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화된 문명을 받아들이기 시작한 조선조 말기부터, 일제강점기의 강압적인 우리문화 말살정책으로 인해 수없이 사라져간 우리의 풍속들. 그 안에는 상원일이라고 하는 정월 대보름의 놀이들이 있었다. 공동체를 창출하고 마을과 마을 간의 단합을 일구어 낸 수많은 놀이들이, 단지 옛것이나 미신이라는 폄하로 인해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사실 정월 대보름은 우리민족에게는 4대 명절 증 하나였다. 설날, 추석, 동지와 함께 정월대보름을 큰 명절로 잡은 것이다. 이렇게 정월 대보름을 큰 명절로 잡은 이유는 정월 초사흘부터 시작한 각종 공동체놀이들이, 정월 대보름을 기해 마무리를 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정월 초하루에 설을 쇤 사람들은 초이틀은 귀신 날이라고 해서 근신을 하다가, 하늘에서 평신(平神)이 하강한다는 초사흘부터 지신밟기 등 각종 놀이를 즐기기 시작한다.

 

두레싸움은 서로 상대마을의 두레기에 달려들어 꼭대기에 꽂힌 꿩장목을 빼앗는다

 

3일부터 시작하는 대동놀이들

 

음력 초3일되면 각 마을마다 두레패가 집집마다 돌아다니면서 지신밟기를 한다. 지신밟기는 마을마다 한 집도 빠짐없이 다니면서 고사덕담(告祀德談)’인 축원을 해주는데, 문굿서 부터 시작을 해 우물, 마구간, 부엌, 장독대 등을 돈 후 대청에 마련해 놓은 고사상 앞에서 덕담을 한다.

 

고사덕담은 그 집이 일 년 동안 안과태평하기를 바라는 축원굿으로 일 년 간의 액을 막아내는 홍수풀이부터, 농사가 풍년이 들기를 바라는 농사풀이 등 창자의 능력을 따라 다양한 소리를 한다. 지신밟기를 마치면 대청에 마련한 술과 떡을 나누고 난 뒤, 고사상에 올려 진 쌀과 돈을 갖고 다음 집으로 향한다. 그 쌀과 돈은 마을의 기금으로 사용을 하는 것이다.

 

예전에는 집집마다 먼저 지신밟기를 하기 위해 풍물패를 집안으로 끌어들였다고 하니, 우리민족은 정월에 하는 놀이가 풍농과 안과태평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믿음이 있었던 것만 같다. 이렇게 마을을 돌면서 지신밟기를 하던 두레패들이 길에서 만나게 되면, 상대방에게 먼저 기를 숙여 인사를 하라고 소리를 친다. 그러다가 급기야 상대 두레기의 기의 상단에 꽂힌 꿩장목을 뽑게 되는데, 이것이 정월에 열리는 '두레싸움'이다.

 

두례싸움에서 먼저 꿩 장목을 빼앗긴 마을은, 상대방의 마을을 '형님마을'로 일년간 대우를 하게 된다. 그리고 이긴 마을에서는 빼앗은 꿩장목을 기에 함께 달고 다니기도 했다. 진 마을에서는 일 년 동안 장목이 없는 두레기를 들고 다녀야만 한다. 

 

수원 고색동 코잡이 놀이( 사진 / 이용창)

 

풍요와 다산을 상징하는 줄다리기 

 

음력 정월 14일 밤이나 보름날 마을에서는 줄다리기를 벌인다. 줄다리기는 풍농과 다산, 마을의 안녕 등을 기원하는 기원성 대동놀이이다. 이 줄다리기는 처음부터 큰 줄을 갖고 줄다리기를 하기도 하지만, 처음에는 마을마다 작은 새끼줄을 갖고 줄을 당기고, 진 마을의 줄을 이긴 마을 줄에다가 더하게 된다.

