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 산재한 수 많은 고택 답사를 하면서 기억에 남는 것은 참으로 많다. 어디는 사랑채가 너무 멋이있어 그곳을 떠나기가 싫을 정도였는가 하면, 집 안에 자리한 정자의 아름다움에 매료가 되어 몇 시간을 늘어지게 자고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그 많은 고택들을 둘러보면서 늘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었다. 그것은 많은 글들이 올라오지만 정작 집을 들어서기 위해서는 꼭 거쳐야 하는, 대문에 대해서는 한 마디도  언급이 없었다는 점이다.

대문은 집안의 귄위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 집의 대문을 보면 그 집안의 내력을 대개는 이해할 수가 있다. 하기에 대문은 그 집을 돌아보는데 있어, 가장 먼저 만나게 되지만 그만큼 눈여겨 보아야 할 곳이기도 하다. 어딜가나 만나게 되는 많은 고택들. 과연 그 대문은 어떤 모양을 하고 있을까? 대문을 만나보기로 하자.

중요민속자료 제196호 충남 아산 윤보선 전 대통령 생가

솟을대문은 위엄있는 사대부가의 상징


솟을대문이란 중앙에 높게 지붕을 올리고 그 양편을 낮게 만든 대문을 말한다. 이 솟을대문은 대문 양편을 얼마나 크게 조성을 하느냐에 따라서 그 집안의 내력을 가늠할 수도 있다. 대개는 지방의 세도가와 양반가의 대문에 즐겨 사용을 했으며, 솟을문 옆으로는 하인들이 묵는 문간채와 헛간, 마굿간, 광채 등이 함께 자리를 잡는다. 솟을대문의 모습은 어떤 형태인지 살펴보자.





맨 위는 논산시 상월면 주곡리에 소재한 충남 민속자료 제7호인 이삼장군 고택 대문이다. 이삼(1677~1735) 장군이 이인좌의 난(1728)을 평정한 공으로, 영조로부터 하사 받아 지은 집이다. 이 대문은 기단을 높게 쌓고 그 위에 솟을대문을 두었다. 대문 옆으로는 하인이 사용하는 문간방을 들이고, 그 굴뚝을 대문 밖으로 빼냈다. 헛간과 마구간이 있는 비교적 단아한 형태의 대문이다.

두 번째는 충북 음성에 있는 중요민속자료 제141호인 김주태 가옥의 솟을대문이다. 이 대문은 사랑채에서 내려다 본 안쪽의 모습이다. 김주태 가옥은 약 300년 전에 이익이 세운 집이라고 전하지만, 안채는 19세기 중엽에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이 솟을대문은 마을의 길과 같은 높이로 놓이고, 대신 사랑채가 3단의 축대를 쌓고 그 위에 자리하고 있다. 대문의 양편은 모두 광채로 사용을 하고 있으며, 밖에서 대문의 우측을 보면 쪽문이 있다. 즉 아랫사람들은 대문을 열지 않고 출입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세 번째는 전북 정읍시 산외면에 소재한 중요민속자료 제26호인 김동수 가옥이다. 99칸의 대저택인 김동수 가옥의 솟을대문은 전국의 고택 중에서도 그 규모가 큰 대문이다. 이 대문채에는 방과 광, 마구간 등이 나열되어 있으며, 끝 부분은 꺾어서 ㄱ 자 형태로 꾸몄다. 김동수 가옥은 집 밖에 호지집이라고 하는 별채를 둘 정도로 지역에서 대부호로 꼽히는 집이기도 하다.

맨 아래는 경주의 독락당 솟을대문이다. 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계곡가에 자리하고 있는 독락당은 보물 제413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독락당은 옥산서원 뒤편에 있는 사랑채를 말한다. 이 집은 회재 이언적 선생이 벼슬을 그만 두고 고향에 돌아온 뒤에 거처한 유서 깊은 건물이라고 한다. 독락당의 솟을대문은 화려하지가 않다. 그저 중앙을 높이고 양편을 낮게 해 담을 판벽으로 하였다. 선생의 심성을 그대로 닮았다는 생각이다.

