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18-1에 소재한 백제시대의 고찰인 무량사. 일주문을 지나면 담장 옆에 서 있는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57호인 무량사당간지주(無量寺幢竿支柱)’가 서 있다.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 이곳에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두기 위한 것이다.

 

이 깃발을 걸 수 있도록 길게 만든 쇠 등으로 만든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당간의 양쪽에 서서 이를 지탱해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우리나라에는 아직도 청주, 공주 갑사, 안성 칠장사 등에 드물게 철당간이 남아 있다. 하지만 그 외에는 대부분 당간을 붙들어 매는 버팀돌인 두 기둥만이 남아 있다.

 

고려 전기에 마련한 무량사 당간

 

이 당간지주는 무량사 천왕문 동쪽에 남아 있는 것으로, 두 개의 돌기둥이 서로 마주보고 있다. 기둥 끝은 안쪽면 에서 바깥쪽으로 둥글게 다듬었고, 앞뒷면의 가장자리에는 테두리 선을 돌렸다. 또한 양 옆면 가운데에는 세로로 돌출된 띠를 새겨 넣었다. 마주보는 기둥의 안쪽면에는 당간을 고정시키기 위한 2개의 구멍을 위 아래로 각각 뚫어 놓았다.

 

돌기둥 사이에는 당간을 세울 수 있는 받침돌이 끼워져 있는데, 그 중앙에 당간을 받는 기둥자리를 파고 그 주위를 둥글고 도드라지게 만들었다. 무량사 당간지주는 전체적으로 아무런 장식이 없는 소박하고 단아한 모습으로, 통일신라시대에서 굳어진 제작방식을 따라 고려 전기에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천년 세월 그 자리에

 

눈이 하얗게 쌓였다. 그 눈을 밟는 것만으로도 죄스럽다. 당간을 보기 위해 담장 밑으로 다가선다. 당간을 받는 중앙에 돌 위에도 눈이 수북이 쌓였다. 눈을 대충 손으로 쓸어내니, 가운에 당간을 받는 자리가 보이고, 주변은 둥그렇게 돋을새김을 해 놓았다. 이렇게 돌로 다듬어 세워 놓은 당간지주.

 

남들은 그저 두 개의 돌기둥을 왜 세워놓았을까 조차도 생각지 않는 듯 무심하게 지나친다. 하지만 이 두 개의 기둥은 나름대로 절의 크고 작은 행사 때 당을 매달기 위한 구조물이다. 이 당간에 얼마나 많이 당이 걸렸던 것일까? 천년 넘는 세월을 그 자리를 지키고 있는 당간지주가 새삼 경이롭다.

 

 

많은 문화재로 인해 선조들을 만난다

 

전국에 산재한 수많은 문화재들. 그리고 그 오랜 세월을 자리를 지켜낸 석조물들. 절을 찾을 때마다 그런 옛 문화재들에 대해 새삼 고마운 마음이 든다. 지난 선조들과의 조우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그런 것들을 찾아다녀 무엇을 할 것이냐고 질문을 한다. 그렇게 문화재를 찾아 사철을 돌아다니고 있는 내사 이해가 되지 않는 모양이다.

 

하지만 그 수많은 문화재를 만나면서 그 안에 내재되어 있는 선조들의 장인정신과 마음을 만난다. 그리고 그 선조들의 숱한 정성을 만난다. 그런 문화재들을 만날 때마다 그저 눈물이 나도록 감동적이다. 아무렇지도 않게 담장 옆에 서서 비바람과 눈을 맞으면서 천년 세월을 서 있는 무량사 당간지주. 그 아무렇지도 않게 버틴 천년의 세월동안 얼마나 많은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을까? 문화재를 만날 때마다 고마움을 간직해야 하는 이유이다.

 

날이 잔뜩 흐렸다. 하늘에는 검은 구름이 몰려와, 금방이라도 한 줄기 비를 쏟아부을 듯한 기세이다. 이런 날 문화재 답사를 한다는 것은, 평소보다 두 배는 어렵다. 그것도 포장이 되어있는 도로로 다니는 것이 아니다. 질퍽한 맨 땅을 밝고 다녀야 하니, 그 고통은 답사를 해보지 않은 사람에게는 아무리 설명을 해도, 선뜻 이해하기가 힘들다.