 

그 줄을 갖고 이웃의 이긴 마을끼리 서로 줄다리기를 하면 조금 굵은 줄이 된다. 그것이 또 다른 마을과 시합을 하면서 자꾸만 더해져, 나중에는 얌용과 숫용이라는 거대한 줄이 된다. 이 줄을 암용의 용두는 넓게 하고, 숫용은 가늘고 뾰족하게 제작한다. 이 숫용의 용두를 암룡의 용두에 밀어 넣어 비녀라고 부르는 장목으로 고정시킨다.

 

이렇게 제작된 용을 당기게 되는데, 줄을 당기게 되는 이유와 용도는 마을마다 차이가 난다. 어느 곳은 여자와 남자로 나누어 당기기도 하는데, 이 때는 여자가 이겨야 풍농이 든다고 한다. 다산과 풍농이 필요한 시기에 나타난 속설이다. 또 이 줄을 마을 입구에 놓아 액을 막거나, 줄을 이용해 보를 막기도 한다. 어느 곳에서는 이 줄에 액송기를 꽂고 물에 떠내려 보내, 모든 액을 막아내기도 했다.

 

우리고장 고색동에는 코잡이놀이라고 하여 줄다리기가 전해졌다. 한 때 중단되었던 고색동 줄다리기는 인근 12개 마을에서 풍물패가 모여들어 장관을 이루었다고 한다. 삭전(索戰)이라고도 부르는 줄다리기의 기원은 아주 오래전에 기인한다. 고색동 줄다리기도 언제부터 시작하였는지는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무척 오래전부터였던 것으로 보인다.

 

1796년 수원 화성의 축성 이후에는 양반과 평민이 나누어 줄을 당겼다고 전해지고 있는 고색동 줄다리기는, 일제 강점기는 1960년대 까지도 전승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의동 길마재줄다리기 역시 영통구 길마재와 용인시 수지의 사람들이 모여들어 줄다리기를 하였다. 남자들은 동쪽 줄인 숫줄을 잡고 여자와 이이들은 서쪽 암줄을 당겼는데, 결과는 늘 암줄이 이겼다고 한다. 이는 여자들이 풍요와 다산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장치기는 겨우내 움츠렸던 몸을 활달하게 하기 위한 놀이였다

 

한 겨울의 움츠려든 몸을 푸는 장치기

 

장치기는 마상유희인 격구에서 비롯했다고 한다. 정조대왕 당시 펴낸 <무예도보통지>의 무예 24기에도 마상무예 중 격구가 포함되어 있다. 격구는 고려조에 들어서 여자들도 즐겼으나, 너무나 요란한 치장으로 인해 중지를 시키기도 했다. 그러한 격구가 민간놀이로 변하게 된 것이 장치기라고 본다.

 

장치기는 간단하게 공을 몰고 다니는 이라는 나무막대와, 소나무공이나 짚을 이용해 만든 얼레공만 가지면 누구나 즐길 수가 있다. ‘얼레공치기라고도 부르는 장치기는 수원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193121일자 <동아일보>는 서탄면 황구지천에서 전국의 32개 남여 팀이 참가한, '전 조선 얼레공대회'가 열렸다고 보도했다. <동아일보> 사보 124일자부터 30일자까지에는 수원군 양감면 용소리 앞 냇가에서 얼레공대회를 개최한다는 예고가 실렸으며, 참가할 각 팀의 선수는 5명으로 한다고 하였다.

 

양감면 용소리 앞 냇가에서 열기로 한 전조선얼레공대회에, 구경꾼들이 너무 많이 몰려들어 장소를 서탄면 황구지천으로 이동을 했다는 것이다. 예전 수원은 장치기를 재현시켜 전국민속경연대회에 참가하기도 했다. 한 겨울동안 움츠려들었던 몸을 풀고, 봄을 맞이하여 농사를 지을 힘을 비축하기 위한 놀이로도 많이 이용을 한 것이 장치기였다.

 

액송기를 꽂은 줄을 강물에 띄워보내는 액송의식 

 

그 외에 사라진 놀이

 

정월 열나흘이 되면 마을의 공터에 달집을 세운다. 대나무와 솔가지, 짚을 이용해 쌓은 달집은 보름을 맞아 농사를 짓기 전에 해충을 없애는 기능을 갖기도 했지만, 그보다는 해동(解冬=겨울을 녹인다)’의 뜻이 더 깊다. 쥐불놀이와 함께 대보름을 맞이하기 전에, 모든 재액을 태워버린다는 속설을 갖고 있기도 하다.

