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완주, 김제를 아우르는 모악산은 깨달음의 산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이 모악산의 금산사와 뒤편 대원사를 기점으로 깨달음을 얻기 위해 정진하였다. 진표율사를 비롯하여, 후백제의 견훤, 기축옥사의 정여립과, 한국 불교 최고의 기승으로 대원사에서 오랜 시간 정진을 한 진묵대사, 그리고 근세에 들어 전봉준, 증산 강일순, 보천교의 차경석과 원불교 소태산 등이 이곳에서 깨달음을 얻기 위해 정진을 했다.

 

모악산은 『고려사』에 보면 ‘금산(金山)’이라고 적고 있다. 이는 금산사에서 유래했다고도 하고, 사금이 많이 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일설에는 정상 근처의 낭떠러지를 형성하고 있는 바위가 어미가 아이를 안고 있는 형상이라고 하여, ‘엄뫼’라고 부르던 것을 의역하여 금산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하지만 언제부터 모악이라고 불렀는지는 확실하지가 않다.

 

 

인도의 불탑에서 유래한 석종

 

모악산에 자리한 금산사는 백제 법왕 2년인 600년에 창건된 절로, 통일신라 경덕왕 때 진표율사가 두 번째로 확장하여 대사찰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금산사 경내 국보 미륵전의 우측에는 높은 축대 위에 5층 석탑과 나란히 위치한 종 모양의 석탑이 있다. 이 석종은 매우 넓은 2단의 기단 위에 사각형의 돌이 놓이고, 그 위에 탑이 세워졌다.

 

이러한 석종형 탑은 인도의 불탑에서 유래한 것으로, 통일신라 후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 탑의 외형이 범종과 비슷하다고 해서 석종이라 불린다. 이 방형의 석조로 구성한 방등계단은 바로 불교의식의 하나인 수계식을 거행하는 신성한 장소이다. 기단은 대석, 면석, 갑석으로 되어있고, 상·하 기단 면석에는 불상과 신장상이 조각되어 있다.

 

 

 

기단의 각 면에는 불상과 수호신인 사천왕상이 새겨져 있다. 특히 아래 기단 네 면에는 인물상이 새겨진 돌기둥이 남아, 돌난간이 있었던 자리임을 추측하게 한다. 석종의 탑신을 받치고 있는 넓적한 돌 네 귀에는, 사자머리를 새기고 중앙에는 연꽃무늬를 둘렀다. 판석 위에는 종 모양의 탑신이 서 있다.

 

9마리의 용이 끌어 올리는 석종

 

꼭대기인 상륜부에는 아홉 마리의 용이 머리를 밖으로 향한 모습으로 조각되어 있고, 그 위로 연꽃 모양을 새긴 2매의 돌과 둥근 석재를 올려 장식하였다. 이 방등계단은 기단에 조각을 둔 점과 돌난간을 두르고 사천왕상을 배치한 점 등으로 미루어, 진신 불사리를 모신 사리계단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 탑은 가장 오래된 석종으로 조형이 단정하고 조각이 화려한 고려 전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석종은 방형으로 상·하 2단의 기단을 구비한 높이 2.27m이며, 외형이 석종 형태를 띠고 있으며, 수계의식을 집전하던 방등계단에 세워진 사리탑이다.

 

이 방등계단은 1918년에 발행된 『Korean Buddism』이라는 책자에 수록된 것을 보면, 미륵전 앞에서 바로 방등계단으로 오르는 계단이 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928년도에 와타나베 아키라의 편집본인 『금산사관적도보(金山寺觀跡圖譜)』에 수록된 방등계단 일대를 보면, 지금은 보이지 않는 큰 나무들이 즐비하게 서 있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이때에 방등계단을 「송대(松臺)」라는 명칭으로 표시하고 있다.

