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며칠 후면 정월 대보름이 된다. 정월 대보름은 우리민족에게는 절기 이상의 의미가 있는 날이다. 정초부터 시작한 정월의 각종 놀이가 이 날로 인해 대부분 끝이 나기 때문이다.예전에는 정월달에 각 마을에서 지신밟기 등을 하다가 서로 이웃의 기를 만나게 되면 힘을 겨루는 '두레싸움'을 하고는 했다. '

 

두레'란 농촌에서 농사일을 함에 있어서, 공동으로 같은 연배의 구성원끼리 공동작업으로 노동력의 배가를 위한 공동체 조직이다. 예전에는 이 두레마다 풍물패와 두레를 상징하는 기가 있었는데, 대개는 '農者天下之大本'이라고 쓰고 두레명칭을 적는다. 농사일을 공동으로 하러 나갈 때는, 이 두레기를 앞장세우고 풍장을 치면서 이동을 한다.

 


 

두레에 농기는 늘 있게 마련이지만, 그렇다고 풍장이 꼭 있는 것은 아니다. 대개 두레 성원들이 자신들의 농사일을 마치고나면, 공동으로 두레 성원이 아닌 집의 농사일을 해주고, 그 삯으로 받은 돈을 이용해 풍장을 마련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두레조직은 마을마다 있었으며, 그 두레조직을 상징하는 두레기는 각별한 위함을 받는다.

 

두레조직의 상징 두레기

 

막고 밀치면서 서로 먼저 장목을 뺏는 두레싸움

서로가 기를 뺏기위해 밀치다가 넘어지기도. 보는 사람들도 난리다.


두레기는 두레조직이 이동을 할 때는 반드시 앞에 세운다. 이 두레기의 권위는 절대적이다. 만일 마을에 지체가 높은 양반이 살고 있으면, 그 마을의 두레기를 만나면 가를 숙여 먼저 인사를 하기도 한다. '안성 남사당'의 농기에는 옥관자를 달고 다녔다. 이는 바우덕이 패가 경복궁을 중수 할 때 참가를 하여, 많은 노역자를 위한 즐거움을 주었다고 해서 대원군이 특별히 옥관자를 내린 것이다.

 

안성 남사당의 기를 '옥관자 기'라고 불렀으며, 모든 기는 안성 남사당 기를 만나면 먼저 기를 숙여 인사를 하고는 했다. 두레기는 농사일을 할 때는 논두렁에 꽂아 놓는다. 만일 이 기를 쓰러트리면 마을이 불상사가 생긴다고 하여, 여간 조심을 하지 않았다. 두레기를 함붕로 다루거나 눕힌다던가 하는 일도 절대 해서는 안 된다.

 

정월 곳곳에서 벌어지는 두레싸움

 

심하게 서로가 몸을 부딪기 때문에 때로는 부상자가 속출하기도 했다.


정월이 되면 각 마을마다 두레기를 앞세우고, 풍장을 치고 나간다. 지신밟기며 정월 보름을 기해서 하는 많은 민속놀이에는 풍장을 곁들이게 되고, 그 풍물패의 앞에는 두레기가 서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이 두레기를 앞세우고 길놀이를 하던 마을의 풍장패들이 서로 만나면, 먼저 상대방에게 길을 비키고 기수를 숙이라고 난리를 피운다.

 

길을 먼저 비켜주고 자신들의 기를 먼저 숙이며 상대방을 높이는 것이기 때문에, 절대 한 치의 양보가 없다. 이렇게 승강이를 하다가 급기야는 상대방의 두레기에 달려들어, 두레기의 맨 위에 달린 꿩 장목을 뺏는다. 장목은 두레기 중에서도 가장 높은 위치에 있다. 그래서 이 장목을 뺏기면, 큰 수치로 안다. 한번 꿩 장목을 뺏기면 그 해 일 년 동안은, 장목을 뺏어간 마을기에 먼저 인사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남한강 둔치에서 재현된 두레싸움

 

보는 이들은 생동감이 있다. 두레기의 맨 위에 달린 장목을 뺏기면 일 년동안 뺏어간 기에 먼저 인사를 해야한다.


두레싸움을 할 때는 부상자가 속출하기도 한다. 그것은 서로가 상대방의 기에 달라붙어 기를 쓰러트려야 하기 때문이다. 막는 자와 뺏으려는 자가 한바탕 난리를 치다가 보면, 부상자가 생기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2월 27일 오후 여주 남한강 둔치에서 열린 대보름 한마당. 이곳에서는 군인들이 시범을 보인 두레싸움이 벌어졌다.

 

양편에 황룡기와 흑룡기가 서고, 그 앞에 각 마을 20명의 군인들이 서로 상대방 기에 꽂힌 장목을 뺏기 위해 두레싸움을 벌인 것이다. 젊은 군인들이라 서로 상대방의 기에 쫒아가고 막는 두레싸움은 보는 사람들조차 함성을 지르고 난리를 편다. 다칠 것을 염려해 손은 뒷짐을 지고 어깨로만 상대방을 밀고 들어가도록 했으나, 서로 부대가 달라서인가 최선을 다하는 모습들이 보는 사람들까지 열광케 한다.