 

경북 경주시 구황동 315-2에 소재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92호 ‘경주구황동당간지주 (慶州九黃洞幢竿支柱)’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면 이곳에 당이라는 깃발을 걸게 되는데, 이 깃발을 꽂는 높이 장대를 당간이라 하고, 당간을 양 쪽에서 지탱해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고 한다.

 

 

받침돌을 거북이인 당간지주, 이런 받침돌 처음이야

 

당간이야 절마다 볼 수가 있다. 대개는 절 입구에 세워 절에 큰 행사가 있을 때 이곳에 당을 걸어둔다. 그런 당간은 특별한 형태를 보이지 않는다. 거의 보편적인 모습을 하고 있다. 하지만 그 시대나 지역에 따라서 조형하는 방법은 약간씩 차이가 난다. 구황동 벌판에 외롭게 서 있는 당간지주 한 기.

 

분황사의 것으로 보이는 이 당간지주는, 양 기둥에 별다른 조각을 두지 않은 간결한 모습이다. 그런데 이 당간지주는 다른 면이 있다. 훼손이 되어 처음에는 무엇인지 잘 몰랐다. 그러나 기둥사이에 놓인 당간의 받침돌을 들여다보니 특이하게도 거북모양이다. 동편을 바라보고 있는 당간지주 사이의 간대가 돌거북이라니 놀랍다. 전국을 다니면서 수많은 당간지주를 보았지만, 이렇게 받침돌이 거북의 형상을 한 것은 처음 만났다.

 

하긴 아직 우리나라에 있는 문화재의 10% 정도나 보았을까? 20년이 넘는 세월을 전국을 다니면서 문화재 답사를 하였지만, 이제 겨우 눈을 떠가고 있는 정도이다. 그리고 그 많은 문화재들의 아주 작은 일부분을 보았을 뿐이다. 마음이 바빠진다는 것은 바로 이렇게 많은 문화재들이 아직도 기다리고 있다는 생각 때문이다.

 

분황사 것으로 추정되는 당간

 

분황사 바로 남쪽에 자리하고 있는 당간지주. 기둥의 안쪽 면에는 아래와 중간, 윗부분에는 당간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을 뚫어 놓았다. 이 구멍은 당간지주를 관통해 당간을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밋밋한 형태로 조성을 한 당간지주는 통일신라시대의 것으로 추정한다.

 

 

천년 세월을 그렇게 서 있었을 당간지주 한 기. 분황사당간지주는 아마도 숱한 신라의 역사를 지켜보았을 것이다. 문화재를 답사하면서 만나게 되는 전국에 산재한 수많은 문화재들이 발길을 붙들고 있는 것은 바로 그런 문화재들이 안고 있을 이야기 때문이다. 아마도 대화를 할 수만 있다면 우리의 한 맺힌 역사를 더 많이 들을 수 있으련만.

 

빗방울이 떨어지기 시작한다. 걸음을 재촉해 당간지주를 떠난다. 비를 피할 수 있는 곳으로 이동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걸음을 옮기면서도 뒤를 자꾸만 돌아보게 되는 것은, 그 오랜 세월 저렇게 비바람에 씻기면서도, 그 자리를 지키기 있다는 굳건함 때문이다. 오늘 따라 조금만 더워도 답사를 미루고 있는 나 자신이 무척이나 초라하게 느껴진다.

당간이란 절에서 커다란 행사를 할 때 내거는 깃발을 말한다. 대개는 절 입구에 당간을 내 걸게 되며, 이 당간을 거는 지주 대를 당간지주라고 한다. 당간을 세우는데 필요한 버팀기둥인 당간지주는, 돌을 양편에 세우고 위아래에 구멍을 뚫어 깃대를 받쳐주는 빗장을 끼워 당간을 고정시킨다.

 

과거 전국의 있는 절집을 찾아가면 이 당간을 만날 수가 있다. 당간은 대개 나무나 돌로 만들어 세우는데, 어느 곳에는 철로 만든 당간이 있는 곳도 있다. 국보 제41호 용두사지 철당간은 당간지주를 세우고, 깃대를 세우는 당간을 철로 만들었다.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에 자리한 용두사지는 고려 광종 13년인 962에 창건되었으나, 고려 말의 잦은 전쟁과 난으로 인해 폐허가 된 절이다.

