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인들의 공간인 '내당'과 '내별당'

99칸 양반집의 특별함은 바로 내, 외의 구분이 명확하다는 것이다. 대문을 들어서면 만나게 되는 줄행랑과 바깥사랑채. 그리고 그 사이에 난 작은 문을 통해서 뒤편으로 나가면 만나게 되는 큰사랑채와, 담 너머에 있는 외별당까지가 바로 남자들만의 공간이다.

그와는 달리 중문을 들어서면 안행랑채와 안채인 내당, 그리고 내당 뒤에 자리한 내별당과 안초당은 여성들만의 공간으로 꾸며져 있다. 2월 18일 찾아간 한국민속촌의 22호집인 99칸 양반집. 그 네 번째로 여성들만의 공간인 안채인 ‘내당’과 내당 뒤편에 초가로 마련한 ‘내별당’을 둘러본다.


여러 개의 방을 드린 내당

99칸 양반집의 내당은 한 마디로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고택의 안채와는 차이가 난다. 일일이 돌아보기에도 꽤 시간을 필요한 건물이다. 장대석으로 기단을 쌓고, 높직하니 올라앉아 안행랑과 구별을 하였다. ㄱ 자로 지어진 내당은 벽면에 십장생을 조각할 정도로 공을 들인 집이다.

이 내당은 안주인은 물론, 여성들만의 생활공간으로 꾸며져 있다. 이곳에서 안주인은 손님들(여성)을 맞이하거나, 여가활동 등을 즐기던 곳이다. 한 마디로 여성들만의 가정사와 문화적인 면이 이루어지던 곳이다.



이 99칸 양반집의 내당은 중부지방의 특징을 잘 보이고 있으면서, 안방 뒤편에 위방을 달아낸 형태이다. 집은 넓은 대청을 중심으로 큰 안방과 여러 개의 위방을 두고 있다. 서편에는 방을 두고 다음에 대청을 두었으며, 꺾인 부분에 큰 안방을 놓았다. 안방의 남쪽으로는 건넌방과 부엌을 달아냈다.



이 내당의 특징은 바로 안방 뒤편에 마련한 방들이다. 뒤편을 돌출시켜 모두 세 개의 작은 방을 꾸며 놓았다. 그리고 안사랑채에서 연결하는 통로인 회랑이 이곳 내당의 뒤편으로 연결이 되도록 하였다.



각별한 사람들이 이용하는 안별당

안채인 내당의 뒤로 돌아가면 계단을 쌓고 조금 높게 협문을 내어 놓았다. 그 협문을 통해서 들어갈 수 있는 내별당. 99칸 양반집에서 모정을 제외하고는, 이 내별당과 안초당만이 초가지붕이다. 내별당은 모두 다섯 칸으로 꾸몄으며, 두 칸씩의 방과 동편에 한 칸의 마루방이 있다.


내별당은 내당의 뒤편에 자리하고 있어 은밀하다. 이 내별당을 들어가기 위해서는 내당의 뒤편으로 돌거나, 아니면 안사랑의 회랑을 통해 다시 땅을 밟아야만 한다. 이곳은 내당의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한 곳으로, 내당 마님이나 귀한 손들을 맞이하고는 하던 곳이라고 한다.



외별당이 연희를 하거나 각별한 남자 손님들을 맞이하기 위한 곳이라면, 이 내별당은 안당마님의 특별한 공간으로 사용이 되었을 것이다. 담을 사이에 두고 남쪽으로는 외별당이, 북쪽으로는 내별당이 자리하고 있는 수원 신풍동 99칸 양반집. 이 내당과 내별당에서 그 대단함을 다시 한 번 느낄 수가 있다.

우리는 흔히 큰 대궐 같은 집을 ‘99칸집’이라고 한다. 하지만 정작 99칸이란 궁을 뺀 일반 가옥에서는 가장 큰 집으로, 이런 큰 집을 가졌다는 것은 집 주인의 세도를 알만한 것이다. 한국민속촌 안에 가면 흔히 ‘중부지방 양반가’라는 22호 집이 있다. 이 집이 바로 99칸의 대명사처럼 불리고 있는 집이다.

