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이상하리만치 고래 등 같은 기와집보다는 초가집이 마음에 와 닿는다. 아마 나더러 초가집과 기와집 중 둘 중에 하나를 택하라고 하면, 주저하지 않고 초가집을 택할 것이다. 초가집의 역사는 언제부터였는지 알 수 없다. 다만 신라시대의 경우 서라벌 안에는 기와집만을 짓게 했던 곳으로 보아 그 이전부터 초가가 전해 내려왔던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초가라 하면 볏짚으로 지붕을 이은 집을 말하지만, 원래는 자연에서 채취한 갈대나 억새, 띠 등을 이용하여 지붕을 엮은 새나리 지붕이 그 원조였을 것으로 본다. 새나리 지붕은 비교적 수명도 길고 깨끗하기는 하지만 재료를 구하기가 힘들어 쉽게 구할 수 있는 짚을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초가집. 가장 정겨운 집의 이름이다.

 

그래서 농촌에서는 볏짚으로 이은 것이 많다. 그리고 기둥은 소나무, 벽면은 흙을 이용하여 집을 지었다. 볏짚은 가을에 추수가 끝나면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장점 외에도, 단열과 보온성이 우수하여 많은 집들이 짚을 이용하여 지붕을 덮었다. 그러나 여름철에는 벌레가 생기며 화재의 위험이 높다는 점도 있다. 또 볏짚을 매년 한 번씩 다시 바꾸어 지붕을 이어야 하므로 번거롭기도 하다.

 

초가집은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나무로 기둥을 세운 다음 벽체는 대나무나 수수로 엮어 흙벽으로 하여 지붕을 올리는 <뼈대집>, 앞쪽을 제외한 세 면을 블록처럼 찍어 만든 흙 담을 쌓아 지붕을 올리는 <담집>이다. 이러한 초가집은 한때는 가난과 게으름의 상징이라고 하여 철거를 하고, 새마을 가옥이라고 하여 양철지붕을 올리고 붉은색과 푸른색을 칠해 우리의 전통적인 미를 말살시키기도 했다.

 

요즈음에는 집단으로 초가집이 있는 곳은 민속마을이라고 하여 보존을 하기도 하는 등 우리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새롭게 초가에 대한 아름다움을 재조명 하고 있기도 하다.

 

 

이웃의 온기가 전해지는 초가

 

난 나름대로 초가를 좋아하는 이유가 있다. 그것은 그 초가 안에 아주 작고 소담한 우리 민초들의 바람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흔히 초가의 지붕을 새로 올릴 때 용마루에 해당하는 것을 용마름이라고 하여 머리를 땋듯 엮어나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제는 그런 기능도 연세가 드신 몇 분만이 제대로 하신다고 하니 그 기능을 전승시키는 것도 적은 일은 아닐 것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요즈음에는 인터넷이라는 매체를 통해서 용마름을 엮는 방법 등이 소개가 되고 있어 기본적인 내용이 글과 그림으로 정리가 되어있다는 점일 것이다. 용마름이란 용을 엮어 말아 놓은 단을 말한다. 이러한 마을사람들이 모여 공동작업으로 하는 초가집 이엉엮기 등은 모두 우리의 공동체를 지켜내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초가 안에는 따듯한 이웃의 온기가 전해진다.

 

 

그런데 왜 지붕을 '용마름'이라고 했을까?

 

용이란 임금을 뜻한다. 아마도 나랏님을 상징하는 용을 지붕 위에 얹어, 그 보호를 받는 것을 상징한 것은 아니었을까? 용으로 지붕을 덮는 것은 임금에 대한 충성심이었을 것이다. 그 예로 궁의 임금의 숙소나 왕비의 숙소를 보면 그 곳에는 용마루가 없다. 한 지붕 안에 두 마리의 용이 있을 수 없다는 생각이란다.

 

즉 임금이 용이기 때문에 용 위에 또 용이 군림할 수 없다는 뜻이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보아 모든 가옥의 지붕 중앙의 가장 높은 곳을 용마루, 혹은 용마름이라 부르는 것은 바로 임금에 대한 충성심의 표현이란 생각이다.

 

 

이제는 단순히 서민을 상징하고 가난을 상징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것의 아름다움을 그 안에서 찾는가 하면, 좀 더 우리답고 멋스러움을 찾는 초가집. 난 그래서 황토로 벽을 올리고 이엉을 엮어 용마루를 튼 초가집을 더 좋아하는지도 모르겠다. 짚이 부족하다고 하니 원초적인 모습대로 갈대와 억새, 띠와 칡넝쿨을 이용한 초가 한 칸을 짓고 살고 싶다.

 

가을이 되면 초가지붕 위에 무게가 나감직한 박덩이가 달린 모습을 보며 살고 싶다. 그리고 그 안에서 이웃과 함께 보리밥에 직접 농사를 지은 풋고추 몇 개 따서, 된장을 찍어먹는 소박함을 맛보고 싶다.

