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을 걷다가 보면 서문인 화서문서부터 동문인 창룡문 사이에는 유난히 많은 시설물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아무래도 이곳이 평지이다 보니 그만큼 많은 대비를 해야 했을 것이고, 그런 것들이 이렇게 다양한 형태의 모습을 즐길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다.

 

반화수류정과 용연은 언제 보아도 아름답다. 꼭 밤에 달빛이 교교하게 흐르는 모습이 아니라고 해도, 그 자체만으로도 언제나 각양각색의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만일 방화수류정에서 용연으로 나오고 싶을 때는 어떻게 했을까? 그 해답은 의외로 간단하다. 동북각루인 방화수류정 바로 옆에, 숨겨진 문인 북암문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암문의 문루 위에 쌓은 아치형의 용도는?

 

암문은 대개 숨겨 놓았다. 그러나 북암문은 성벽이 양편에 돌출되었을 뿐이다. 누가 보아도 그것은 작은 성문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양편을 검은 벽돌로 쌓은 성벽 안에 움푹 들어가 있는 북암문은 방화수류정에서 동편으로 40보의 거리에 있다. 안과 밖은 모두 검은 벽돌로 쌓았는데, 문의 위에는 둥그렇게 아치형으로 아름답게 꾸몄다.

 

암문은 비상시에 군사들의 빠른 이동 등을 고려해 만든 성문이다. 더 견고하게 하려면 아무래도 저렇게 문 위에 아치형으로 벽돌을 쌓아야만 했을까? 물론 아름답게 보이기 위해 그렇게 했을 것이란 생각이다. 하지만 정작 그 아치형으로 쌓아올린 벽돌의 쓰임새는 더 중요한데 있다.

 

그것은 바로 전쟁이 일어났을 경우, 적이 문을 공격해 오면 아치로 된 벽돌을 무너트려 성문을 막아버리는 것이다. 아름답기만 한 아치형의 구조물이 이런 쓰임새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은, 감히 누가 생각이나 했을까? 화성을 겉도는 것이 재미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시원하게 터진 조망을 바라보는 즐거움

 

북암문을 지나면 갑자기 성이 용틀임을 하며 위로 오른다. 지형이 갑자기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곳은 성 돌을 잘 다듬지 않고 막쌓기를 한 구간이다. 그런 모습이 비탈을 오르는 나그네를 더욱 편안하게 만들고 있다. 그리고 그 위에 돌출 된 치성 위에 올려 진 전각이 삐죽이 얼굴을 내밀고 있다.

 

병사들이 쉴 수 있는 ‘동북포루’ 창룡문을 향해 걷다가보면 이곳은 비탈 위에 축성을 하였고, 동북포루는 그 제일 높은 곳에 자리한다. ‘각건대’라고도 부르는 이 동북포루 위에 앉으면 앞으로 펼쳐지는 풍광이 장관이었을 것이다. 그 어떤 지형 하나도 소홀히 하지 않은 것이 바로 화성이다.

 

 

 

동북포루는 아래는 돌로 쌓고 그 위는 검은 벽돌을 이용해 3단으로 쌓아올렸다. 그리고 그 안은 공간을 만들었으며, 총안 구멍 19개와 누혈 11개를 조성하였다. 치성 위에 잇는 병사들을 보호하고 쉬는 공간이지만, 이곳으로 몰려드는 적에게는 참으로 소름돗는 구조물이 아닐 수가 없다.

 

또 하나의 암문, 동암문을 지나다.

 

그 성곽을 따라 걷다가 보면, 푸른 이끼가 낀 성 돌과 하얀색의 성 돌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아마도 200년 전의 역사와 현대가, 사이좋게 몸을 부딪치며 성을 이루고 있는가 보다. 그 돌 틈 사이사이에 생명이 자라고 있다. 그저 아무렇게나 성 돌에 기대어 살고 싶은 생명들이다.