솟을대문의 극치 함양 정여창 가옥



솟을대문의 극치는 경남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의 중요민속자료 제186호인 일두 정여창 고택(정병호 가옥)에서 만날 수가 있다. 일두 정여창 선생은 조선조 5현의 한 분으로, 이 집은 선생이 타계한지 1세기 후에 후손들에 의하여 중건되었다. 3,00여평의 대지가 잘 구획된 12동(최초에는 17동이라고 전한다)의 건물이 배치된 남도 지방의 대표적 양반 고택으로, 솟을 대문에는 충. 효 정려 편액 5점이 걸려 있어 눈길을 끈다. 

초가가 정겨운 작은 대문

기와에 주로 나타나는 대문은 솟을대문이 주를 이룬다. 이것은 그 집의 위세를 떨치고자 하는 뜻도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신분의 차이가 뚜렷한 조선조에서는 이러한 대문의 형태가 곧 그 집안의 가세와도 관계가 지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집안과 관계없이 초가에 묻혀 세상을 살아간 반가의 사람들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이런 집들은 대개 작은 일각문을 사용하는데, 기와집에서도 이런 형태는 보이고 있다.


충북 제천시 금성면 월림리에는 중요민속자료 제148호인 정원태 가옥이 있다. 이 집은 초가로 지어졌으며, 초가집에서는 가장 큰 사랑을 갖고 있다. 그 사랑 옆으로 작은 초가로 이은 일각문이 있는데, 이 문이 안채로 들어가는 대문의 구실을 한다. 옛날에는 바깥 담장이 있고 그 곳에 대문이 있었는지는 정확지 않으나, 현재 이 집에서 살림을 하는 분들의 이야기로는 이 초가 일각문이 대문이라고 하다. 조선시대에 지어진 정원태 가옥은 남도지방과 중부지방의 가옥의 형태가 습합되어 있다.


별다른 문이 없는 너와집

집은 여러 형태로 지어진다. 그 지역의 지리적 특성과 살고 있는 사람의 신분에 따라 달라진다.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신리에 가면 중요민속자료 제33호로 지정이 된 너와집이 있다. 굴피나무를 잘라 지붕을 인 이 너와집은 '느에집' 혹은 '능에집'이라고도 부른다. 이 집들은 따로 대문이 나 있지가 않다. 집 자체가 간단한 구조로 꾸며지기도 하지만, 대개는 화전민들의 집이기 때문에 집 안에서 모든 일을 다 보아야 한다. 그래서 집안으로 들어가는 문 자체가 대문의 역할을 한다.


가장 아름다운 대문은 사람에게서 나온다.

가장 아름다운 대문은 어던 것일까? 솟을대문도 아니고, 기와나 와가의 대문도 아니다. 대문은 그 집을 드나드는 곳이다. 그 문으로 사람도 드나들고, 수 많은 생활에 필요한 것들이 들어가고 나간다. 하기에 그 문으로는 그 집의 모든 복락이 드나드는 곳이라고도 한다. 전국의 많은 집을 찾아다니면서 만난 가옥 중, 가장 인상에 남는 집은 증평에 있는 연병호 생가이다.

증평군 도안면 석곡리 555번지에는 충청북도 기념물 제122호로 지정이 되어 있는, 연병호 생가가 자리하고 있다. 독립운동으로 집안을 제대로 돌보지 못한 연병호 선생은, 오직 나라의 앞날만을 생각하다가 일생을 마친 분이다. 제헌과 2대 국회의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선생이 자손들에게 남겨준 것은 아무 것도 없이 단지 다 쓰러져 가는 집 한채 뿐이다. 

 

석곡리 마을 길 한편에 자리 잡은 연병호 생가. 돌로 쌓은 축대 위에 담장을 두르고 계단으로 오르면, 싸리문이 손을 맞이한다. 이 싸리문이야 말로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대문이란 생각이다. 이 문은 평생을 나라만을 생각하다가 세상을 떠난 연병호 선생이 드나들던 문이기 때문이다. 답사를 하면서 만나게 되는 수많은 문들. 그 문에는 제각각 그 뜻이 깃들어 있음을 본다.  

전국을 다니면서 보면 우리 전통가옥들이 아직도 잘 보존이 되어 있다. 대개는 중요민속문화재나 지방문화재 자료 등으로 지정이 되어 있는 집들이다. 요즈음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이야 생활에 불편을 느끼기도 하겠지만. 그래도 우리의 옛 모습을 알아볼 수 있기 때문에 보존을 해야 할 중요한 문화자산이다.

