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에 불이 났다고 할 때마다 가슴이 철렁한다, 이번에는 정읍시 내장동 590, 내장산에 소재한 내장사 대웅전에 불이나 전소가 되었다. 10월 31일 정읍시 소방당국에 의하면, 오전 2시 10분께 내장사 대웅전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신고를 받은 소방당국은 14대의 소방차와 경찰 및 시청직원 등 90여명이 현장에 출동해 진화를 했으나, 두 시간 만에 전소되었다는 것.

 

이번 화재로 목조건물인 대웅전이 전소되고, 대웅전 안에 모셔졌던 탱화 3점과 불상 1점, 소북 1점이 완전히 소실이 되었다. 다행히 내장사에는 당시 사부대중 10명이 있었으나, 대웅전에서 떨어진 곳에서 잠을 자는 바람에 인명피해는 없었다고 한다.

 

 내장사 대웅전의 과거 모습

 

백제 때의 고찰인 내장사 대웅전

 

내장사는 백제 무왕 37년인 636년 영은조사가 백제의 신앙적 원찰로 삼아, 처음에는 ‘영은사’란 이름으로 창건한 절이다. 그 후 고려 숙종 3년인 1908년 행안선사가 전각과 당우를 중창하였고, 조선 명종 22년인 1567년에 회묵대사가 법당과 요사를 중창하였다.

 

대웅전은 조선조 정조 3년인 1779년 영은대사가 시왕전과 함께 중수하였고, 요사를 크게 증축하였다. 이러한 대웅전은 1951년 한국동란으로 인해 완전히 소실되었던 것을, 1958년에 정읍시 입암면에 있던 보천교의 보화문 건물을, 다천스님이 그대로 옮겨 대웅전을 중건한 것이다.

 

  전소된 대웅전 - 사진제공 정읍소방서

 

화재로 전소한 대웅전, 아직 원인 규명 못해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아픔을 당한 내장사의 대웅전은, 최근에 문화재 등록을 추진하고 있던 것으로 알려져 더욱 안타깝게 하고 있다. 내장사 대웅전 전소와 관련해 소방당국의 관계자는 전화통화에서 ‘내부 CCTV를 확보해 분석한 결과, 전기난로 주변에서 불꽃 발화가 확인됐다’며 그 이상은 정확한 내용을 파악하기가 어렵다고 전한다.

 

아무리 지정문화재가 아니라고 해도 그렇다. 문화재 등록을 추진 중에 있었다고 하면 그만한 가치가 있는 전각이라는 뜻이다. 그런 대웅전이 완전히 소실이 되어버린 것이다. 우리는 도대체 언제까지 이렇게 문화재의 안전에 대해 불감증 환자가 되어야만 할까? 이렇게 하루아침에 잿더미로 변한 것을 보면서 참으로 마음이 아프다.

 

 단풍철을 맞아 많은 사람들이 찾아드는 내장사

 

더구나 지금은 내장산이 아름답게 단풍이 들 계절이라, 수많은 관광객들이 내장산으로 찾아드는 절정의 시기이다. 이렇게 불에 타 전소가 된 내장사의 대웅전을 보면서, 무슨 생각들을 할 것인지. 좀 더 문화재와 비지정문화재를 따지기 이전에 세심한 주의를 해야 할 때이다.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 764에 소재한 칠장사는 국보와 보물 등을 소유한 고찰이다. 이 칠장사 대웅전 옆에는 보물 제983호인 안성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이 서 있다. 이 입상은 원래 ‘봉업사지’에 있던 것을 죽산중학교로 옮기고, 그 뒤 다시 현재의 칠장사로 옮겨서 보관을 하고 있다.

