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길로 잘 조성된 생태통로. 이 구간이 에코브리지이다. 밑으로는 차도가 있다 

 

사람들은 아름다운 길을 걷기를 좋아한다. 자연친화적인 그런 길을 걷노라면 저절로 힐링이 되기 때문이다. 수원에는 이런 자연친화적인 길들이 많이 있다.사람들은 늘 이런 길을 걷지는 못한다고 해도, 가끔은 그런 길을 한 번씩 걷는다는 것만으로도 행복을 느낄 수가 있기 때문에 길을 걷는다.

 

수원시에 조성된 광교신도시. 광교신도시는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원천동, 하동과 팔달구 우만동, 장안구 하광교동, 상광교동 및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일원에 11,282규모로 조성되고 있다. 광교신도시의 관할구역은 수원시가 전체의 88%, 용인시가 나머지 12%를 관할하고 있다.

 

 

31천세대의 가구에 77천명이 거주하게 될 광교신도시는 개발사업의 주체가 경기도지사, 수원시장, 용인시장, 경기도시공사사장 등이다. 20046월에 지구지정, 200512월 개발계획 수립, 20076월 실시계획 수립, 200711월에 착공하였으며, 201112월에 1차 준공을 마쳤다.

 

도시의 기능은 주민이 최초로 입주한 20116월에 시작되었으며, 도시의 완성은 주민입주, 공공청사의 입주, 상업용지의 활성화 등 도시의 기능이 완료되는 시점인 2018년 이후로 본다. 아직도 광교신도시는 여기저기 공사를 하는 곳을 많이 볼 수 있다. 완전한 도시가 되기 위해서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한 곳이다.

 

 

자연과 인간이 만나는 곳

 

이 광교신도시에는 광교산을 비롯하여, 광교중앙공원, 광교역사공원, 광교호수공원, 안효공원, 혜령공원, 사색공원, 연암공원, 다산공원 등이 들어서게 되며, 수원박물관과 광교역사박물관이 자리하고 있다. 이 광교신도시 주변을 한 바퀴 도는 생태통로가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즐겨 걷는 명소가 되었다.

 

이 생태통로는 사람과 동물이 공존하는 길이다. 이곳에는 모두 10개의 끊어진 구간을 잇는 에코브리지가 있다. 도로 위를 잇는 이 에코브리지에는 숲을 조성해, 동물이나 사람들이 이곳이 끊어진 구간이 아닌 자연스런 숲처럼 마음놓고 즐길 수 있도록 조성을 했다. 이와 같이 에코브리지와 공원 등이 자리하고 있는 광교신도시의 녹지율은 전국 신도시 중 최고수치인 41.7%나 된다.

 

맥문동 등이 지천으로 갈린 공원에는 쉼터도 마련되어 있다

 

정말 이 길로 여우가 다녔을까?

 

광교신도시를 한 바퀴 돌아볼 수 있는 생태통로. 지난 해 조성을 마친 이 길은 사람과 동물이 공존하는 길이다. 수원 봉녕사 입구서부터 걷기 시작해 광교산까지 이어지는 이 길에는 10개의 다리가 있다. 에코브리지는 집승들이 도로로 인해 끊어진 곳을 마음대로 다닐 수 있도록 조성을 한 구조물이다.

 

10개소의 다리는 저마다 이름이 있다. 반딧불이다리, 나비잠자리다리, 소나무다리, 갈참나무다리, 풍뎅이다리, 여담교, 하늘소다리, 무지개다리, 꽃더미다리, 새터다리 등이다. 다리마다 이름이 다르 듯 그 분위기도 다르다. 그래서 이 길을 많은 사람들이 즐겨 걷는다. 봉녕사에서 나비잠자리다리로 가는 길이 바로 여우길이다.

 

 

왜 이 길 이름이 여우길일까? 올해는 꽃들이 지난해보다 일찍 피었다. 날씨도 예년에 비해 한결 따듯해졌다. 3월의 끝 날에 찾아간 생태통로에는 사람들이 한가롭게 걷고 있다. 아스팔트에 지친 발을 이렇게 흙을 밟고 걸을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이다. 길가 주변에는 작은 정자 등 쉼터가 있고, 맥문동 등 많은 꽃들이 심겨져 있다.