 

이 집들은 나름대로의 특징이 있지만, 일반적인 모습 외에 그 나름대로의 멋을 지니고 있다. 그 멋은 무엇일까? 집의 소개는 안내판을 읽어본다면 누구나 알 수 있도록 이미 잘 나와 있다. 그래서 지나쳐 버리기 쉬운, 하지만 그래도 우리가 쉽게 넘겨서는 안 될, 그 숨겨진 멋을 찾아본다는 겻은 고택답사의 또 다른 재미이다.

 

 

회재 이언적 선생의 온기가 서린 집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에 있는 독락당은, 회재 이언적(1491 ~ 1553)이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에 내려와 지은 사랑채다. 조선조 중종 27년인 1532년에 세운 집이니 벌써 500년 세월을 훌쩍 뛰어넘은 집이다. 독락당은 중요민속문화재가 아닌 보물 제413호로 지정이 되어 있어, 남다른 집인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독락당은 사랑채인 독락당 건물과, 선조 33년인 1601년 이언적의 손자인 순과 준 두 형제가 화의문을 작성하고 지은 경청재 등으로 조성이 되어 있다. 경청재는 1900년대 이후에는 머슴들이 기거하기도 했다. 경청재를 지을 때, 순과 준 두 후손은 이언적에게 후손들이 누를 끼칠 것을 우려해 화의문을 작성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계정과 독락당은 우리 선조고(先祖考) 문원공(文元公) 회재선생의 별서이고 이외 유택에는 우리 부모(휘 전인, 호 잠계)의 혈성이 가득하다. 당우와 담장을 수호하기 위해 우리 형제가 약간의 토지를 출현하였다. 후손들 가운데 혹 궁벽하여 토지에 대해 다투는 일이 있으면 불효로써 논단할 것이다.

 

흙 담이 자연과 순응하고

 

독락당을 돌면서 가장 편하게 보이는 것은 흙담과 흙길이다. 기와와 돌을 이용해 문양을 넣고 쌓아올린 흙담은 투박하다. 그러나 그 흙담이 주는 편안함이 있어, 독락당이 더 편한 집이란 생각이다. 거기다가 담과 담 사이에 난 흙길 또한 백미다. 독락당은 전체적인 집의 구조물을 감싼 담장 안에 또 다른 담장들이 건물을 가르고 있다. 어찌 보면 한 채 한 채가 다 별개의 집으로 조형이 된 듯하다. 집 안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의 생활을 가장 편안하게 배려를 한 것은 아니었을까?

 

 

 

독락당을 지은 이언적은 건축에도 많은 신경을 쓴 것을 알게 된다. 한 마디로 자연을 가장 잘 이해하고, 그것을 적절히 이용해 집을 지었다. 독락당을 돌아보면 집의 우측에 계곡이 있다. 이 맑은 물이 흐르는 계곡 쪽으로 난 담장에, 흙 담이 아닌 나무로 만든 창이 있다.

 

말은 창이라고 표현을 했지만, 창살도 나무로 만든 이 담 벽에 붙은 창은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바로 시원한 계곡의 바람이 집 안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연을 그대로 이용한 독락당의 건축미학이 이런 곳에 있다. 계곡의 바람도 들어오고, 이 담 벽의 창으로 계곡의 경치까지 볼 수 있었으니 이것이야 말로 자연과 하나가 되는 길이 아닐는지.

 

 

담 벽에 붙여 지은 건물의 용도는?

 

계곡을 돌다가 보면 또 하나 볼거리가 있다. 담의 한쪽에 대를 만들고, 그 위에 반은 밖으로 반은 안으로 들어가 있는 건물이 보인다. 이 건물의 용도는 무엇일까? 곁으로 지나가다가 보니 이 건물의 용도가 궁금하다. 집 안으로 들어갈 수가 없어서 자세한 것은 알지 못하지만, 아마도 뒷간의 용도가 아닌가 한다. 담의 밖으로 돌출을 시켜 안의 공간을 확보하도록 한 이런 여유가 독락당의 또 하나의 묘미다.

 

 

 

넌 도대체 무슨 연유로 그곳에 있느냐?

 

흙으로 올린 담장 사이로 난 길을 걸어 계곡 쪽으로 가다가 보면, 담장 끝에 난 조그마한 문 하나가 있다. 이 작은 문을 왜 이곳에 두었을까? 여러 가지 추측이 가능하지만, 그 중에 하나가 이 문의 용도는 계곡으로 드나드는 문이란 생각이다. 즉 이 작은 문을 나서면 바로 계곡이다. 여름철 더위를 씻어내고 싶을 때, 이 담벼락에 붙은 쪽문을 나서 계곡에서 목욕이라도 했던 것일까?

