루정에서 사랑채로 들어가는 앞으로는 길게 마루를 놓았다. 그리고 그 마루로 인해 모든 방에 연결이 되어진다. 이 대가집의 사랑채는 방을 앞뒤로 나누어 들인 것도 특징이다. 누마루 정자 뒤편으로도 마루를 놓고, 그 안편으로 방을 드렸다. 두 개의 방을 이어놓았으며, 그 다음은 다시 마루를 놓고 두 개의 방을 또 앞뒤로 드렸다.




그리고 부엌은 안채쪽의 사랑채 뒤편에 드리고, 부엌을 드나드는 곳 역시 안채 쪽에 가깝게 붙여놓았다. 이렇게 안채에서 쉽게 사랑채의 부엌을 이용할 수 있게 만든 것은, 안주인이 아랫사람들을 시켜 사랑채에 불을 떼거나 손들을 접대하기 쉽도록 배려를 한 것으로 보인다. 즉 여인들의 동선을 최대한으로 짧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안채를 보호하는 작은 배려도 돋보여

전남 무안에서 옮겨 온 이 대가집의 사랑채는 왜 방을 앞뒤로 놓았을까? 외부에서 방으로 들어갈 수 있는 입구는 앞, 뒤로 되어있다. 그리고 그 앞쪽의 입구는 집의 주인이 주로 사용을 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뒤쪽에 자리한 방은 입구를 따로 꾸며 놓았을까? 별도로 방으로 출입을 할 수 있도록 해놓았다.



이렇게 안채를 바라보지 않도록 방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바로 집안 여인들이 불편하지 않도록 배려를 한 것으로 보인다. 즉 사랑채에 외간 남정네가 묵더라도 안채의 여인들이 신경을 덜 쓰도록 한 것이다. 사랑채에 딸린 부엌도 안채에서 가깝게 한 것이나, 부엌을 출입하는 별도의 길을 마련한 것들도 모두 여인들을 위한 동선을 생각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택 한 채를 돌아보는 즐거움. 그 집의 형태를 그냥 지나치지 않고, 그 모양새를 찬찬히 살펴본다면 그 집안만이 갖고 있는 재미를 느낄 수가 있다. 그래서 고택답사가 즐거운 것이기도 하고. 아무튼 이 호남 대가집의 사랑채, 그동안 수많은 탈렌트들이 이곳에 발을 디뎠다. 일일이 열거를 할 수 없을 정도라고 하니, 이 집 민속촌으로 옮긴 덕에 별별 향수내를 다 맡는 듯하다.


난 원래 택시를 잘 안타는 편이다. 예전에야 택시를 타고 한반도의 반도 돌아다녔다. 그런데 지금은 하는 일이 어린이 구호단체 NGO에 있다 보니, 택시를 탈 돈이면 아이들에게 몇 끼 밥을 따듯하게 먹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정말 급한 일로 택시를 탔다. 30분 정도 타고가면서 아이들에게 괜한 미안함이 앞선다. 그런데 택시기사분이 질문을 한다.

“요즈음 텔레비전 보세요?”
“예 뉴스와 다큐멘터리는 봅니다.”
“드라마는 안보세요?”
“예, 저는 드라마는 잘 안 보는데요. 왜요?
“왜 안보세요?”
“드라마 같은 것은 별로 보고 싶지가 않아서요. 그런데 왜 그러세요?”
“하도 어이가 없어서 그렇습니다.”

집밖에서 집이라고 하는 아내

새벽에 집을 나서면 밤늦게나 집에 들어가는 직업의 특성상, 하루에 몇 번씩 집에 전화를 걸어 안부를 묻고는 하는 것이 일과였다는 기사 분. 그런데 하루는 집 앞에서 전화를 걸어 있느냐고 물었더니 당연히 집이라는 대답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어차피 점심시간도 되었고 해서, 집으로 들어가 점심을 먹고나가려고 생각을 하게 되었다고.

그러나 집에 들어가 보니 집에 있다던 부인이 보이지 않더란다. 다시 한 번 전화를 걸어 어디냐고 묻자, 이번에도 역시 집이라는 대답. 전화를 착신을 시켜 놓고 집밖에서 집이라고 대답을 했다는 것이다. 기사 분은 어이가 없어, 여기가집인데 무슨 집이냐고 화를 냈더니 전화를 끊어버리더라고.

