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거창군 상천면 위천리에 소재한 가섭암지. 지금은 보물 제530호 가섭암지 마애삼존입상만 남아있는 이 곳 금원산 지재미골 입구에 서 있는 커다란 바위를 볼 수 있다. 단일 바위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다는 이 바위는 ‘문바위(=門岩)’이라고 부른다. 아마도 예전에는 이 바위가 가섭암의 일주문 역할을 했던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 문바위의 앞으로는 맑은 계곡물이 흐르고 있으며, 지금은 바위 앞으로 등산로가 나 있다. 이 바위는 가섭암, 금달암, 두문암, 기도암, 지우암 등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렸다고 한다. 그 중 가장 신비한 이름은 ‘용의 여의주’라는 명칭으로 불렸다는 것이다. 주변에는 가섬암지를 비롯한 많은 절터가 있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옛날부터 이 문바위를 사람들이 신성시했음을 알 수 있다.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을 기려

바위의 앞면에는 불사이군의 충절을 지킨, 고려 말의 사람 이원달의 순절동이란 글자를 네모나게 바위를 판 후 음각을 해놓았다. 이원달은 합천사람으로 호는 ‘달암(達岩)’이며 병조참판을 지낸 분이다. 아마도 이 달암 선생을 기리기 위해 새겨 놓은 듯한데, 언제 누구에 의해서 새겨진 것인지는 확실치가 않다.

이 문바위는 보는 방향에 따라서 그 모습이 각기 다르다. 커다란 돌고래 같기도 한 이 문바위는 길가에서 보면 그 면이 부드럽게 보이지만, 뒷면으로 돌아가면 칼로 자른 듯하다. 이렇게 보는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바위의 형태가 예사롭지가 않다. 아마도 예전 이곳을 지나 가섭암으로 오르던 사람들은, 이 문바위부터 머리를 숙였을 듯하다.



쐐기돌이 받치고 있는 거대한 바위

문바위 밑으로 들어가 본다. 지금은 돌로 받침 담을 쌓아 놓았다. 그러나 그 담이 처음부터 있었던 것은 아닌 듯하다. 몇 개의 쐐기돌이 이 커대한 바위를 받치고 있다. 그 쐐기바위들은 그리 크지가 않다. 그런데도 그 오랜 시간을 이 바위를 받치고 있었다는 것이 정말로 놀랍기만 하다.



바위의 끝으로는 쐐기 돌 옆으로 사람이 지나갈 만한 공간이 보인다. 아마도 이 공간이 일주문의 통로가 아니었을까? 지금도 누가 다닌 길의 흔적이 있다. 이곳을 지나 가섭암으로 들어선 후, 마애불까지 통했을 것이다. 주변 경치를 돌아보면서 옛 가섭암을 그려본다. 그리 크지 않은 가섭암의 모습이 떠오른다. 문바위와 하나가되어 자리를 했을 가섭암. 그리고 그 뒤편 바위 안에 새겨진 마애삼존입상.



가섭암은 사라지고 없지만 마애불과 문바위가 자리하고 있어, 가섭암이 그 가운에 있지나 않았을까 하는 상상을 해본다. 자연의 바위하나가 이렇게 클 수 있다는 것도 놀라운데, 누군가 그 위에 올라가 작은 돌탑을 쌓아놓았다. 어떻게 저 위로 올랐을까? 문바위의 궁금증은 점점 쌓여만 가는데, 빗줄기가 차츰 굵어진다. 다음에 이곳에 들릴 때는 더 많은 것을 알아볼 수 있기를 고대하며, 문바위를 뒤로한다.

6월 24일 거창군을 답사하는 날은 비가 참 많이도 뿌려댔다. 종잡을 수 없는 날씨로 인해 답사를 그만둘까도 생각을 했지만, 그래도 이왕 나선 길이니 비를 맞고도 강행을 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그래서인가 비가 내리는 날 답사치고는, 상당한 양을 일궈낼 수 있었다. 이 날의 답사 중에서 가장 기뻤던 것은 금원산에서 만난 마애여래삼존입상이다.

경남 거창군 위천면 상천리 산 6 - 2에 소재한 보물 제530호 ‘거창 가섭암지 마애여래삼존입상’. 금원산 북쪽 골짜기 큰 바위굴 안에 새겨져 있는 마애불이다. 이 마애불은 바위면 전체를 배 모양으로 판 후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를 만들고, 그 안에 삼존불 입상을 부조로 얇게 새기고 있다.

보물 제530호 거창군 위천면 금원산 바위 암벽 굴에 새겨진 마애여래삼존입상


마애불까지 오르는 길, 평탄치가 않다.

금원산은 차량의 출입이 제한되는 곳이다. 입구를 들어서면 장사치들이 각종 음식을 판다치고 시끄럽게 만들어 눈살을 찌푸리게 만든다. 그리고 그 안에까지 차들이 들어와 있다. 마애불이 있다는 산으로 오르는 길은 비교적 평탄하다. 그런데 이런 낭패가 있나? 비로 인해 늘어난 물이 도로 위로 흐르고 있다. 그 양이 많아 물을 건너기가 만만치가 않아 보인다.