 

기를 지키려고 막다가 내동댕이쳐지는 병사. 얼른 쫒아가 장목을 뺏어 승리를 하겠다고 달려가다가 제풀에 미끄러지는 병사. 거기다가 제 자리를 지키고 있어야 할 두레기마저 도망을 가는 바람에 온통 웃음바다가 되었다. 젊은 병사들이 보여 준 우리 전통 민속 한마당으로 인해, 대보름 한마당은 흥이 최고조에 달했다.

 

정월이 되면 어디서나 볼 수 있었던 두레싸움. 이제는 그러한 아름다운 놀이들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 마음이 아프다. 전통은 구시대의 산물이 아니라, 새롭게 변화하면서 발전을 하는 것이다. 우리의 많은 공동체의 모체가 되었던 놀이들. 이제는 새롭게 조명이 되어야 할 때이다.

10월 1일 남원 요천가 '사랑의 광장'에서 열리는 '제63주년 군군의 날 기념 남원 민군 한마당큰잔치'에서 선 보이는 놀이 중 '기싸움'이라는 종목이 있다. 기싸움이란 기를 갖고 싸우는 것이 아니라, 용대기 위에 꽂혀있는 '꿩장목'을 먼저 빼앗는 부대가 이기는 승부성 민속놀이이다.

원래 기싸움이란 마을마다 <두레기>가 있어, 그 두레기들이 농사 일을 하러 길을 나가다가, 서로 꿩장목을 빼앗는데서 유래를 한 것이다. 예전에 마을에는 농사를 지을 때 품앗이를 하던 두레조직이 있었다. 이 두레조직에는 두레를 상징하는 기(旗)인 '두레기'가 있었다.공동으로 농사를 짓기 위해 두레패들이 길을 가다보면 이웃의 두레패들과 길에서 서로 마주치게 된다.


두레패의 서열을 정하기 위해 벌이던 기싸움

길에서 마주친 두레패들은 서로가 자신들이 '형님'이라고 상대방에서 먼저 기수를 숙이거니 길을 비켜서라고 난리들을 친다. 그러다가 기싸움을 벌이게 된다. 기싸움은 상대방의 두레기 위에 꽂힌 꿩장목을 먼저 빼앗는 마을이 형님 노릇을 하게 된다. 

장목를 빼앗긴 마을에서는 꿩장목을 찾기 위해 술을 대접하거나 아니면 깍듯이 형님으로 모셔, 길에서 마주치면 기수를 숙여 먼저 인사를 하게 된다. 이러한 기싸움은 정월에 농사가 시작될 때 나타나는 것을, 군장병들이 승부성놀이로 펼치게 되는 것이다.


서로 등을 지고 공격을 하기 위해 기다리는 병사들(위) 징소리가 나면 상대방의 기에 달려든다. 수비군은 이를 저지한다.

기싸움은 이렇게 한다.

1. 먼저 양편에 20명 씩의 인원을 차출한다.
2. 한 명은 기수이고 9명은 자신의 기를 지키는 수비군이 된다. 남은 10명은 상대방의 기에 꽂힌 꿩장목을 빼앗는 공격군이 된다.
3. 양편의 공격군들은 상대편을 공격할 수 있도록 서로 반대편으로 가서 등을 지고 선다.
4. 징소리를 신호로 상대방의 기에 달려들어 기를 쓰러트린 후 꿩장목을 뺐는다. 수비군은 자신들의 기를 지켜내야 한다.
5. 자칫 과격하게 몸싸움을 벌이다가 보면 불상사가 일어나기도 한다. 하기에 수비수나 공격수나 손 이외의 부분은 사용할 수가 없다.
6. 기수는 기를 들고 피할 수는 있다. 하지만 경기장 밖으로 나가서는 안된다.
7. 장목을 먼저 빼앗는 부대가 이기게 된다. 징을 세번 울리면 경기가 끝났음을 알리는 신호이다.
8. 자칫 과열이 되는 것을 막기위해 다음과 같은 금칙을 둔다. 기수는 경기장 내에서만 이동을 할 수가 있다. 수비군은 상대방을 손으로 밀쳐낼 수는 있다. 또한 신체 부위 어디고 가격을 해서는 안된다. 공격군도 마찬가지이다. 상대방을 발로차거나 땅에서 뛰어오르거나 하면 안된다.

   

양편이 서로 상대방의 용대기에 달려들어 기를 쓰러 트린 후 위에 꽂힌 <꿩장목을> 먼저 빼앗아야 한다.

 


서로 장목을 먼저 뺏기위해 쫓아다니다가 보면 이렇게 넘어질 수도 있다. 부상을 막기위해 가급적 용대기를 가진 기수는 일정장소 밖을 빠져나가지 못하게 한다


용대기의 무게는 상당하다. 장대길이 5m에 기폭의 길이가 3m나 되기 때문이다. 혈기왕성한 군장병들이 시연을 하기 때문에 자칫 용대기를 쓰러트리다가 다칠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손 이외의 어떤 부위도 사용해서는 안된다. 상대방을 가격하거나 발로 차거나, 혹은 잡아서 넘어트리는 행위도 해서는 안된다. 서로 손을 이용해 밀쳐내기만을 허용한다. 수비군을 밀쳐낸 후 기를 쓰러트려 상단에 꽂힌 꿩장목을 먼저 빼앗는 부대가 이기게 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