9월 22일 토요일, 오후 2시 경에 갑자기 지동의 골목길에 왁자하다. 무슨 일인가해서 들여다보았더니, 사람들이 벽에 붙어서 무엇인가를 열심히 그리고 있다. 사단법인 수원시종합자원봉사자센터 이경묵 팀장의 인솔로, 지동 골목 벽화를 그리기 위해 찾아 온 30여명의 자원봉사자들이 여기저기 나뉘어 벽을 칠하고 그림을 그린다.

 

지동의 골목길 벽화는 청년작가들과 함께 삼성전자, 삼성생명, 회사 사원들과 일반 자원봉사자 그리고 주민들이 함께 만들어 내는 작품이다. 지난해 280m의 골목길 벽화작업에 이어, 올해는 680m의 벽화작업을 하고 있다고 한다. 올해 골목 벽화작업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의 4계절을 벽화에 표현하는데, 그림을 그리기 위해 자원봉사자들이 지동 골목길을 찾아든 것이다.

 

 

 

가족봉사자들도 참여 해

 

30여명의 자원봉사자 중에는 가족이 함께 참여한 사람들도 있다. 친구끼리 참가를 하기도 하고, 아버지와 딸, 엄마와 두 딸의 가족도 있다. 수원시 장안구 송죽동에 거주한다는 김현주(엄마, 41세)는 큰딸 이혜림(중 1)과 작은딸 이유림(초 4)을 데리고 벽화작업에 자원봉사를 지원했다고 한다.

 

“오늘로 세 번째 참가하고 있어요. 아이들이 하고 싶다고 해서 벽화작업에 참가를 했는데, 날이 덥고 해서 조금 힘들기는 하지만 아이들이 워낙 좋아하네요. 또 이렇게 그림을 그리고 나서 나중에 이곳을 지날 때는, 저 그림이 내가 그린 것이라는 생각을 하면 자부심을 느낄 수도 있고요”

 

 

 

열심히 담벼락에 담쟁이넝쿨의 잎 작업을 하면서 하는 말이다. 친구들이 함께 참여를 하기도 했다. 열심히 봄에 해당하는 벽에 개나리꽃을 그리고 있는 김민기(계원여고 1년), 박은주(장안고 1년), 장원경(장안고 1년) 등은 벽에 붙어서서 열심이다. 그림을 전공한다는 이 학생들은 한창 놀고 싶은 나이에 이런 벽화그림을 지원했느냐고 물으니

 

“저희는 미술을 전공하기 때문에, 이런 작업이 많은 도움이 되기도 해요. 토요일에 이렇게 한 번씩 봉사를 하면 기분도 좋아지고, 공부에도 도움이 되거든요. 나중에 벽화가 다 완성이 되면, 이루었다는 뿌듯함도 가질 수 있고요”

 

이렇게 벽화작업을 하는 자원봉사자들이 있기 때문에, 지동의 칙칙하던 골목이 달라지고 있다. 아직은 한낮의 기온이 높기도 하다. 따가운 햇살로 인해 봉사자들이 쉽게 지친다. 그런 봉사자들을 위해 주민들은 얼음물을 내다주며 격려를 하기도. 사람 사는 재미가 무엇인지를 알아간다는 지동 사람들은, 요즈음 골목 벽화작업으로 인해 사는 재미를 붙여간다는 것.

 

 

7살 꼬마 형주는 골목길에서 이름난 화가

 

골목을 들어서면 벽 한 면이 온통 나비들로 가득하다. 유치원과 초등학교를 다니는 꼬마들이 그린 나비들이 벽에서 날아다닌다. 그렇게 벽에 붙어서 나비를 그렸을 꼬마들을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행복하다. 건너편 벽에 작은 꼬마가 열심히 그림을 그리고 있다.

 

“이름이 무엇예요?”

“김형주입니다.”

“몇 살예요?”

“일곱살요.”

“여기 몇 번째 왔어요?”

“..... 세 번요(한참이나 생각을 한다)”

“그림 그리는 거 재미있어요?”

“예, 재미있어요.”

 

너무나 진지하게 그림을 그리고 있는 꼬마화가에게 방해를 하는 것 같아, 더 많은 질문을 할 수가 없다. 그 옆에는 누나들이 벽에 붙어 열심히 그림을 그리고 있다. 지동골목에서 꼬마화가 형주는 이미 유명세를 타고 있었다.

 

 

날마다 변해가고 있는 지동골목. 얼마 전까지만 해도 칙칙하던 골목길이 환하게 변화고 있다. 5개년 계획으로 그려지고 있는 지동벽화길. 아마도 3.6Km에 달한다는 14개의 골목길 벽화가 다 그려지는 날에는, 이곳이 또 다른 명소가 될 것이란 생각이다. 지금도 간간히 사람들이 찾아들어 골목에서 눌러대는 셔터소리가 들리는 것을 보면.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