 

부석사 입구에 선 당간지주

 

지금은 국보로 지정된 철당간 하나가 덩그러니 남아있을 뿐이다. 라지만 이 철당간의 위용으로 보아 당시 용두사가 어떠한 절이었는가를 가늠할 수 있다.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17에 소재한 부석사. 많은 국보와 보물이 있는 부석사 입구에 서 있는 이 당간지주는 보물 제255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부석사 입구에 1m 간격을 두고 마주 서 있는 이 당간지주는, 마주보는 안쪽 옆면과 바깥면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다. 양쪽의 모서리의 모를 둥글게 다듬었으며, 기둥 윗부분은 원을 2겹으로 경사지게 조각하였다. 옆면에는 3줄의 세로줄이 새겨져 있기도 하다. 기둥머리에는 깃대를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네모 모양의 홈이 파여 있다.

 

기둥 사이에는 한 돌로 된 정사각형의 받침 위에 원형을 돌출시켜, 깃대를 세우기 위한 자리가 마련되어 있다. 이 주변에는 연꽃을 장식하고, 윗면 중앙에는 구멍을 뚫어 당간의 밑면을 받치고 있다.

 

 

통일신라 전기에 세운 당간지주

 

천년 세월을 훌쩍 뛰어넘어 부석사의 입구에 서서, 부석사를 드나드는 많은 인간들을 비켜보았을 당간지주. 높이 2.28m의 부석사 당간지주는 양 기둥의 꼭대기에 내면 상단에서 외면으로 내려오면서, 호선을 그리며 외부로 꺾어졌다. 이 호선은 1단의 굴곡을 두었을 뿐, 별다른 장식이 없이 밋밋하다.

 

이 굴곡부에서 당간지주 사이에는 아름다운 연꽃을 조각한, 원형의 간대석이 놓여 있다. 앞뒷면이 중앙에 종선문이 내려오고, 정상부에는 2단의 아름다운 원호가 경사진 형태로 조각이 되었다. 측면에도 3조의 종선문이 있다.

 

 

부석사 당간지주는 대체로 꾸밈을 두지 않아 소박한 느낌을 주는 당간지주이다. 또한 가늘고 길면서도 아래위에 다소 두께 차이가 나 있기 때문에 오히려 안정감을 주며, 간결하고 단아한 각 부분의 조각으로 보아 통일신라 전기의 작품으로 추정한다. 그 오랜 시간을 풍화에 노출이 되어있었으면서도, 아직도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이러한 부석사의 당간지주를 만나면서 느끼는 것이 있다. 이 절집을 드나들던 수많은 사람들이, 이 당간지주 앞에 서서 합장을 하고 얼마나 많은 서원들을 했을까? 그리고 그 서원들이 모여, 이 당간지주가 천년을 넘기면서도 이렇게 당당하게 서 있는 것은 아닐까? 그런 생각이다. 아마도 앞으로 또 천년, 부석사의 당간지주는 그렇게 손들을 맞을 것이다.

천흥사는 고려 태조 4년인 921에 창건되었다가, 조선시대에 폐사되어 지금은 그 터만 남아 있다. 천흥사지는 충남 천안시 성거읍 천흥리 일대를 말한다. 이곳에는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을 옮겨 보관이 되고 있는, 국보 제280호인 천흥사지 동종과 아울러 천흥사지에 남아있는 보물 제99호 당간지주와 보물 제354호인 천흥사지 오층석탑이 있다.

 

이 국보인 천흥사지 동종 위패형 명문에 양각이 되어있는 "聖居山天興寺鐘銘 統和二十八年庚戌二月日"이라는 문구로 보아, 고려 현종 원년인 1010년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명문가운데 '통화(統和)는 중국 요의 연호로 고려 현종 원년에 해당한다. 이 당간지주와 오층석탑도 범종과 같은 해에 조성된 것으로 보여, 올해가 벌써 햇수로 1000년이 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천년 지난 고려 초의 당간지주

 

당간지주란 절에서 각종 의식을 행할 때 악귀가 침범하지 못하도록 '당간(幢)'이라는 깃대를 세우는 지주를 말한다. 당이란 부처의 공덕을 표시하는 마귀를 내쫒는 깃발이다. 이 당을 깃대에 매달고 양편에 석물이나 철물로 조성된 지주를 세우게 되는데, 이를 '당간지주'라고 부른다.