 

 

이 문이 아니면 담장을 돌아 나와야 한다. 이 작은 문 하나가 계곡을 가기 위한 것이라면, 이 집주인의 작은 배려 하나가 얼마나 큰 의미가 있는가를 느낄 수 있다. 독락당은 자연이다. 어느 것 하나 자연을 거슬리지 않았다. 그리고 스스로 자연이 되어버렸다. 독락당의 매력은 바로 그런 점이다. 남들이 돌아보지 않는 곳, 그 안에 또 다른 독락당이 있었다.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에 소재한 보물 제413호 독락당. 그 독락당 안에서 가장 눈에 띄는 곳이, 바로 계곡 가에 자리를 잡고 있는 정자 계정이다. ‘계정(溪亭)’이란 이름이 딱 알맞다고 생각이 드는 것은, 이 정자가 독락당 옆으로 흐르는 맑은 계곡을 내려다보고 있기 때문이다.

 

계정은 자연과 하나가 되어 있다. 아니, 자연과 스스로 동화가 되어 자연의 일부분인 양 서 있다. 널찍한 암반을 발아래 두고, 그 암반 사이로 맑은 물이 흐른다. 물은 맑다는 표현만으로는 부족한 정도로 푸르다. 계곡을 볼 수 있는 정자의 앞면은 축대 밖으로 돌출이 되어 있다. 기둥으로 떠받쳐 놓은 마루가 이 정자의 또 다른 멋을 연출한다.

 

 

500년 세월, 계곡과 함께 지내 온 정자

 

계정은 자손들이 독락당을 중건하면서 당시에 이미 있었음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보아, 처음 이언적이 독락당을 건축할 때 같이 조성이 된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500년 가까운 세월을 이 계곡을 내려다보고 있었으니, 이젠 스스로가 계곡이 되었을 것 같다. 그래서 전국의 수많은 정자를 답사하면서, 늘 마음속에 정자 하나를 그리워하는가 보다.

 

독락당 안으로 들어가 양편에 황토와 돌로 쌓은 담을 따라 들어가면 계곡으로 나가는 출구가 있다. 이곳은 건물을 모두 담장으로 둘러쌓았으면서도, 담장마다 계곡으로 출입을 하거나 계곡 바람이 통하게 문을 내어 놓았다, 그리고 그 한편에 높은 축대 위에 걸터앉은 계정이 자리하고 있다.

 

 

 

 

호화롭지 않은 정자, 선비의 마음을 닮아

 

계정의 뒤편으로도 건물을 달아내어, 땅을 밟지 않고도 계정으로 옮겨 다닐 수 있도록 한 점도 눈에 띤다. 그저 호화롭지는 않지만, 계곡의 아름다운 경치를 볼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했다는 점이 계정의 매력이다. 밑에서 계정을 올려다보면 마치 계곡 위에 떠 있는 선계의 누각과 같은 느낌이 든다.

 

아마도 이언적 선생의 마음이 그대로 이 정자에 배어 있는 것은 아닐까? 화려함을 멀리하고 올곧은 생활을 하고자 하는 계정의 주인이 심성이 그대로 배어 있는 듯하다. 계곡에서 정자를 바라보면 마루 좌측 벽에 '계정'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자연은 정자 내에도 자리해

 

오른쪽에는 방을 두었고, 방 앞에는 '인지헌(仁智軒)'이라는 현판이 보인다. 이 집을 드나드는 사람들이 어질고 지혜롭기를 바라는 이언적의 마음인가 보다. 바로 주인의 마음이 그대로 정자에 소롯히 담겨져 있다. 인지헌의 밑에는 축대 중간에 아궁이가 있다. 그 밑에서 불을 땔 수 있도록 하여, 공간을 최대한 활용했다. 계정 역시 담에 붙여 축대를 쌓고, 그 위에 정자를 지었다. 안에서 보면 단층이지만, 밖에서 보면 중층 누각처럼 보인다.

 

 

독락당의 모습도, 계정의 모습도 자연을 거스르지 않았다. 그리고 스스로 자연이 되어 있다. 계곡을 닮아 있는 정자, 계정의 아름다운 까닭이다. 이 계절, 날이 더워질 때가되면 더 없이 계정이 그리운 까닭이기도 하다.