얼마 후에 집으로 들어온 아내를 보니 자신이 한 번도 보지 못한 야한 옷에, 화장까지 야하게 하고 있더라는 것이다. 도대체 어디를 갔다 왔느냐고 고함을 질렀더니, 친구들이 하도 가자고 졸라 성인 '○○택'인가를 다녀왔다고. 도대체 그곳이 어떤 곳인지를 몰라 무엇을 하는 곳이냐고 따져 물었다고 한다. 부인이 한 대답은 그저 춤추고 노는 곳이라고.

“그래서 그 곳을 가보셨나요?”
“예, 정말 거길 가서보고 많이 놀랐죠. 그때부터 아내에 대한 불신이 생겼습니다.”
“왜요?”
“알고 보니 한 두 번이 아니었던 같아요. 들어가니 여기저기서 아는 체들을 하는 것을 보면”

드라마에서 보고 배웠다고.

도대체 왜 참했던 사람이 그런 곳을 다니게 되었는지 궁금해서 물었다는 것이다. 부인의 대답은 날마다 하는 드라마를 보면 여자들이 딴 남자하고 데이트도 하고, 여기저기 놀러도 다니는 것이 많이 보여 호기심에 한 번 갔다 온 것이 재미를 붙였다고 한다.

“요즘 방송사라는 곳은 불륜조장이나 하는 곳입니까?”
“방송이라고 다 그럴리가요.”
“아닙니다. 저도 쉬는 날 방송을 여기저기 돌려보지만 배울 것이 없어요. 그야말로 방송이 무슨 불륜공화국 같아요. 저도 운전을 하지만 정말 어떤 때는 별 여자 분들이 다 있어요.”
“그래도 사람들이 그런 것을 본다고 다 그렇게 하는 것은 아니잖습니까?”
“생각해 보세요. 주부들이 아침에 남편 출근하고 나면 소일거리로 볼 수 있는 것이 TV드라마인데, 거기서 만날 막장 드라마나 보여주면, 그것이 머리속에 안 박히겠어요. 그러다가 보면 따라해 보고 싶기도 하겠죠. 저희 집사람도 텔레비전을 보고 그런 곳을 다니게 되었다는데요.”

글쎄다. TV가 문제가 많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그것을 보고 배웠다는 말은 이해가 가질 않는다. 누구나 다 보는 TV인데 왜 그분만 그렇게 되었을까? 택시에서 내리면서도 한 동안 생각을 해본다. 나야 드라마하고는 아예 담을 쌓은 사람이니, 어떤 내용인줄도 모르겠다. 그러나 가끔 지나치면서 보게 되는 드라마는 정도가 지나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방송에서 그런 것들을 자꾸 조장하는 것 아닙니까? 사람들이 무엇을 보고 베우나요? 매번 하는 일이 뉴스고 무엇이고 딸을 성추행했다, 어느 녀석이 부모를 때렸다는 이런 것들만 신이 나서 떠들어대니 무엇을 배우겠어요. 방송이 이런 것을 꼭 내보내야 하느냐고요”

점점 울화가 치미는지 소리가 높아진다. 괜히 내가 잘못이라도 한 것 같은 느낌이다. 방송이라는 것이 무덤덤한 것들을 하면 시청률이 오르지 않을 테고, 시청률이 나쁘면 광고가 붙지를 않을 테니, 말초신경을 자극하는 그런 장면이 빠질 수야 없다. 그러나 그렇게까지 천편인률적인 막장은 좀 고려해보아야 할 것도 같다. 방송의 힘이라는 것을 안다면 말이다. 그 기사분의 말이 결코 빈 말이 아니기 때문이다. 누구나 무료한 시간을 보내다가 보면 그런 생각을 한 번 쯤은 해봄직 하기에.

“왜 답사가 어렵다고 생각을 하세요?"
“어렵죠, 날도 안 좋은데. 가만히 앉아서도 글은 쓸 수 있잖아요?”
“저는 앉아서 쓰는 그런 글을 쓸 줄 몰라요”
“아니 한 때는 방송국에서 일도 하셨다면서요?”
“예, 그러기는 했죠. 그래서 더욱 더 방송에 대한 글은 쓸 수가 없어요.”

아는 분이 전화를 하셨다. 늘 블로그를 보고 있다는 분이다. 그런데 이런 대화를 주고받았다. 그 분은 나를 보고 바보 같은 짓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 마디로 남들처럼 약지 못하다고 퉁명스레 이야기를 한다. 남들처럼 약은 짓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홍성군 홍주성 안에 소재한 여하정

난 내 길을 가렵니다. 그냥 놓아두세요.