 

천흥사지 당간지주는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보이는 당간지주보다, 상당히 정형화된 미를 나타내고 있다. 당간지주를 고이는 기단의 이층부에 새긴 안상 등이 우수하다. 더욱 두 개의 화강암 돌로 만들어 당간지주를 붙들고 있는, 기단의 이층은 안상의 조각만이 아니고, 상당히 섬세한 형태로 꾸며졌다. 전체적인 모습은 통일신라의 형태에서 약간 퇴화한 듯도 하지만, 일반적인 고려 때의 당간보다는 화려한 듯 하다.

 

 

 

천흥사지 당간지주는 양편의 지주석이 두자 정도 사이를 두고 있다. 그리고 그 사이에는 당간을 세우는 네모난 돌이 있고, 중앙에는 당간이 고정될 수 있도록 둥근 홈을 파 놓았다. 당간지주는 2단의 기단 위에 올렸는데, 양편의 지주 돌은 3m 정도의 높이로 밑을 2단의 지주가 받쳐 힘을 받게 했다.

 

오층석탑과 동일한 안상을 새겨

 

보물 제99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천흥사지 당간지주는 마을로 들어가 개울을 건너 민가 앞에 서 있으며, 내를 건너 300m 정도 떨어진 곳에는 보물 제354호로 지정된 천흥사지 오층석탑이 서 있다. 이 탑이 당간지주와 동일한 고려 현종 원년인 1010년에 세워졌다는 것은, 기단에 새긴 안상이 동일하다는 것이다.

 

 

 

결국 이 당간지주와 오층석탑의 안상이 동일하고, 그 조각 수법이 한 사람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어 두 개의 석물이 동일인에 의해 동일한 시가에 조성이 되었다는 것이다. 신라시대의 탑 형태를 하고 있는 천흥사지 오층석탑은 이층 기단을 갖추고 그 위에 오층탑을 쌓았는데, 이 석탑 역시 기단에 안상을 조각하였다. 각 면에 7구씩 새겨져 있는 안상은 당간지주의 안상과 동일하다.

 

탑과 당간지주가 300m 이상 떨어져 있다는 것은 천흥사가 당시에 얼마나 큰 사찰이었는가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고려 태조 왕건과도 관계가 있었다는 천흥사는, 태조 4년인 921년에 창건하여 현종 원년인 1010년에 대대적인 불사를 했음을 알 수 있다.

 

 천년 세월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

 

천흥사지 당간지주는 천년 세월을 지낸 화강암의 석조물치고는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당간지주의 상단은 훼손이 되었지만, 뒤편에 있는 기둥 돌의 선 등은 그대로 나타나 있다. 또한 자주와 지주 사이에 있는 당간을 세우는 받침돌이나, 기단부의 이층 돌들은 상당히 보존이 잘 되어있다. 1010년에 조성을 하였으니, 올 해로 꼭 천년을 서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당간지주가 천흥사지에 집들이 들어차면서, 당간지주와 오층석탑이 마을의 집들 가까이 있어 안타깝다.

 

 

천흥사지가 조선시대에 폐사가 되었다고 하지만, 국보인 동종이나 오층석탑, 당간지주 등이 남아있어 역사적으로 소중한 사지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지의 문화재 주변에 있는 민가들이라도 정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문화재 주변이 정리가 되어있지 않아, 또 다른 이차 훼손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 103번길 4 (석수동 212 - 1)에 자리한 보물 제4호인 중초사지 당간지주. 통일신라 때 만들어진 시기가 당간에 적혀있어, 조성연대를 자세히 알 수 있는 소중한 문화재이다.

 

당간에 지주명이 명기되어 있어

 

당간에 기록된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보력 2년(신라 흥덕왕 1년, 826년) 세차 병오년 8월 초엿새 신축일에 중초사(中初寺) 동쪽 승악의 돌 하나가 둘로 갈라져 이를 얻었다. 같은 달 28일 두 무리가 일을 시작하여, 9월 1일 이곳에 이르렀으며, 이듬 해 정미년(827년) 2월 30일에 모두 마쳤다. 이 때의 주통은 황룡사의 항창화상이다. 상화상은 진행법사이며, 정좌는 의설법사이고, 상좌는 연숭법사이다. 사사는 둘인데 묘범법사와 칙영법사이다. 전내유내는 둘인데 창악법사와 법지법사이다. 도상은 둘인데 지생법사와 진방법사이며, 작상은 수남법사이다.」

 

 

