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내가 생각해도 팔자소관이다. 어째 집구석에 가만히 붙어있질 못하는 것인지. 그저 가만히 앉아서 그동안 조사한 자료만으로도 얼마든지 글을 쓸 수가 있는데, 하루만 집에 들어앉아 있으면 좀이 쑤셔 견디지를 못한다. 비가 오고 나더니 아침저녁 날씨가 제법 선선해졌다. 열어젖힌 창으로 시원한 바람이 불어온다.

 

아침부터 이리저리 궁리를 해댄다. 그동안 가고 싶었던 곳들을 정리해 놓은 수첩을 뒤적인다. ‘오늘은 이곳을 가볼까? 아니면 이곳이 더 좋을 듯도 한데, 여기는 한 번 다녀오면 너무 많은 경비가 깨질 것 같아 엄두가 나질 않네.’라며 혼자 중얼거리고 있다. 사실 이렇게 혼자 중얼거리면서 갈 곳을 따져보는 시간이 나에게는 가장 행복한 시간이다.

 

답사에 꼭 지참하는 수첩. 일년이면 몇 권씩 사용을 한다.

 

화상을 입어 등이 다 까져지면서 한 답사

 

올 여름은 유난히 더웠다. 그 찜통더위 속에서 몇 날을 답사를 다녔다. 그런데 참 묘한 것이 등이 따끔거리는 것이다. 처음에는 여름철에 땀을 많이 흘려 땀띠라도 난 것이려니 하고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그런데 옷만 스쳐도 따끔거려 신경이 쓰인다. 아픈 것은 둘째 치고 움직이는 것도 쉽지가 않다.

 

등 뒤에 눈이 달린 것도 아니니 상태가 어떤지를 모르겠다. 손을 뒤로 돌려 피부를 만져보니 허물이 벗겨진다. 도대체 등이 왜 이렇게 된 것인지 모르겠다. 동료에게 등을 좀 보아달라고 했더니, ‘허물이 벗겨지고 상처가 났네요.’란다. 여름 더위에 햇빛을 쏘이며 돌아다니다가 보니, 모자 그늘이 지지 않은 등이 허물이 다 벗겨졌는가 보다.

 

올 찜통더위에 답사를 하다가 화상을 입은 등. 이런 일은 처음이다. 

 

세상에 해수욕장이나 물에 한 번 들어가 보지도 못한 체 등에 허물이 벗겨지다니. 올 여름 날씨 한 번 나에게는 참 고된 날이었다는 생각이다. 그렇게 찜통 속에서도 답사를 다니고, 기삿거리가 될 만하면 무조건 사진을 찍어댔다.

 

내 아이들을 위해서 난 길을 걷는다.

 

아침부터 부산을 떤다. 여기저기 전화도 걸어보고, 날씨 등을 알아본다. 곁에서 그런 모습을 보고 있던 동료가 한 마디 한다.

 

“문화재답사 왜 그렇게 열심히 하세요? 돈도 안 되는데. 차라리 연예나 연애기사를 쓰시면 돈이라도 될 텐데”

“글쎄 나도 그 이유를 모르겠네...”

“등 좀 보세요. 까져서 다 벗겨졌는데, 또 나가신다고요”

“선선하잖아”

“암튼 누가 말리겠어요. 병도 아주 지독한 병인가 봐요.”

“그런가보지 그래도 이 병은 고치고 싶지 않네.”

 

찜통더위에 찾아간 문화재는 발굴을 하기 위해 금줄을 쳐 놓았다. 이럴 땐 정말 맥이 풀린다.

 

그냥 웃어버리고 만다.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 가지 않는다는 동료들의 시선이다. 남들은 에어컨을 틀어놓고도 덥다고 난리를 피울 때, 나는 찜통더위 속에서 길을 걸었다. 왜 그래야만 했을까? 그것은 오랜 나와의 약속이었다. 걸음을 걸을 수 있을 때까지는 답사를 계속하겠다는 약속.

 

물론 기사를 올려도 보는 사람들도 많지 않다. 그리고 더 더욱 돈이 되는 것은 아니다. 한 달 내내 답사를 하고 기사를 죽도록 써 보지만, 여기저기 들어오는 돈을 다 합해보아야 단 하루치 답사비도 되지 않는다. 그래도 계속해야 하는 것은 내 아이들에게 조금이나마 사죄를 하기 위해서이다. 아이들이 어린 시절부터 제대로 시간 한 번을 보내지 못했다.