 

칠장사는 선덕여왕 5년인 636년에 자장율사가 세운 고찰이다. 현재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용주사의 말사인 칠장사는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25호로 지정이 되어있기도 하다. 칠장사가 위치한 칠현산은 원래 ‘아미산’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었다. 고려시대 혜소국사가 이 산 아래 아란야를 짓고 기도를 하던 차에, 선량치 못한 7인이 찾아와 교화가 되었다고 하여 칠현산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

 

 

뛰어난 조형미를 보이는 고려 초기 작품

 

현재 보물 제983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은 고려 초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이 여래입상은 불상과 광배가 같은 돌로 만들어졌으며, 불상의 높이는 1.57m이고 총 높이는 1.98m이다. 현재 대웅전 좌측에 자리하고 있는 이 석불입상은 눈과 코, 입은 심하게 닳아 제 모습을 판가름하기가 수월하지 않다.

 

얼굴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비교적 식별이 가능하다. 양 어깨에 걸친 법의는 어깨를 감싸 며 밑으로 흘러내린다. 옷 주름은 여러 겹의 U자형 모양을 이루며 자연스럽게 흐르고 있으며, 그 아래에는 치마가 양다리 사이에서 지그재그 모양을 이루고 있다.

 

 

 

 

석불의 형태는 비교적 비례가 원만한 편이며, 전체적인 신체표현에 있어서 손이 다소 큰 편이다. 하지만 머리와 어깨의 너비 등의 신체비례가 비교적 좋은 편이다. 불상의 뒷면에는 몸 전체에서 나오는 빛을 상징하는 광배를 조각하였는데, 두광과 신광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몸 전체를 감싸고 있는 거신광으로 표현을 하였다.

 

지방의 특징을 보이는 봉업사지 석불

 

우리나라의 문화재를 보면 중앙의 문화재와 지역의 문화재가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중앙의 기능이 뛰어난 석공들이 참여하여 조성한 석불이나 탑 등은 그 화려함이나 섬세한 조각이 뛰어난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있다. 거기에 비해 지방의 석공들이 조성을 한 석불이나 탑 등은 나름대로의 지역적 특성을 표현하고 있다.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은 당당한 어깨와 발달된 신체표현, 그리고 U자형의 옷주름 등과 그 밖의 조각기법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이 불상은 고려 초기에 유행했던 안성지방 인군의 불상양식의 특징을 살필 수 있는 자료로 높이 평가된다. 지방은 그 지방 나름의 기능공들이 자기만의 독창적인 기법을 사용하여 조성을 하기 때문에, 그런 점을 잘 살펴보는 것도 재미있다.

 

받침돌의 표현이 두드러져

 

받침돌은 아래받침돌과 위바침돌로 구분이 되어있다. 위 받침돌은 둥글게 조성을 하고 조각을 하였는데, 심하게 마모가 되어 조각을 잘 알바보기가 힘들다. 아마도 아래받침돌의 문양으로 볼 때 위받침돌에는 꽃과 구름 등을 새겨 넣었을 것 같다. 또 이 위받침돌이 심하게 훼손이 된 이유가 무엇인지도 정확지가 않다.

 

 

 

아래받침돌은 문양이 그대로 살아있다. 밑으로 된 넓은 앙련을 새기고 그 안에 꽃을 새겨 넣었다. 이렇게 연꽃잎에 꽃을 사긴 것은 흔히 볼 수 만날 수가 없다. 아래받침돌의 위부분은 돌출을 시켜 그 곳에도 8장의 꽃잎을 가진 꽃을 돌아가면서 조각하였다. 이 받침돌 하나만 보아도 당시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이 많은 공을 들인 작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은 제 자리를 떠나 안성 칠장사 대웅전 옆에 서 있는 봉업사지 석불입상. 우리의 많은 문화재들이 이런저런 이유로 제 자리를 떠났다. 그 앞에 머리를 조아리고 속으로 기원을 한다. 앞으로는 이렇게 제자리를 떠나는 문화재들이 없게 해달라고.

땅 밟기도 모자라 이번에는 신성한 타 종교의 전각에 난입해, 오줌을 깔기고 상스런 욕까지 낙서를 해댔다니. 이런 사람을 어찌 종교인이라고 할 수 있을까? 생각해보면 이런 특정 종교의 횡포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정말로 그냥 넘어갈만한 사안이 아니다. 팔공산 동화사가 한 마디로 한 종교인이라고 하기에도 허접한 인간에게 더럽혀진 일이다.