 

부처를 상징하는 사리탑

 

이 방등계단과 불사리탑은 현재 보물 제26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방등계단을 따라 한 바퀴 돌다가 보니 적멸보궁이 보인다. 적멸보궁이란 방등계단에 놓인 탑을 참배하기 위해 만들어진 예배전이다. 이 적멸보궁에는 부처님이 모셔져 있지 않다. 그것은 적멸보궁의 유리벽 밖으로 보이는 탑 안에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모셔져 있기 때문이다. 그 탑이 부처님을 상징하는 것이기에, 법당 내에는 따로 부처님을 봉안하지 않는다.

 

모악산이기에 이 방등계단에서는 더 많은 깨달음을 얻기 위해,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석종형 탑을 봉안했는지도 모른다. 수많은 세월이 흐른 지금에도 당시의 선대들이 미처 얻어내지 못한 깨달음을 얻기 위해, 수많은 시간을 정진하는 사람들. 금산사의 방등계단은 오늘도 그 답을 알려주고 있는 것은 아닐까? 다만 우리들 스스로가 마음의 문을 열지 못하기 때문에, 그 깨달음을 얻지 못할 뿐.

 

절집을 가면 가끔 황당할 때가 있다. 이런저런 이유가 다르겠지만, 아무래도 속인들 같지 않으신 스님들은 살아가는 방법이 우리하고는 다른 듯하다. 오늘 찾아간 금산사. 죽은 사람들의 천도제를 지내고 나서 제를 지낸 것들을 태우는 '소대' 옆에 불이문이 있다.

이 불이문을 나서면 다리를 건너 선원으로 올라가는 길이다. 그런데 앞장 선 분들이 내가 소대를 찍고 있는 사이 문을 나서 사라지셨다. 불이문 앞으로 가 문을 열라고 하니, 이게 무슨 일인가 손잡이가 없다. 그리고 밀어도 문이 열리지 않는다. 문 틈으로 보니 밖에 잠굼장치가 있는 듯하다. 아니 그런에 어떻게 여길 나가신 것일까? 도를 많이 닦아 그냥 통과를 하신 것일까?

불이문. 그런데 손잡이가 보이질 않는다.


스님 한 수 배우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문은 밖에서 열고 닫게 되어있다. 선원에 계신 분들에게 방해를 주지 않기 위해 선원 쪽에서 문을 열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선원은 한참 먼 거리에 있어, 이곳까지 누가와서 문을 열어 불 수가 없다. 만일 선원을 나와 공양간에서 밥이라도 먹고 가려면 어떻게 문을 열까? 월담이라도 하는 것일까?

그런데 문에 무엇이 하나 달려있다. 흡사 표주박 같은 것이. 가까이 가서보니 위만 고정이 되어있다. 옆으로 밀어보니 밀린다. 구멍 안으로 보니 손을 넣을만 하다. 세상에 이 구멍으로 손을 넣어 빗장을 푸는 것이다. 간단한 장치 하나가 사람을 재미있게 만든다.

 


문 한편에 무엇이 달려있다. 가까이 보니 위쪽만 고정을 시킨 것이다.

이것을 밀어보니 수월하게 밀린다.

아래를 보니 빗장이 보인다. 아하~ 이렇게 문을 열고 닫았구나.

밖으로 나가보니 이 용도를 쉽게 알 수 있다. 간단한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아무리 보아도 재미있다. 어디다가 서 먹어야겠다.

"스님, 오늘 한 수 배우고 갑니다. 불이문에서. 오늘은 이 장치로 선문답 하나 품고 가렵니다. 아마도 닫아도 열고, 열어도 닫는 마음이나 아닌지 모르겟습니다. 세상에 마음 닫고 사는 저 윗전나리들. 이런 구멍 하나 가슴에 있으면 좋겠습니다. 누구나 열어볼 수 있게. 시장이 되겠다고 하시는 분들, 구청장이 돼야 한다고 고래고래 고함치시는 분들. 이렇게 구멍하나 만들어 가슴을 보이면 좋으련만. 괜한 기대는 하지 않으렵니다. "     

가을, 가을비, 단풍, 낙엽. 이 모든 것은 모두 가을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어들이다. 이런 단어들에 익숙한 계절에 길을 나섰다. 오늘 아침 김제 금산사를 향했다. 아침 일찍부터 추적거리고 비가 온다. 이 비가 내리고 나면 날이 추워질 것이라고 한다.  