언젠가도 그랬다. 죽어라하고 발품을 팔고 적지 않은 경비를 들여서 글을 쓰면, 이건 만날 저 꽁다리에서 허우적거리기가 일쑤다. 하루 종일 방문객이라고 해보았자. 고작 100명 안팎이다. 슬그머니 열도 뻗치고 성질 급한 내가 참기도 어려워, 가끔은 불쾌한 이야기를 내뱉기도 했다. 그러나 대안이 없지 않은가?

배운 것이 무엇이라고, 내가 할 일은 그것뿐이다. 그리고 판단은 그것을 운영하는 분들이 알아서 하면 된다. 한 사람이 들어와도 좋단 생각이다. 그저 꼼꼼히 글을 읽고, 그것으로 인해 우리 문화재에 대해 조금만 이해를 더 해줄 수만 있다면 만족한다. 무엇이 더 필요할까? 여기저기 광고를 붙이는 것도, 다 부질없음을 알고 있다. 어차피 방문객도 저조한 블로그에 무슨 딱 부러진 수입이 있을 리가 없지 않겠는가?

원주 부론면 정산리에 있는 석장승. 눈이 쌓여도 답사는 계속된다.

푸념은 늘 즐겁답니다.

난 가끔 이렇게 푸념을 늘어놓는다. 아마 그것마저 하지 말라고 한다면, 열이 뻗칠 수도 있다는 생각이다. 요즈음 우리들은 우리의 문화재나 전통문화에 대해서는 참으로 남의 것을 들여다보듯 한다. 그런데 비해 드라마나 연예인의 이야기에는 많은 관심을 보인다. 그러다가 보니 그런 기사를 메인에 띠우고. 그것으로 더 많은 사람들을 불러 모으는 수밖에 없다. 그것이 영업이다. 영업은 당사자들의 고유권한이다. 이러쿵저러쿵 침범을 해서는 안 된다.

“그래도 연예기사는 TV만 보고도 쓸 수 있잖아요?”
“아뇨. 그것도 무지 노력을 해야 합니다. 머리도 아프고요”
“그래도 그런 것을 쓰셔야 득이 될 텐데요.?”
“그 득이라는 것이 도대체 무엇을 말씀하시는 건데요?”
“....”

괴산 삼방리 마애여래좌상. 눈길에서 죽을 뻔한 일도 수 십차례이다.

물론 그 득이란 수입을 말하는 것인 줄도 안다. 하지만 난 그것보다는 내가 좋아하는 문화재를 답사하고, 그것을 잘 다듬어 글을 쓰는 것이 좋다. 그동안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책을 쓴 것이 20여권이 넘는다. 하지만 돈을 벌기 위해서 쓴 것은 단 한 권도 없다. 그저 한 사람이라도 더 우리 것에 관심을 가져 주었으면 하는 바람 때문이다. 문화재란 우리의 정신적인 지주이기 때문에, 오늘도 그 줄을 놓지 않으려는 혼자만의 아집일 수도 있다. 하지만 누군가 해야 할 일이라면 그것이 나이길 바란다.

이번 답사에도 비가 오네요!

답사를 하는 날이 다 좋을 수많은 없다. 어떤 날은 국지성 호우가 쏟아지는 날에도 강행군을 해야만 한다. 때로는 태풍이 오는 날 답사를 나갔다가 길까지 잃은 적도 있다. 눈이 발목을 넘어 무릎까지 차 있어도 들어가야 한다. 때로는 길이 사라진 곳도 있다. 그래도 들어간다, 그것이 답사의 어려움이자 묘미이기도 하다.

한강의 발원지 검룡소로 들어가는 길. 한 겨울이라고 답사를 멈추면 무슨 글을 써야할까?

이번 답사에도 비를 만났다. 이 계절이면 늘 만나는 비다. 이젠 그 비도 반갑다. 함께 동행을 할 수가 있으니. 차라리 비가 내리는 날이 더운 날 몸에서 쉰내가 나는 것보다는 좋지 않을까? 그렇게 답사를 하고 정리를 해서 글을 쓴다는 즐거움은, 해보지 않은 사람은 알 수가 없다. 그런 행복이 있어 남들이 들려주질 않아도 답사를 계속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항상 갓 찌어낸 찐빵처럼 따끈한 기사를 쓰기 위해서.

송강 정철이 속미인곡을 집필했다는 담양 송강정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