 

성아무개(43세)라는 개신교 목사(목사란다)라는 자가 팔공산 동화사에 들어가 산신각의 벽화에 상스런 낙서를 하고 선영을 모셔 놓은 조사전에 들어가 기물에 방뇨까지 했다는 것이다. 지난 8월 20일 성아무개라는 이 인간 말종은 차량 출입 통제가 된 동화사의 대웅전 앞마당까지 차를 몰고 들어가, 법당에 있는 불교경전을 찢었다는 것.

 

 

산신각 탱화에 상스런 낙서를

 

30여 분 간 대웅전에서 행패를 부린 후 산신각으로 들어간 이 성아무개(개가 맞는 듯하다)는 산신각에 모셔진 산신 탱화에 상스런 낙서를 한 후, 다시 조사전으로 들어가 그릇과 향로에 소변까지 보았다는 것이다. 이런 행패는 CCTV에 그대로 찍혀 동화사 측의 신고로 10여일 만에 경찰에 잡혔다.

 

성아무개는 경찰조사에서 ‘○교회 교단인 대한기독교 모성회의 소속목사로, 지난 2005년에 목사 안수를 받았으며, 최근까지 경상도 지역의 한 교회에서 부목사호 목회를 했다'고 한다. 성아무개는 불교경전에 헛된 것이 적혀있어 훼손을 하고 낙서를 했다고 진술했다는 것이다.

 

보물인 동화사 대웅전. 이 안에 예불을 드리고 있는데 무단침입을 하여 불경을 찢고 난동을 피웠다

 

종교모독사건, 끊이지 않는 이유는?

 

경찰은 "계획적인 것은 아니고 불교에 대한 증오심으로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보인다."면서 “정신이상 증세가 있다”고 두둔을 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동화사 측에서는 “정신이상이 있는 사람이 어떻게 최근까지 목회를 하고 운전까지 할 수 있느냐”면서 이것은 심각한 종교모독사건이라고 강력하게 항의를 하고 있다.

 

이러한 불교에 대한 일부 개신교들의 종교모독 사건은 불교 문화재의 훼손으로 시작해, 종교장소까지 난입하는 횡포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불교에 대한 일부 몰지각한 개신교의 광적인 행동들은 이 정부에 들어서 심히 극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산신각에 들어가 탱화에 상스런 낙서를 하고 조사전으로 가서 오줌까지 깔겼다고

 

조계사의 땅밟기를 비롯해, 낙서와 훼불 등이 심각할 정도로 번지고 있는 실정이다. 경찰은 ‘현행법상 종교관련 처벌 내용이 없어 추가조사를 벌인 뒤 재물손괴와 건조물침입 혐의로 입건할 방침’이라고 했단다. 참 이건 또 무슨 해괴한 발언인지 모르겠다.

 

보물인 동화사 대웅전에 무단 침입한 것으로 만도 중벌을 받아야

 

팔공산 동화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의 본사이다. 동화사에는 보물 제1505호인 사명당 유정의 진영을 비롯해, 보물 제1607호인 목조여래좌상의 복장물인 화염경 등, 보물 제1610호인 아미타극락회도, 보물 제243호 마애불좌상과 보물 제244호인 비로나자불, 보물 제247호인 비로암 삼층석탑, 보물 254호인 당간지주 등 수많은 문화재가 있는 곳이다.