 

 

 

밑으로 경사가 진 성곽을 따라 걷다보면 또 하나의 암문이 나타난다. 바로 동암문이다. 이 동암문 역시 북암문과 같은 형태로 조성이 되었다. 다른 점이 있다면 아치 양편에 비예를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이 암문의 너비는 말 한필이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꾸며놓았다.

 

각건대부터 동암문을 지나 연무대인 동장대 밖을 걷는 성 길을 돌아본다. 마치 뱀이 기어가 듯 구불거리는 성곽의 형태가 또 다른 아름다움이다. 그리고 그곳에는 수많은 이야기를 들려줄 듯한, 생명들이 자라고 있다. 마치 생명 없는 성 돌이 그 생명을 품어, 스스로 살아나려고 하는 것처럼.

 

 

 

저만치 성벽 위에 동장대의 지붕이 보인다. 그리고 동장대 밑으로 가면 비스듬한 비탈 위에 나무 한 그루가 서서 동장대를 훔쳐보고 있다. 화성의 성 밖 나무들은 왜 그리도 성을 탐한 것일까? 아마도 화성 겉돌기를 하는 내내, 그 해답은 얻어질 것 같지가 않다.

 

날이 갑자기 추워지면 아름다움을 자랑하던 단풍들이 명을 다하지 못하고 스러져 간다. 그런 단풍들이 아쉬워 연일 단풍을 보려는 사람들로, 단풍이 절경이라는 곳은 만원이란다. 충남 서산시 운산면 신창리에 자리한 상왕산 개심사. 가을 단풍이 그리운 사람들에게는 제몫을 다하고 있는 곳이다. 일주문에서 돌로 만든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발밑을 간질이는 낙엽들과 형형색색의 단풍들이 눈과 귀를 즐겁게 하기 때문이다.

단풍, 붉다고 단풍은 아니다. 형형색색의 아름다움이 있다면, 그것이 최고의 단풍이다. 개심사의 단풍은 바로 그런 최고의 아름다움을 만들고 있다. 개심사는 백제 때의 절이다. 혜감국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개심사는, 대웅전 기단이 백제 때의 것이라고 한다. 대웅전은 조선조 성종 6년인 1475년 소실이 된 것을, 성종 15년인 1484년에 중건한 것이다.


깔린 단풍을 밟고

일주문을 지나 상왕상 개심사로 가려면 10여 분을 걸어야 한다. 오르는 길에 만나는 돌계단을 밟으면 소리가 난다. 바로 발밑에서 바스락거리는 낙엽 때문이다. 지천으로 깔린 낙엽이 이리저리 뒹굴면서 발아래서 소리를 낸다.

주변은 온갖 색을 자랑하는 단풍들이 들어차 있다. 천천히 가을을 느끼며 오르다보면 어느새 입구에 들어선다. 연못 가운데로 난 길을 걸으면 별천지다. 그래서 가을에 개심사를 찾는 사람들은, 또 다시 다음을 약속하는가 보다. 보물 제143호로 지정이 된 대웅보전은 백제 때의 기단 위에 세워졌다. 주변의 단풍과 어우러져 또 다른 가을을 이야기한다



자연을 닮은 개심사


개심사가 좋은 것은 멋대로이기 때문이다. 심검당과 종각, 무량수각의 기둥들을 보면 제멋대로다. 굽어진 나무들을 그대로 기둥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하나도 뒤틀림이 없이 버티고 있다고 하니, 이 또한 자연의 조화다. 자연 그대로를 사용한 전각들이 있어 개심사의 가을이 더 아름답다


어디를 가도 낙엽이 그대로 쌓여있다. 치우지 않은 낙엽이 있어, 개심사의 가을이 더 풍성해 보인다. 명부전을 지나 산신각으로 오르는 길에 보면 환상적인 낙엽 길을 걷게 된다. 누가 이 아름다운 자연을, 둔한 머리로 표현을 할 것인가?



