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고종 3년인 1866년 정월에 대원군은 전국에 천주교의 탄압 교령을 포고했다. 병인사옥, 혹은 병인박해라고 하는 이 천주교의 탄압 포고령이 떨어지자, 전국은 그야말로 피바다로 변해버렸다. 프랑스 선교사 12명 중에서 9명이 처형된 것을 시작으로, 불과 수개월 동안에 국내에서 천주교 신자 6천여 명이 처형되었다. 이들은 관군을 피해 깊은 산속으로 피신하여 쫓겨 다니다가 잡혀서 형장의 이슬로 사라지고, 굶주림에 죽어간 부녀자와 어린이들이 부지기수였다. 더욱 이러한 난리 통에 신도가 아닌 사람들이 억울하게 박해를 당한 예도 허다하였다고 한다.

전북 익산군 여산면. 이곳에는 병인박해 때 생명을 잃은 천주교 신자들이 죽음으로 신앙을 지킨 두 곳의 성지가 있다. 병인박해 때 순교를 한 천주교 신자들의 죽음은 비참하기 짝이 없었다. 교수형과 참수는 물론이고, 성벽 위에서 거꾸로 밑에 있는 바위위로 떨어트리기도 했다. 이러한 병인박해는 병인양요를 불러 오게 한 요인이 되었다.

백지사형을 행한 여산동헌 아래뜰

한지를 덮어 질식시킨 백지사(白紙死)

백지사란 말 그대로 백지를 이용하여 사람들을 죽이는 형벌이다. 얼굴에 물을 뿜고 그 위에 백지를 여러 겹 덧붙여 질식을 시켜 처벌하는 형벌로,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 소방서 앞에 자리한 여산동헌. 이 동헌의 앞뜰에서 바로 이 백지사를 실행하였다. 일명 ‘도모지사(塗貌紙死)’라고도 하는 이 백지사는 호흡을 할 수 없어 받는 고통이 길어 오히려 더 심한 형벌이라고도 한다.

동헌의 아래 뜰인 이곳에는 당시 백지사를 당한 얼굴의 모형이 십자가 앞에 있다. 그리고 한편에는 건물의 주추나 축대를 쓰였을 장대석을 모아놓았다. 딴 곳의 성지가 여러 가지 형태로 꾸며 놓은 것에 비해, 간단하게 성지임을 알리는 안내판 과 모형조각만 땅에 놓여있다. 아마 이곳이 여산동헌이 문화재로 지정이 되어있기 때문인가 보다.



얼굴의 모형만 보아도 얼마나 고통스러웠는가를 능히 짐작할 수가 있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손을 뒤로 묶고 말뚝에 매달아 백지를 얼굴에 덧 씌었다고 한다. 이들의 솜옷은 솜이 하나도 없었다고 하는데, 배가 고파서 옷의 솜을 다 빼서 씹어 먹었다는 것이다. 동헌건물의 옆에는 대원군의 척화비가 서 있어 박해사실을 증명하는 듯하다.


얼굴에 물을 뿌리고 그 위에 백지를 여러겁 덮어 질식을 시키는 백지사의 형태(위)

한 가족 6명 등 25명이 순교한 숲정이 성지

여산면사무소에서 멀지 않은 곳 도로변에 보면 또 한 곳의 성지가 있다. 일가족 6명 등 모두 25명이 순교한 숲정이 순교 성지. 이곳은 금산과 고산, 진산 등지에서 붙잡힌 신자들이형을 당한 곳이다. 그 중 고산 널바위 사람들이 17명이나 이곳에서 순교를 했다고 한다. 지금은 주변이 정리가 되고 논이 들어차 있지만, 당시는 이곳이 숲이 우거져 ‘숲정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는 것이다.

이곳에서 목숨을 잃은 순교자들은 형장에서 칼을 풀어주자, 배가 고파 풀을 마구 뜯어먹었다고 전한다. 기록상으로는 25명이 이곳에서 순교를 했다고 하지만, 그 외에도 더 많은 사람들이 순교를 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숲정이 성지는 전라북도 기념물 제125호로 지정되어 정비가 되었다.

숲정이 성지 정경

숲정이 성지로 들어가니 한편에 안내판이 있다. 안내판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적혀있다.

「1866년 대원군의 쇄국정책과 천주교 말살정책으로 시작된 박해는 1868년에 이르러 가장 치열하였다. 이때 금산, 진산, 고산의 심산 궁곡에 숨어살던 많은 신자들이 여산 관아에 끌려와 그 중25명이 진리의 증거자로 목숨을 바쳤다. 특히 당시 고산 넓은바위에서는 많은 신자들이 잡혀와 17명이 처형되었는데, 그 중에서 지도자인 김성첨(토마스)의 가족은 6명이 순교하였다」

이 안내판의 곁에는 당시 순교자들의 명단을 적은 또 하나의 안내판이 서 있다. 당시 순교자들을 보면 김성첨(토마스 62세), 김명언(안드레아 62세), 김정규(야고보 47세), 김정언(베드로 23세), 김홍칠(마티아 19세), 김찬여(요한), 김베드로(19세), 오유리안나, 박베드로(42세), 이필립보(19세), 오윤집(다대오 39세), 김성화(야고보 52세), 이서방, 손막달레나(27세), 한정률(요한 27세), 박성진의 아내, 전루시아(35세), 장윤경(야고보 37세), 전마리아(50세), 이영화, 박성실(요한), 김윤문, 박운겸, 박도미니코, 송가롤로(50세) 등 25명이다.