 

자칭 개신교의 목사라는 인간이 산신탱화에 이런 상스런 낙서를 했단다 (자료 출처 /연합뉴스자료 인용)

 

더욱 처음에 들어가서 불경을 찢고 횡포를 부린 대웅전은 보물 제1563호이다. 그런데 단순히 손괴된 책과 탱화, 벽화의 감정서 제출을 요구하며 재물손괴 쪽으로 초점을 맞추고 수사를 진행한다는 것이다. 참으로 ‘어불성설(語不成說)’이란 이런 것을 두고 한 말이 아닐까? 이번에는 불교계도 그냥 묵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또 다시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종교모독행위에 대한 단호한 대처가 있어야 할 것이다. 더욱 문화재법을 개정해서라도 문화재에 함부로 난입을 하거나, 문화재 안에서 난동을 피울 경우 가중처벌을 할 수 있는 법 조항을 신설해야 할 것이다. 이런 광적인 작자들이 언제 우리의 소중한 문화재를 훼파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전북 익산시 웅포면 송천리에 소재한 숭림사. 고려 충목왕 원년인 1345년에 처음으로 창건된 선종 고찰이다. 그러나 그 이후에 어떻게 변천이 되어왔는지는 확실하지가 않다. 다만 숭림사의 대웅전인 보광전 중수기에 따르면 순조 19년인 1819년에 중수를 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숭림'이라는 사찰명은 중국의 달마대사가 숭산 소림사에서 9년간 앉아 도를 닦고 득도하여, 첫 선종사찰이 되었으므로 숭산의 '숭(崇)'자와 소림의 '림(林)'자를 따서 숭림이라 이름 지었다고 전한다. 

 

 

맞배지붕인 보광전은 단아한 아름다움 배어있어

 

숭림사는 보광전이 대웅전이다. 보광전 안에는 목조석가여래좌상을 안치하였는데, 복장기문에 의하면 조선조 광해군 5년인 1613년에 조성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런 복장기문에 의해 보광전은 17세기 이전에 지은 건물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 보물 제825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보광전의 규모는, 정면 3칸·측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다.

 

대웅전이 맞배지붕으로 구성된 예도 드문 경우이지만, 보광전의 건축기법과 법식이 특이해 조선조 후기 건축물 연구에 주목받는 문화재로 평가받고 있다. 다포계 맞배지붕으로 조성된 숭림사 보광전. 주변을 돌면서 살펴보면 참으로 단아한 멋을 느낄 수가 있다. 맞배지붕으로 지어진 화려하지 않은 보광전은 중간 중간 기둥들이 자연 재목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렇게 다듬지 않고 사용한 나무들이 그대로 자연을 느끼게 만든다.

 

 

 

자연석인 주추의 위를 평평하게 다듬은 것 또한 그러하다. 지붕의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한 구조물인 다포양식임에도 건물 옆면에 공포를 배치하지 않은 것 또한 특이하다. 화려하지 않고 단아하면서도 기품을 잃지 않은 숭림사 보광전. 보물로 지정된 까닭을 알 만하다.

 

보광전 안 닫집의 아름다움

 

보광전의 불상 안에는 용과 구름으로 조각이 된 화려한 닫집이 장식되어 있다. 보광전 건물 안쪽은 보 끝에 용머리를 조각해 놓았고, 기둥 윗부분에는 연꽃, 용의 몸, 용 앞발이 여의주를 쥐고 있는 건축 부재들이 화려한 모양으로 장식이 되어있다. 화려하지 않고 단아한 외부의 장식과는 달리, 보광전의 내부 장식은 화려하게 치장이 되어있다.

 

 

 

퇴색할 대로 퇴색이 된 닫집은 그야말로 목조각 예술의 극치를 표현하고 있다. 연꽃과 구름 용 등이 서로가 자태를 드러내고 있는 닫집은 요즈음의 닫집의 형태와는 차이가 있다. 퇴색한 색이 오히려 닫집의 아름다움을 배가시키는 듯하다.

 

보물 제825호 숭림사 보광전. 그저 낮은 야산 자락에 자리를 하고 앉은 전각은 언제나 그 자리에 있어야할 것처럼 자리를 하고 있다. 오래된 고향집을 찾은 것처럼 편안함을 주는 숭림사 보광전. 화려하지 않은 모습이 마음을 편하게 하기 때문인가 보다. 크고 화려하게 지어대는 요즈음의 건축물 때문에 오히려 크지 않고 화려하지 않은 숭림사 보광전이 더욱 값지게 느껴지는 것은 아닐까? 오래도록 그 앞을 떠나지 못한다.