그렇다고 오르는 길을 포기할 수는 없는 일, 신발을 벗고 바짓가랑이를 걷어 올린 후 건너간다. 그런데 이렇게 도로 위로 흐르는 물을 건너야 하는 곳이 세 곳이나 된다. 그렇게 오른 금원산. 마애불의 있는 바위벽 입구라는 곳에는 ‘문바위’라는 바위가 우뚝 서 있다. 우리나라의 바위 중 한 개의 바위로는 가장 큰 바위라고 한다.(이 문바위에 대한 이야기는 나중에 다시 하기로 한다)


마애불을 찾아 오르는 금원산 산길에는 계곡물이 길 위로 흐르게 되어있다. 몇 군데나 이런 곳이 있어 바짓가랑이를 걷어부쳐야 했다.(위) 단일 바위 중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다는 문바위이다


훼손되지 않은 마애부처님들, 정말 고맙습니다.

문바위 뒤편으로 돌아가니 산 위로 오르는 돌계단이 있다. 계단 입구에는 50m만 올라가면 마애불이 있다는 안내판이 서 있다. 천천히 계단을 오르면서 위를 본다. 역시 커다란 바위가 서 있고, 그 바위 사이로 좁은 계단이 나 있다. 아마도 예전에는 저 계단이 없었을 텐데, 어떻게 저 비좁은 사이로 들어갈 수가 있었을까?

계단을 오르면 안에 의외로 넓은 공간이 나타난다. 그리고 남향을 한 바위에 마애여래삼존입상이 새겨져 있다. 삼존불은 위로 삼각형으로 획을 그은 부분이 있다. 그리고 그 안에 보주형으로 다듬어 중앙에는 아미타여래, 오른쪽은 관음보살, 왼쪽은 지장보살을 새긴 듯하다. 중앙에 있는 본존불이 좌우에 협시보살을 거느린 형태이다.



마애불로 오르는 게단 입구부터 마애불로 오르는 계단이다. 맨 위에는 좁은 바위틈으로 계단이 이어진다


삼존불은 굴 안에 자리를 해서인가 훼손이 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는 상태가 좋지만, 조각을 한 형태를 보면 그리 뛰어난 것은 아니다. 중앙의 본존불은 얼굴이 비교적 넓적하게 표현을 하였다. 얼굴에 비하여 눈과 코, 입은 작고 밋밋하다. 긴 귀 등을 보면 약간은 둔탁한 것이 토속적인 맛을 풍긴다. 어깨는 굴곡이 없이 각이 지게 표현이 되었으며, 법의는 양 어깨에 걸쳐 가슴부분에서 타원형으로 표현을 하였다. 이 지역의 불상들이 잦은 주름을 보이는데 비해, 주름 역시 도식화된 느낌이다.

흡사 막대 같은 다리와 좌우로 벌린 발은 고려시대의 형식화된 면이 보인다. 좌우에 있는 협시보살은 본존불과 거의 같은 형식으로 조각되었지만, 어깨의 표현이 본존불보다는 부드러운 곡선으로 처리를 하고 있다.

마애불은 바위가 겹쳐진 안에 조성이 되어있다. 커다란 바위가 비바람을 막아냈다


끝이 날카로워진 연꽃무늬 대좌와 새의 날개깃처럼 옆으로 삐죽이 뻗어 나온 옷자락 등은, 그동안 보아 온 삼존불이나 마애불 등에서 본 것과는 차이가 난다. 이러한 형태는 삼국시대의 양식과 비슷하지만, 모습이 형식화되었다는 느낌이 든다. 삼존불의 곁에는 네모나게 조성을 하고 글을 새겼는데, 이 마애여래삼존입상의 조성 시기가 고려 16대 예종 6년인 1111년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풀리지 않는 의문

결국 이 가섭암지 마애여래삼존불은 삼국시대 불상의 양식을 계승한, 고려시대적 요소가 반영된 마애불상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 마애불을 보고 난 후 몇 가지 의문이 든다. 첫째는 이곳을 어떻게 올랐을까 하는 점이다. 지금이야 계단을 놓았지만 당시는 비좁은 바위틈일 뿐이다. 그러데 높디높은 이 바위틈을 어떻게 오를 수가 있었을까? 이해가 가질 않는다.


두 번 째는 마애불을 조성한 방법이다. 굴속은 한낮인데도 밝지가 않다. 그런데 바위 아랫부분도 아니고, 바위의 중앙부분에 새겨져 있는 마애불. 그 당시 지금처럼 암벽에 그림을 새겨 넣기가 쉽지가 않았을 터인데, 도대체 얼마나 오랜 시간을 공을 들여 저렇게 새길 수가 있었을까? 그리고 어떻게 어두운 이곳에서 작업을 했던 것일까?

이런 생각을 하다가 보니, 이 금원산 커다란 바위 굴속에 있는 세분의 부처님이 남달라 보인다. 머리 위에 광배며 옷자락이 흡사 외계인을 닮았다는 생각이 갑자기 든다. 이런 생각을 하는 나 스스로가 멋쩍어 피식 헛웃음을 날린다. 산을 오르느라 더위를 먹은 것인가? 금원산 굴속에 꽁꽁 숨겨져 있던 세 분의 부처님을, 그렇게 해후를 했다. 더위를 먹은 채로.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