 

사람들은 라는 짚단으로 만든 것을 손에 들고 있다가, 달이 뜨기를 기다려 제일먼저 달이 뜬 것을 본 사람이, ‘망월(望月)이여를 외치면서 달집으로 달려가 불을 붙인다. 달맞이를 할 때는 임산부인 여자가 먼저 보면 남자아이를 낳고, 병자가 먼저 보면 병이 완쾌된다고도 한다. 처녀가 먼저 보면 시집을 가고, 총각이 먼저 보면 장가를 간다고도 한다.

 

달집태우기(사진 / 이용창)

 

이렇게 다양한 우리들의 상원일의 놀이는 이 외에도 마을과 마을이 벌이는 횃불싸움이나, 수원의 여러 마을에서 나타났던 석전(石戰=돌싸움), 그리고 일 년 동안 건강한 몸과 다리를 튼튼하게 한다는 다리밟기 등 많은 놀이가 전해지고 있었다.

 

정월 보름날 아침에는 연에다가 서원을 적거나, 집안의 애환을 적어 날려 보내는 액연날리기도 있었다. 이렇게 다양한 정월 대보름의 놀이들은 모두가 풍농과 풍어, 마을의 안녕, 가내의 안과태평 등의 속성을 지니고 있었다. 우리민족은 그 안에서 공동체를 창출했으며, 놀이를 하면서 이웃과 하나가 되는 우리라는 단단한 결속력을 다졌던 것이다.

 

그러나 작금에 들어 재현이 되는 많은 놀이들을 보면서, 그 안에 내재되어 있는 사고는 사라진 채 단순히 보여주기 위한 전시성민속이 되어가는 것이 안타깝기만 하다. 우리민족의 상원일의 놀이는 단순한 연희가 아닌, 그 내면에 깊은 사고를 지닌 놀이였기 때문이다.

이제 며칠 후면 정월 대보름이 된다. 정월 대보름은 우리민족에게는 절기 이상의 의미가 있는 날이다. 정초부터 시작한 정월의 각종 놀이가 이 날로 인해 대부분 끝이 나기 때문이다.예전에는 정월달에 각 마을에서 지신밟기 등을 하다가 서로 이웃의 기를 만나게 되면 힘을 겨루는 '두레싸움'을 하고는 했다. '

 

두레'란 농촌에서 농사일을 함에 있어서, 공동으로 같은 연배의 구성원끼리 공동작업으로 노동력의 배가를 위한 공동체 조직이다. 예전에는 이 두레마다 풍물패와 두레를 상징하는 기가 있었는데, 대개는 '農者天下之大本'이라고 쓰고 두레명칭을 적는다. 농사일을 공동으로 하러 나갈 때는, 이 두레기를 앞장세우고 풍장을 치면서 이동을 한다.

 


 

두레에 농기는 늘 있게 마련이지만, 그렇다고 풍장이 꼭 있는 것은 아니다. 대개 두레 성원들이 자신들의 농사일을 마치고나면, 공동으로 두레 성원이 아닌 집의 농사일을 해주고, 그 삯으로 받은 돈을 이용해 풍장을 마련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두레조직은 마을마다 있었으며, 그 두레조직을 상징하는 두레기는 각별한 위함을 받는다.

 

두레조직의 상징 두레기

 

막고 밀치면서 서로 먼저 장목을 뺏는 두레싸움

서로가 기를 뺏기위해 밀치다가 넘어지기도. 보는 사람들도 난리다.


두레기는 두레조직이 이동을 할 때는 반드시 앞에 세운다. 이 두레기의 권위는 절대적이다. 만일 마을에 지체가 높은 양반이 살고 있으면, 그 마을의 두레기를 만나면 가를 숙여 먼저 인사를 하기도 한다. '안성 남사당'의 농기에는 옥관자를 달고 다녔다. 이는 바우덕이 패가 경복궁을 중수 할 때 참가를 하여, 많은 노역자를 위한 즐거움을 주었다고 해서 대원군이 특별히 옥관자를 내린 것이다.