‘99칸 집’이라고 부르는 이 가옥은 철종 12년인 1867년에 유학자인 이병진 선생이 건립하였다고 한다. 수원 화성내에 팔달산 아래 지은 이집은 (현 수원시 남창동 95번지 일대) 1973년에 원형 그대로 민속촌으로 옮겨 복원시켜 놓은 것이다.

사당 앞에서 바라다 본 한국민속촌의 99칸 양반집



중부지방의 양반가옥을 대표해

이 99칸 집은 당시 중부지역 민간에서 지을 수 있는 최대 규모로 지어졌다. 우리나라의 전통 양반가옥을 대표하는 남창동 가옥은, 1910년대 을사오적의 한 사람인 이근택(1865~1919)이 사용했던 집이기도 하다. 이 가옥의 사랑채는 지난 1950년 한국동란 때 9, 28 서울을 수복 후에는, 수원지방법원 지방검찰청의 임시 청사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현재까지도 '여인천하' '대장금' '다모' 등 역사 드라마물 촬영지로 자주 이용되고 있으며, 민속촌을 찾는 많은 사람들이 꼭 들리고는 하는 집이다. 남창동가옥을 보면 솟을대문을 둔 대문채, 줄행랑채, 바깥사랑채, 안행랑채, 안사랑채, 내당, 초당, 내별당, 큰사랑채, 외별당, 정각, 사당, 전통정원 등 큰 집 살림에 필요한 모든 공간이 규모 있게 갖추어진 전형적 대가이다.


22호 집인 수원 남창동 99칸 집의 솟을대문(위) 와 행랑채 앞마당


건물 전체에는 마루공간이 많이 배치되어 있으면서도, 굴뚝을 건물에서 떨어져 설치하여 난방의 효율과 함께 조형미를 살린 점은 전형적인 중부 상류층 가옥의 형식이다. 2월 18일 찾아간 이 99칸 집을 한 번에 소개하기는 어렵다. 모든 건물은 각각 독립건물로 구성되어 있어 몇 회로 나누어 소개를 하고자 한다.

바깥사랑과 행랑으로도 규모에 놀라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줄행랑이 좌우로 펼쳐진다. 우측의 행랑과 바깥사랑채 사이에는 후원인 뒤편으로 나가는 문이 있다. ㄷ 자로 된 줄행랑은 모두 19칸이며, 그 안에는 마굿간을 비롯하여 마부방, 측간, 하인방과 부엌, 곳간 등으로 꾸며져 있다. 이 대문과 연결이 된 줄행랑만 보아도 이 집의 규모가 짐작이 간다.



솟을대문 안으로 들어가면 ㄷ 자로 꺾인 행랑채가 있다. 이 행랑채가 길게 이어져 있어 '줄행랑'이라고 부른다. 맨 아래는 큰 사랑이 있는 후원으로 나가는 문이다. 


바깥사랑은 이 집을 찾아 온 손님들이 머물거나 유숙을 하는 곳이다. 사랑채가 공간이 부족할 때 사용하기도 했다는 이 바깥사랑은 다섯 칸으로 지어져 있으며, 후원으로 나가는 문을 사이에 두고 행랑채와 연결이 된다. 하지만 이 바깥사랑은 엄연히 독립된 공간으로, 행랑채와 구별이 되게 하였다.



바깥사랑채. 행랑채와 문을 사이로 이어져 있으며 손님들이 유숙하는 곳이다.



바깥사랑은 사랑을 바라보면서 좌측 두 칸은 방을 드리고, 두 칸은 대청마루이다. 그리고 우측 한 칸 역시 방을 드려 손님들이 유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바깥사랑과 줄행랑의 앞으로는 너른 바깥마당이 있으며, 중문채를 가기에도 거리가 상당하다.

양반집의 대명사처럼 불리던 수원 남창동 99칸 집. 독립적인 전각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으면서 아름답게 조화를 이루고 있어, 우리 고택의 전형적인 미를 갖추고 있는 집이기도 하다.


동영상 제작은 한국민속촌 답사에 동행한 '수원 씨티넷'의 김홍범 부장이 제작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