널브러진 나무가 하나 누워있어 마음이 편해진다. 만일 저 나무를 누군가 치웠다면 이리 아름다운 길이 되지는 못했을 것을. 멋대로 놓아둔 모든 것들이 아름답게 치장을 하려고 한 것은 아니다. 그 자리에 마음대로 놓여있는 것들에서 마음의 자유를 얻는다.

아름다운 정원이 있습니다. 인공적으로 만든 정원이긴 해도, 연못에는 물고기가 유영을 하고, 바위 위에는 소나무들이 자라고 있습니다. 여기저기 꽃도 피어있고. 물레방아도 돌아갑니다. 그리고 좁은 물길로 물이 흘러 연못으로 들어갑니다. 얼핏 보아도 상당히 공을 들인 작은 정원입니다.

그 작은 정원을 이리저리 둘러봅니다. 상당히 많은 애를 쓴 흔적이 보입니다. 요즈음 사람들은 이런 것에도 그렇게 감동을 받지 않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드나들면서도, 별로 관심이 없어 보입니다. 세상살이가 팍팍해져서 일까요? 작은 정원에 심은 소나무들도 분재라고 하나요? 참으로 아름답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그 작은 소나무 가지마다 철사로 동여매어져 있습니다. 더 아름답게 만들기 위해 이렇게 전기선 등으로 묶었는가 봅니다. 아마도 강제로 멋지게 키우기 위해서 일테죠. 그런데 사람을 멋지게 키우기 위해 저렇게 팔 다리는 칭칭 동여매 놓는다면, 그 사람이 받는 고통이 어떨까요?

말 못하는 나무지만 보기가 안타깝습니다. 이제는 풀어주어도 될 둣한데, 아직 더 묶어놓아야 하는 것인지. 나무가 이야기를 합니다.



“제발 저 좀 풀어주세요. 전깃줄이 파고들어 너무 아파요”

우리 인간들의 강퍅함은 어디까지인지. 두렵습니다. 그저 단지 나무이기 때문에 이래도 되는 것인지. 맛있게 먹은 밥이 다 곤두서는 듯합니다. 날이 뜨거워 더위를 먹었는가 봅니다. 그냥 세상 사람들처럼 살아도 되는데 말입니다. 왜 이런 것을 보면 마음이 아픈 것인지.





아픈만큼 성숙해 지는 것은 사람에나 통하는 것인줄로만 알았는데, 그것이 아니었나 봅니다. 나무들도 아픈 만큼 아름다워지는 줄 처음 알았습니다. 

마애불. 문화재 답사를 하면서 가장 힘든 부분이 바로 마애불 답사이다. 대개는 산 위에 있기도 하지만, 때로는 갂아지른 바위벽에 있기도 하다. 강가를 내려다보고 있는가 하면, 들판에 솟아 난 바위덩어리에도 다소곳 자리를 하고 계시다. 어느 곳에 있어야 한다고 설정한 것은 아무 것도 없다. 그저 당신이 있고 싶은 곳에 있다는 것이 맞을 것이다.

마애불을 답사하는 날은 마음 가짐을 달리한다. 때에 따라서는 몇 시간을 산 길을 걸어 올라야 할 때도 있기 때문이다. 요즈음처럼 날이 무더운 날은 단단히 마음을 먹지 않으면, 만날 수 조차 없는 경우도 생긴다. 미리 겁을 먹고 지쳐버리기 때문이다. 


마애불을 조성한 불심은?

마애불이란 커다란 암벽에 불상을 새겨 넣은 것을 말한다. 그 형태도 다양하다. 단순히 선으로 그어 불상을 새긴 '선각'도 있지만, 부분을 돋을새김을 한 것도 있다. 그런가 하면 안으로 파 들어가면서 부조로 새겨 넣은 것들도 있어 다양하다.

그런데 마애불을 볼 때마다 궁금한 것이 있다. 과연 기구도 제대로 갖추지 못했을 그 당시에, 어떻게 저렇게 높은 바위에 조각을 했을까 하는 점이다. 아마도 몇 년이 걸렸을지, 아니면 평생을 그 바위벽에 붙어 지냈을지도 모르는 것을.