이로 인한 내용으로 보아 당시 중초사에는 많은 무리의 승려들이 생활을 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크고작은 직분을 갖고 있는 승려만 보아도 10여명이 넘기 때문이다. 당시는 국통 밑에 주통과 군통이 있었는데, 중초사에 주통이 있었다는 것은 중초사가 작은 사찰이 아닌 위치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당시에 절의 살림을 맡아하는 원주(정좌), 교육을 담당하는 교무(사사), 자금의 츨납 및 사무를 관장하는 재무(상좌) 등이 있었다는 것은 소임을 맡지 않은 승려들이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중초사에서 승악(현재의 관악산을 뜻한은 것으로 보임)에서 8월 6일 돌을 취하여, 28일에 두 개의 돌을 두 무리가 나누어 중초사로 운반을 시작하기 시작하였으며, 9월 1일에 중초사에 도착을 한 것으로 적고 있다.

 

 

 

 

부처와 보살의 공덕을 기리는 불구

 

당간이란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절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장대를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하기에 절의 입구에 세워 부처와 보살의 공덕을 기리는 이 당간은 당과 당간, 그리고 지주로 구분이 되어있다.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는 양 지주가 원래 모습대로 85㎝ 간격을 두고 동서로 서 있다. 이곳을 중초사터라고 하는 것은 서쪽지주의 바깥쪽에 새겨진 기록에 따른 것이다. 현재 지주의 기단은 남아있지 않고, 다만 지주 사이와 양쪽 지주의 바깥에 하나씩 총 3장을 깔아서 바닥돌로 삼고 있는데, 이 역시도 원래의 모습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기단 위에 당간을 세우는 받침은 지주 사이에 돌을 마련하고 그 중심에 지름 36㎝의 둥그런 구멍을 뚫어서 마련하였다. 양쪽 지주에 장식적인 꾸밈이 없으며, 윗부분을 둥글게 다듬은 흔적이 있어 시대가 오래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당간을 고정시키기 위한 간구멍을 각각 지주의 상·중·하 세 곳에 뚫었다.

 

굳게 닫힌 문, 한 바퀴 돌아오니 활쫙 열려

 

2012년 3월 3일 안양으로 향했다. 이것저것 석수동 인근에 있다는 문화재들을 촬영한 욕심에서이다. 먼저 중초사터를 찾아 들었으나, 당간지주와 석탑으로 들어가는 입구의 철문에는 굳게 잠을통이 걸려있다. 한참을 밖에서 애를 태우며 서성거리고 있는데, 마을 주민들이 토요일이면 12시에 문을 걸고 담당자가 퇴근을 한다는 것이다.

 

근 30분 이상을 안양시청과 구청, 동사무소 등에 연락을 취해 보았지만, 돌아오는 대답은 ‘잘 모르겠음’이란다. 어딜 가나 문화재를 이렇게 홀대하는 것에 가장 분통이 터진다. 더욱 요즈음은 주말과 휴일이면 문화재 답사를 다니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은 편이다. 이렇게 잠겨 있는 문화재를 볼 때마다 참 답답하다.

 

근처에 있다는 석수동 마애종을 먼저 찾아보고 돌아오는 길에 보니, 당간지주가 있는 곳에 사람들이 있다. 걸음을 빨리해 쫒아가니 굳게 닫힌 철문이 열려있다. 아마도 그 안에 건물이 볼일이 있었던 모양이다. 얼마나 다행한 일인가. 밖에서만 바라볼 수밖에 없었던 소중한 문화재를 만난 것이다.

 

 

 

 

중초사지 당간지주는 섬세하지는 않아도, 단정한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서쪽 지주의 바깥쪽에 새겨진 명문은 모두 6행 123자로 해서체로 쓰여졌다. 이 글에 의하면 신라 흥덕왕 1년(826) 8월 6일에 돌을 골라서 827년 2월 30일에 건립이 끝났음을 알 수 있다. 당간지주에 문자를 새기는 것은 희귀한 예로, 만든 해를 뚜렷하게 알 수 있는 국내에서 유일한 당간지주이다.

 

중초사가 어떤 절이었는지, 지금은 알 수가 없다. 하지만 주변 가까운 것에 마애종들을 볼 때 아마도 당시 중초사란 절은 상당한 규모의 절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한 중초사가 당간지주와 삼층석탑만을 남기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수많은 우리의 문화재들이 이렇게 제대로 된 기록하나 남기지 않고 사라져간 것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