 

7월 25일, 40도를 육박하는 찜통더위에서 마애불에 치성을 드리는 여인. 저 분도 나와 같이 다급한 마음인지 이 더위에 쉴 새 없이 절을 하다니. 

 

그런 아이들에게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이렇게 답사를 한 자료를 책으로 엮어 남겨주고 싶기 때문이다. 살아생전 30권의 책을 채우겠다고 마음속에 다짐을 했다. 책도 책 나름이겠지만, 그동안 여기저기서 낸 책이 22권이나 된다. 남은 것은 몇 년 더 답사를 마치고 나면, 하나하나 정리를 할 생각이다. 그날 까지 힘들어도 견뎌내야만 한다. 오늘은 바람이 시원하다.

 

“아침저녁 날씨가 제법 선선해졌네. 그럼 또 보따리 싸야지.”

차가운 날씨에 조그마한 짐을 실어 나르는 손수레 하나를 끌고, 이집 저집 앞에 쌓인 박스나 신문 등을 차곡차곡 정리를 하고 있는 어르신 한 분. 가끔 길가에서 뵈면 고개를 숙이고 지나치기도 하지만, 제대로 인사 한 번을 하지 못했다. 날이 상당히 추워졌는데도 어르신의 걸음은 여느 날과 다름이 없다.

“날이 추운데 오늘도 나오셨네요.”
“오늘이라고 다를 것이 없으니”
“춥지 않으세요?”
“조금 춥기는 하네. 그래도 아직은 참을 만 해”

추운 겨울 날 여주 5일장에서 만난 환경미화원 김기성씨. 눈이 쌓였는데도 자신이 히야할 일이고, 남들이 불편할까봐 당연히 해야 하는 일이라고 이야기를 했다. 정작 김기성씨는 몸이 불편했다.


어르신에게 물을 수도 없는 인생

감히 어르신에게 왜 이렇게 추운 날 고생을 하시느냐고 물을 수가 없다. 비록 폐지를 줍고는 다니시지만, 어르신에게는 남들에게서 볼 수 없는 무엇인가가 보인다. 그것이 무엇이라고 딱히 이야기를 하기는 어렵지만, 그래도 조금은 범접할 수 없는 기운이라고나 할까? 그러고 보면 요즈음 이렇게 폐지 등을 거두러 다니시는 분들이 상당히 많이 늘었다. 그만큼 세상살이가 힘든 것인지.

“추우신데 막걸리라도 한 잔 하실래요?”
“아녀, 그런 것 먹는다고 몸이 풀리지도 않을 테고. 괜찮아”
“따듯하게 입고 다니셔야죠. 바람이 찬데. 힘드시지 않으세요?”

질문을 해놓고도 참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이 든다. 당연히 춥고, 당연히 힘이 드실 것이란 생각을 왜 말을 하기 전에 미리 못하는 것일까?

“아녀. 얼른 볼일 보러 가. 괜히 바쁜 사람이 늙은이 걱정일랑 말고”
“예”
“난 괜찮아. 그래도 사는 것이 슬프지는 않아. 이렇게 움직일 수 있으니”

그 이상은 대화를 이어갈 수가 없다. 이렇게 추운 날 고생을 하시면서도, 사는 것이 슬프지가 않다는 어르신의 한 마디. 그 말이 심하게 충격으로 다가온다. 아직은 움직일 수 있으니, 힘든 세상살이가 슬플 일이 없다는 것이다.


나약한 우리네들, 괜한 불평만

그러고 보니 예전에 여주 5일장에 대한 책을 쓰기 위해 장을 돌다가 만난 청소부 한 사람. 장애가 있으면서도 눈이 잔뜩 쌓인 날 눈을 쓸고 쓰레기를 치우는 모습을 보면서, 질문을 한 적이 있다. 힘이 들지 않느냐고. 그랬더니 나에게 돌아 온 대답은 날 부끄럽게 만들었다. 자신이 치우지 않으면 금방 길이 눈으로 인해 막혀 사람들이 불편을 겪게 된다고.