두 곳의 성지를 답사하면서 믿음이란 과연 무엇일까? 순교를 하는 마음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 수많은 생각을 해본다. 그러나 지금 이 시대에 과연 그 마음을 어찌 읽을 수가 있을 것인가? 다만 그 순교한 분들의 굳은 믿음만은 조금은 이해할만하다. 간간히 언론에 오르내리는 소문이 무성한 종교들을 생각하면서, 이들이 더욱 숭고하게 보이는 것은 죽음에도 굴하지 않고 믿음을 지켜낸 분들이기 때문이란 생각을 한다.

조선조에서는 여자들은 항상 모든 것에 규약을 받아야만 했다. 고려 때의 여자들이 화려하게 치장을 하고 말을 달리는 것에 비해, 유교적 풍습에 의한 규제였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 종로구 운니동에 소재한 사적 제257호 운현궁은 대원군이 살던 곳이다. 이곳에는 경비업무를 맡은 병사들이 기거하는 수직당, 대원군이 집무를 보던 노안당, 부녀자들이 기거하는 노락당 등이 있다.


노락당 뒤편에는 노락당과 복도로 연결이 된 또 하나의 부녀자들의 공간인 이로당이 있다. 이로당은 정면 7칸, 측면 7칸의 입구(口)자의 형태로 지어졌으며, 외부에서 남자들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건물을 지었다. 노락당과 더불어 안채의 구실을 한 이로당은 여자들만이 살 수 있도록 꾸며졌으며, 철저한 금남구역이다.



이로당의 안주인은 운현궁 안살림의 최고책임자


이로당은 노락당과 연결이 되어있다. 노락당 뒤편과 이로당의 건물의 동편이 서로 복도로 연결이 되어있어, 여자들이 이 복도를 통해 움직일 수 있다. 결국 노락당과 연결이 된 이로당은 남자들의 출입이 제한 될 수 밖에 없도록 꾸며져 있다. 이로당을 돌아보면 어느 곳이나 출입을 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없다.

ㅁ 형의 공간 가운데는 중정을 만들고 사방이 모두 막혀있다. 이로당의 현판이 걸린 정면을 빼고는 복도를 모두 안으로 둘러, 그 안에서만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밖으로의 생활을 할 수 없도록 하였다.



노락당과 연결이 된 복도 한편은 높게 올려 그 밑으로 문을 내었다. 그 문으로 노락당과 이로당의 뒤편으로 출입을 할 수가 있고, 그 곳에는 우물이 두었다. 살림을 하기 위해서는 물을 길어야 하는데, 우물조차 안으로 숨겨놓아 밖으로의 출입을 제한 한 듯하다. 대원군이 기거하던 노안당과 안채인 노락당 사이에는 중문을 달아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 한 것을 보아도 부녀자들이 기거하는 곳을 철저하게 보호를 했다는 곳을 쉽게 알 수 있다.  

철저하게 제한 된 이로당의 동선

왜 이토록 여인들의 공간인 이로당은 외부에서 사람들의 출입을 제한한 것일까? 이로당 주변을 돌아보아도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노락당과 연결이 된 복도 밑으로 난 문을 통해 이로당의 주위를 돌아본다. 정면의 마루를 제외하고는 출입문이 없다. 



 노락당과 연결이 된 복도의 문과 뒤편에 있는 우물, 그리고 후원 


이토록 철저하게 외부인의 출입을 금지 시킨 것은 어쩌면 명성황후와 끊임없이 다툼을 벌였던 대원군이기에 여인네들의 외부출입으로 인해 세상사에 참여하기를 바라지 않았는지도 모르겠다. 뒤편을 한 바퀴 돌아보아도 출입을 할 수 있는 곳은 없다. 철저하게 출입이 제한이 된 철옹성 같은 곳이다.




이로당의 동선은 집 안에서만 이루어지게 구조가 되어있다.

이로당에 묵는 여인들은 다만 외부로 난 방문을 통해서만 비깥 세상을 볼 수 있었다. 그것도 운현궁 안의 안담장이 가로 막고 있어, 결국은 노락당과 이로당의 앞마당이 공간일 뿐이다.  이로당에 묵는 여인 중에는 운현궁 안살림의 최고책임자가 기거를 했다는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듯, 대원군은 여인들이 세상사에 참여 하는 것을 철저하게 금지시켰던 것만 같다. 

며느리와의 서로 엇갈린 사고때문에 평생을 보내야만 햇던 대원군. 어찌보면 이로당은 그런 대원군의 마음을 그대로 표현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물론 운현궁은 명성황후와 끊임없이 반복을 하기 이전에 지어진 별궁이지긴 하지만, 이로당을 돌아보면서 대원군의 마음이 이곳에 있는 듯하다. 여인네의 세상 참여를 원치 않는 대원군의 마음을.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