 

아직은 지난해 생태통로를 조성하면서 식재를 한 나무들이 제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지만, 수년 내에 이 길은 아름다운 숲이 우거질 것으로 보인다. 여우가 다니기라도 한 것일까? 여우길이라는 푯말이 서 있다. 타박타박 길을 걸으면서 생각해 본다. 예전 같으면 이 길을 여우들이 지났을 것이라고. 수원의 또 하나의 명물이 된 광교생태통로. 봄은 그곳에서 기지개를 켜고 있었다.


선돌은 고인돌과 더불어 대표적인 ‘거석문화(巨石文化)’에 속한다. 선돌은 우리나라의 고인돌이 상당수가 있는데 비해, 많이 분포되어 있지는 않다. 선돌의 분포지역은 함경도부터 제주도에 이르기까지 전국적이다. 선돌은 돌을 세웠다는 뜻으로, ‘삿갓바위’나 ‘입암(立岩)’이라고도 부른다.

이 선돌은 지역마다 부르는 명칭이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는데, 구지바위, 수구맥이, 수살맥이, 수살장군, 석장승, 할머니·할아버지 탑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부르고 있다. 선돌의 형태는 위가 뾰족한 자연석을 그대로 이용하기도 하는데, 대개는 선돌에 구멍을 파거나 줄무늬를 그려 넣기도 한다.


기자속이나 자손창성과 연결이 되

선돌은 그 형태에 따라 암돌과 숫돌로 구분이 된다. 끝이 뾰족한 것은 숫돌이고, 뭉툭한 것은 암돌이다. 이는 이 선돌이 기자속과 연관이 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선돌에 일곱 개의 구멍을 뚫은 것은 칠성의 믿음과 연관이 되는 것으로, 이는 자손창성을 기대하는 것이다. 또한 많은 성혈인 구멍이 뚫린 것은 모두 기자속과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선돌은 아들을 바라는 기자믿음으로 보여진다. 선돌은 마을의 어귀나 구릉지대, 논이나 밭 등에 서 있다. 그러한 선돌은 선사시대 신앙물로 이어지면서, 신성한 지역을 알리거나 기자속까지 연결이 된다.


전주에서 남원 방향으로 가다가 보면, 남원 못 미쳐 장수, 금산 방향으로 가는 길이 좌측으로 나온다. 그곳에서 조금만 가면 지사면 영천마을에 도착한다. 이 마을 길가에는 커다란 선돌 한 기가 서 있다.

빨래판으로 사용했던 선돌

이 선돌은 연대가 정확하지는 않지만, 돌에 새겨진 성혈로 보아 아마도 선사시대의 입석으로 보인다. 이 선돌은 마을 사람들이 냇가에 갖다놓고 빨래판으로도 사용을 하였고, 개울을 건널 때 다리로도 사용을 한 돌이라고 한다. 2009년 까지는 버스정류장 부근에 서 있던 것을 현재의 자리로 옮겨 세웠다고 한다.



이 선돌은 특이한 면이 있어 TV에 방영이 되기도 했다. 길게 일렬로 조성을 한 성혈 12개가 나란히 돌의 한 쪽 면에 나란히 새겨져 있다. 이렇게 12개의 성혈이 조성되었다는 것은 12지를 뜻하는 것으로도 본다. 이렇게 12개의 성혈이 나란히 조형이 되어있는 형태는, 우리나라 전체의 선돌이나 고인돌에 새겨진 성혈 중 매우 희귀한 경우이다.

성혈의 크기는 직경이 8~10cm 정도에, 깊이가 2~5cm 정도나 된다. 돌의 한편에 나란히 새겨진 이 성혈의 의미를 두고 많은 해석을 하는 것도, 이러한 경우가 거의 발견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마을에서 ‘빨래판 선돌’이라고 부르는 이 선돌은 아마도 신성한 지역을 알리는 표식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선돌은 삼한시대 소도나 솟대 등으로 변했다고 하는 학설도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지사면의 빨래판 선돌의 경우도 그러한 경우가 아니었을까? 누군가에 의해 간절한 염원을 담고 조형을 한 것으로 보이는 12개의 성혈. 많은 선돌들이 뒤늦은 연구로 인해 훼손이 되었지만, 이런 희귀한 선돌은 그 가치가 매우 높아 좀 더 전문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