자신의 몸이 불편한데도 불구하고, 남을 먼저 생각하는 이런 분들. 우리는 그동안 너무 낯 뜨거운 삶을 살지 않았는가 반문을 해본다. 아마도 세상에 불평만 늘어놓고, 그것도 모자라 속 좁은 생각까지 해가면서 살아온 지난 날. 목장갑 한 켤레가 다 헤어졌는데도, 움직일 수 있으니 슬프지 않다는 어르신의 말씀.

오늘 참 나 스스로에게 회초리를 대고 싶다. 심하게 질책을 하고, 심하게 아파하면서 반성을 할 수 있도록. 구부정한 어르신의 뒷모습을 보면서, 어쩌면 저 어르신이 이 세상의 선지자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한다. 그 모습을 차마 담아내지 못한다. 그것조차 송구스러움에.

단풍이 아름답게 물들었다는 이야기를 들은 것이 바로 엊그제인 듯했다. 그런데 강원도 지방에는 폭설이 내려 길이 미끄럽다고 연신 화면을 하얗게 장식하고 있다. 참 시간이 가는 것은 어쩔 수가 없는가보다. 경기도 지역에도 비가내렸다. 이 비가 그치면 날이 추워질 것이라고 한다.

아우네 집 마당을 나갔다. 빗줄기에 젖어있는 담벼락 밑에 서 있는 하루방들, 그런데 그 옆 단풍나무가 올해는 제대로 물이 들지 않았다. 그러던 단풍이 하루만에 비에 젖어 잎을 떨구었다. 비에 젖은 반쯤 물이 든 단풍잎이 그렇게 아름다운줄 몰랐다. 카메라를 꺼내들고 비를 맞으면 땅에 떨어진 단풍잎을 담아낸다.



그런데 돌하루방마다 단풍잎 한장씩을 머리에 붙이고 있다. 그 모습을 보다가 그저 웃고말았다. 왜 꼭 한 장만일까? 아마도 저 하루방님들 욕심이 없는 것인가보다. 그런 자연 하나에서도 사람들이 배울 것은 참으로 많다는 생각을 해본다. 한 장의 비에 젖은 단픙잎으로 멋을 내고 있는 돌하루방들. 그 모습에 여유가 묻어있다. 그저 보기만해도 기분이 좋아지는. 



그러고보니 요즈음 잠을 제대로 자지 못했다. 이사를 하고 난후 그 많은 CD를 자시 정리를 하느라고. 12월 2일 새벽 3시 27분, 이제야 정리를 마치고 허리를 편다. 찬 물 한 잔이 장을 타고 흐르는 느낌이 좋다. 그동안 메말라 있던 장에 축축하게 젖어드는 느낌이다. 사람이 산다는 것이 어찌보면 말없이 서 있는 저 돌하루방보다도 못하다는 생각을 한다.

살겠다고 아우성을 쳐도 밥 한끼 배부르게 먹을 수 없는 사람들이 우리 주변에는 너무나 많다. 그런데도 기름끼가 가득 낀 배를 매일 기름으로 도배를 하는 사람들도 있다. 나눌줄 모르는 사람들. 죽어서도 그 많은 재물 때문에 아마 저승 길 조차 제대로 걷지 못할 것이란 생각이다. 돌하루방은 낙엽이 된 단풍잎 하나를 갖고도 저리 만족을 하는데 말이다.



어제부터 무엇인가 달라졌다. 종편채널들이 일제히 방송을 시작했다고 한다. 고집스레 보는 방송 외에는 보기채널에서 모두 삭제를 시켜버린다. 들여다보았자 세상살이에 도움이 안될 것 같아서이다. 요즈음은 방송이 사람들을 홀리고 있다. 잘 살고 있는 사람들을 바람을 넣기도 하고, 불륜을 하라고 조장을 하기도 한다. 예전처럼 방송에서 짚고 넘어가야 할 '권선징악'이란 것은 눈을 씻고 보아도 찾아보기가 어렵다.


이제 더 많은 채널들이 앞다투어 말초신경을 자극하는 방송들을 해댈 것이다. 그저 혼자 걱정을 한다. 이넘 세상이 어찌 돌아가려는 것인지. 그저 돌하루방의 마음을 닮고 싶다. 단풍 한 장으로도 만족하는.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