문화재 답사를 다니다가 보면 천연기념물을 만나게 된다. 하지만 부끄럽게도 나무에 대해서는 전혀 문외한인 나는 천연기념물을 만날 때마다 곤욕을 치른다. 한 마디로 그 나무에 대해 감칠맛 나게 설명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소나무의 경우에는 그래도 워낙 많이 보아온지라 조금은 알 수가 있지만, 그 외에 나무에 대해서는 고작 할 수 있는 설명이 자료를 이용하거나, 아니면 '웅장하다'거나 '보기가 좋다' 혹은 '소중하다'가 내 지식의 끝이다. 조각자나무에 대한 지식도 그러하다.

 

 

독락당 안에 자리한 천연기념물

 

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독락당 뒤편에서 자라고 있는 천연기념물 제115호 조각자나무. 이름부터가 생소한 이 나무는 독락당과 옥산서원을 경계로 하는 울안에서 자라고 있다. 이 나무의 수령은 약 470년 정도이며, 나무의 크기는 높이가 15m에, 둘레는 5m 정도이다. 이 조각자나무는 중국산으로 회재 이언적이 중국사신으로 다녀온 친구에게 받아 심은 것이라고 전한다.

 

조각자나무(Gleditsia sinensis Lam)는 콩과의 갈잎큰키나무이다. 높이가 20 ~ 30미터까지 자라는 조각자나무는 껍질은 흑회색이고 줄기나 가지에 가시가 돋는다. 독락당 조각자나무에는 원줄기에 길이 10㎝, 지름 1㎝정도의 갈라진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소엽은 타원형 내지 피침형이다. 가장 자리에는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다.

 

조각자나무는 황록색의 꽃은 6월에 피고, 꼬투리는 편평하며 길이 20 ~ 30㎝, 너비 3cm로 곧고 쪼개면 매운 냄새가 난다. 종자와 가시를 모두 약용으로 한다. 독락당 조각자나무를 담 밖에서 촬영을 하는 바람에 가시를 확인할 수는 없었다. 독락당 울안에서 자라고 있는 이 조각자나무는 독락당 뒤편의 담을 안으로 돌려쌓아 놓은 곳에 소재한다.

 

나무 앞에는 보호철책을 둘러 이 나무를 소중히 여김을 알 수 있다. 담 밖에서 촬영을 하는 바람에 자세한 것은 알 수 없지만, 나무의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천연기념물을 촬영을 할 때는 잎이 무성한 계절에 다녀야 하므로 시기적으로 맞추기가 힘들다. 더구나 독락당의 조각자 나무가 있는 울 안은 들어갈 수가 없어, 할 수 없이 담 밖에서 촬영을 하는 수밖에 없었다. 집안에 있는 문화재 등을 답사하는데 가장 어려움은 바로 이런 점이다.

 

약용으로도 사용한 진귀한 나무

 

조각자나무는 가시와 잎 등이 모두 약용으로 사용이 된다. 중국 금세기 최고 최대의 중약학 성서라고 일컫는 <중약대사전>에는 조각자의 효능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을 하고 있다. 즉 조각자의 가시는 일 년 내내 채취할 수 있으나, 9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가 채취시기로써 적당하다. 이 가시의 성분은 플라본 배당체, 페놀류, 아미노산을 함유한다.

 

불순물을 제거하고 물에 불려서 얇게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이 가시의 효능은 급성편도선염, 옹종, 창독, 여풍 등과 태반이 나오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조각자나무의 열매를 ‘조엽’이라고 하는데 맛은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풍담, 습독을 제거하고 기생충을 구제하는 효능이 있다. 가래를 삭이는 작용, 항균작용, 회충성 장폐색증, 귀지가 막힌 증상, 중풍으로 인한 안면 신경 마비, 돌발적인 두통, 해수 및 가래가 끓는 증상, 개선과 나병을 치료한다.

 

이와 같이 조각자나무는 모든 것을 약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중한 나무라는 것이다. 나무에 대해서 문외한이기 때문에 독락당 조각자나무의 가치를 잘 알 수는 없다. 하지만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되었다면 생물학적이나 역사적으로도 가치를 지니고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에 산재해 자라고 있는 수많은 종류의 나무들 중,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나무들 하나하나가 소중하지 않은 것이 없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