 

안성 남사당의 기를 '옥관자 기'라고 불렀으며, 모든 기는 안성 남사당 기를 만나면 먼저 기를 숙여 인사를 하고는 했다. 두레기는 농사일을 할 때는 논두렁에 꽂아 놓는다. 만일 이 기를 쓰러트리면 마을이 불상사가 생긴다고 하여, 여간 조심을 하지 않았다. 두레기를 함붕로 다루거나 눕힌다던가 하는 일도 절대 해서는 안 된다.

 

정월 곳곳에서 벌어지는 두레싸움

 

심하게 서로가 몸을 부딪기 때문에 때로는 부상자가 속출하기도 했다.


정월이 되면 각 마을마다 두레기를 앞세우고, 풍장을 치고 나간다. 지신밟기며 정월 보름을 기해서 하는 많은 민속놀이에는 풍장을 곁들이게 되고, 그 풍물패의 앞에는 두레기가 서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이 두레기를 앞세우고 길놀이를 하던 마을의 풍장패들이 서로 만나면, 먼저 상대방에게 길을 비키고 기수를 숙이라고 난리를 피운다.

 

길을 먼저 비켜주고 자신들의 기를 먼저 숙이며 상대방을 높이는 것이기 때문에, 절대 한 치의 양보가 없다. 이렇게 승강이를 하다가 급기야는 상대방의 두레기에 달려들어, 두레기의 맨 위에 달린 꿩 장목을 뺏는다. 장목은 두레기 중에서도 가장 높은 위치에 있다. 그래서 이 장목을 뺏기면, 큰 수치로 안다. 한번 꿩 장목을 뺏기면 그 해 일 년 동안은, 장목을 뺏어간 마을기에 먼저 인사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남한강 둔치에서 재현된 두레싸움

 

보는 이들은 생동감이 있다. 두레기의 맨 위에 달린 장목을 뺏기면 일 년동안 뺏어간 기에 먼저 인사를 해야한다.


두레싸움을 할 때는 부상자가 속출하기도 한다. 그것은 서로가 상대방의 기에 달라붙어 기를 쓰러트려야 하기 때문이다. 막는 자와 뺏으려는 자가 한바탕 난리를 치다가 보면, 부상자가 생기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2월 27일 오후 여주 남한강 둔치에서 열린 대보름 한마당. 이곳에서는 군인들이 시범을 보인 두레싸움이 벌어졌다.

 

양편에 황룡기와 흑룡기가 서고, 그 앞에 각 마을 20명의 군인들이 서로 상대방 기에 꽂힌 장목을 뺏기 위해 두레싸움을 벌인 것이다. 젊은 군인들이라 서로 상대방의 기에 쫒아가고 막는 두레싸움은 보는 사람들조차 함성을 지르고 난리를 편다. 다칠 것을 염려해 손은 뒷짐을 지고 어깨로만 상대방을 밀고 들어가도록 했으나, 서로 부대가 달라서인가 최선을 다하는 모습들이 보는 사람들까지 열광케 한다.

 

기를 지키려고 막다가 내동댕이쳐지는 병사. 얼른 쫒아가 장목을 뺏어 승리를 하겠다고 달려가다가 제풀에 미끄러지는 병사. 거기다가 제 자리를 지키고 있어야 할 두레기마저 도망을 가는 바람에 온통 웃음바다가 되었다. 젊은 병사들이 보여 준 우리 전통 민속 한마당으로 인해, 대보름 한마당은 흥이 최고조에 달했다.

 

정월이 되면 어디서나 볼 수 있었던 두레싸움. 이제는 그러한 아름다운 놀이들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 마음이 아프다. 전통은 구시대의 산물이 아니라, 새롭게 변화하면서 발전을 하는 것이다. 우리의 많은 공동체의 모체가 되었던 놀이들. 이제는 새롭게 조명이 되어야 할 때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