이런 생각을 하다가 보면 온통 궁금한 것 투성이이다. '무슨 연유로 마애불을 조각하였을까?' 라는 질문에 봉착하게 되면, 그저 가장 편안한 답이 '불심'이다. 딱히 그 이상의 어떤 답도 찾아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고서야 그 높은 산 위 절벽에 달라붙어 혼자서 그 오랜 시간을 어떻게 견딜 수가 있겠는가?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 과연 불가사의일까?

마애불을 답사하다가 보면 궁금증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과연 마애불을 어떻게 조성을 했을까 하는 점이다. 마애불을 보아가면서 그 궁금증을 생각해 본다. 


함안 방어산 마애불이다. 방어산 날망 바로 밑에 자리하고 있다. 지금은 앞으로 평평한 곳이 있지만, 이 마애불을 조성할 때도 그러했을까? 방어산 마애불을 보면서 가장 궁금한 것은, 이 산꼭대기에서 과연 무엇을 먹고 오랜시간 작업을 했을까 하는 점이다. 어떻게 살았을까?


천안 삼태리 마애불이다. 저녁 햇살이 비치면 그 은은한 미소가 아름답다. 큰 바위면에 조각을 한 이 마애불을 보면서 궁금한 것은 어떻게 이 거대한 마애불을 조성했을까 하는 점이다. 흙을 바위 끝까지 쌓아놓고, 그 흙을 치우면서 조각을 해서 내려왔을까? 아니면 나뭇단을 쌓아 놓고 조각을 하면서 내려왔을까? 그도 아니면 줄을 걸어 앉을 수 있도록 하고 점차 길게 늘이면서 내려왔을까?    


충주 창동 마애불이다. 도도히 흐르는 남한강 가 절벽에 자리하고 있다. 그런데 이 마애불을 내려가는 길은 계단을 놓았어도 지금도 무척 가파르다. 이 거대마애불을 조각한 사람은 어떻게 한 것일까? 당시는 강물이 더 수심이 깊고, 아마 바위면까지 물이 차 있었을 것인데, 어떻게 작업을 한 것일까? 배 위에서 작업을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도대체 그 당시에 어떤 방법을 썼을까?

마애불 조성에 관한 답은 무엇일까?
 

 

한 마디로 해답은 마애불 조성에 대해 전해지는 전설이다.

마애불에는 이런 전설이 주로 전한다. 어느 고승이 하루 밤 사이에 손가락으로 마애불을 조성했다. 그런데 그 고승 정도의 인물이라면 공중부양이라도 가능했을 것이다. 그 전설대로라면 가능하다. 어느 마애불은 단 며칠 만에 조각을 마쳤다고 한다. 그런데 어떻게 그 높은 바위에 조각을 할 수가 있었을까? 아마도 누구의 도움이 있지는 않았을까?

이런 경우 관음보살이 나타나거나, 신중들이 나타나 도움을 준다. 이렇게 마애불의 조성에 관한 것은 신비롭기만 하다. 현재의 장비를 갖고도 조성을 한다는 것이 만만치 않았을 거대 마애불 들. 과연 그 해답은 없는 것일까?

또한 그 깊은 산중에서 무엇을 먹고 생명을 유지했을까? 그 해답은 화수분처럼 누군가 먹을 것을 늘 곁에 두고 갔다고 한다. 또한 호랑이가 아침엔 데려다 주고, 밤에되면 집으로 데려다 주고는 했다는 것이다. 과연 우리의 호랑이답다.

이렇게 마애불의 조성에 관해서는 많은 궁금증이 생긴다. 도대에 그 해답은 무엇일까? 더 많은 마애불을 찾아 다닌다면, 혹 해답을 얻을 수도 있지 않을까? 아니면 그저 불가사의라고 단정 짓고, 편안하게 올 여름을 보낼까? 또 하나의 고민꺼리가 생겼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