사람은 가끔 이상한 생각을 한다. 그것도 아주 해괴한 생각 말이다. 아마도 찜통더위가 계속되면서, 하도 햇볕에 싸돌아다니니 머리에 이상이 왔는지도 모르겠다.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 고달사지. 그 절터 한 복판에 장방형의 석조물 한기가 덩그러니 놓여있다. 보물 제8호인 ‘고달사지 석조대좌’이다.

 

난 이곳을 들릴 때마다 이 석조대좌 위에 올라앉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그 위에 올라가 하늘에 흐르는 구름만 바라보아도 바로 부처가 될 것 같기 때문이다. 물론 그럴 리가 없다. 하지만 가끔 그런 황당한 생각을 해대는 것도, 무료한 답사를 즐겁게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더구나 찜통더위를 잊으려면 이런 부질없는 생각이 도움이 되기도 한다.

 

 

 

석조대좌 하나만으로 보물이 되다니

 

이 석조대좌는 현재 정리가 된 고달사지의 중앙에 자리를 하고 있다. 이렇게 석좌가 있었다는 것은, 이곳에 석불이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 그렇다면 이 석좌가 놓인 곳이 대웅전이었을 것이란 생각이다.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간 쌍사자 석등이 놓여있던 자리가 그 남쪽이었기 때문이다.

 

장방형으로 조성된 이 석불대좌는 모두 3단으로 구성이 되었다. 위에 올렸던 불상은 사라졌지만, 이 석불대좌 하나만으로도 보물로 지정이 될 만큼 훌륭한 작품이다. 아마도 이 위에 있던 석불 역시, 석조대좌로 가늠해 볼 때 상당한 수작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런 석불이 사라진 것이 못내 아쉽기만 하다.

 

 

 

 

고려 초기의 역작인 석조대좌, 정말 대단하다

 

방형대좌로 조성이 된 이 석불대좌는 고려 초기의 수작으로 꼽히고 있다. 일반적인 석불좌처럼 화려하게 조각을 한 것은 아니지만, 네모난 대좌는 큼직한 앙련과 안상을 새겨놓았다. 단순하지만 조화를 이루는 형태는, 당시 이 고달사의 위상을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을 정도이다.

 

이 받침돌은 상중하의 3단으로 조성하였는데, 각기 다른 돌을 다듬어 구성하였다. 윗면은 불상이 놓여 있던 곳으로 평평하니 잘 다듬어져 있다. 아래받침돌과 윗받침돌에는 연꽃잎을 서로 대칭되게 돌려 새겼다. 또한 중간돌에는 한 면에 꽉 차게 안상을 새겨놓았으며, 아래받침돌에도 작은 안상을 4구씩 새겨 놓았다.

 

 

 

이 대좌가 사각형으로 거대한 규모이면서도 유연한 느낌을 주는 것은 율동적이면서 팽창감이 느껴지는 연꽃잎의 묘사 때문이다. 방형의 종첩과 연꽃과 안상을 교차적으로 조각하여, 밋밋함을 느낄 수 없도록 하였다는 점이다.

 

승탑과 동시대에 조성한 것으로 보여

 

이와 같은 연꽃잎의 표현 수법은 같은 고달사지 내에 소재한 국보 제4호인 여주 고달사지 승탑의 아래받침돌과 매우 비슷하게 조성이 되었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이 석불대좌의 축조시기가 승탑과 같은 고려 초기일 것으로 추정한다.

 

 

이렇게 가운데 꽃잎을 중심으로 좌우로 퍼져나가는 모양으로 배열하는 방법은, 고려시대의 양식상 공통된 특징으로 나타난다. 고려 초기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고달사지 석조대좌. 불상을 올려놓았던 이 석조대좌가 주는 의미가 남다르다. 8월 4일의 찜통더위에 찾아간 고달사지. 그곳에서 만난 석조대좌로 인해 무한한 상상을 할 수 있었다는 것은, 힘든 답사길의 새로운 즐거움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