금산사에 일을 보기 위해 여기저기 다니다가 보니, 모악산에도 가을이 찾아들고 있다. 그 가을 속으로 들어가시는 스님의 뒷모습이 한가하다. 가을 비 속, 그리고 낙엽 속, 단풍이 들기 시작하는 다리 위, 이 모든 것이 가을을 더 깊이 느낄 수 있도록 만든다. 가을 속으로 들어가는 스님의 모습. 여유로움에 마음까지 편해진다. 역시 가을은 스님의 뒷모습에서 오는가 보다.


가을 낙엽 속으로 들어가시는 스님의 모습. 가을은 이곳에서 시작한다.




계곡에 노란 낙엽이 떨어졌다. 저 낙엽 하나하나가 다 가을을 이야기 한다. 그래서 가을 이야기는 풍요롭다. 그 한편에 아기 단풍나무 하나가 얼굴을 붉히기 시작한다. 아마 떨어진 노란 낙엽에게 무슨 소리라도 들은 것일까? 가을의 이야기는 점점 깊어만 간다.



절집 안 담장 위에 감이 익었다. 가을비에 젖은 감이 잎을 떨군다. 계곡에 떨어진 낙엽들이 화려하다. 마지막 계곡을 치장하는가 보다. 그리고 장작을 쌓은 뒤로 굴뚝을 따라 얼굴 붉힌 단풍이 따른다.



가을이 깊었다. 가을 낙엽속으로 들어가는 스님의 뒷모습에서 짙은 가을이 익어가고 있다.

김제 금산사에 수천 명의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그 중에는 외국인들도 보인다. 10월 17일 김제 모악산 금산사에 개산대제가 열리는 날이다. 개산대제란 금산사가 처음으로 문을 연 날을 말한다. 절을 ‘산문’이라고 한다. 개산대제는 바로 절문을 처음으로 열었다는 뜻이 된다. 금산사의 개창일이 되는 셈이다.

금산사는 조선 성종 23년인 1492년에 작성된 <금산사 5층 석탑 중창기>에 의하면, 금산사는 이미 석가모니 부처님 이전의 가섭불 때에 있었던 옛 절터를 다시 중창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는 금산사의 터전이 오래 전부터 부처님과 인연이 깊었던 것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진표율사는 중건자로 보아야 한다.

금산사가 통일신라시대에 ‘진표율사’에 의하여 창건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는 중창자이지 창건주는 아니다. 그 이유는 <삼국유사>를 비롯한 기록에 보면, 진표율사는 금산사의 ‘순제법사’에게 출가한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진표율사 이전에 이미 금산사가 창건되었음을 알게 한다.



이날 금산사에 모인 인파는 5,000명 정도라고 한다. 아마도 절집에 이렇게 많은 인원이 모인다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금산사 개산대제에는 언제나 그 정도의 인원이 모여, 부처님의 도량이 문을 열었음을 축하하는 것이다. 금산사 개산대제의 이모저모를 둘러본다.


개산대제를 거행하는 기념식장에는 외국인들도 보인다. 종교에는 벽이 없어서인지, 파란 눈의 외국인들도 개량한복을 똑같이 차려입고 많은 사람들이 참가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행사장에 모인 모든 사람들이 일어섰다. 죽장자를 짚은 전 조계종 총무원장이신 월주 대종사께서 현 금산사 주지 원행스님과 많은 인파를 대동하고 식장으로 입장을 하고 계시다.



한복을 곱게 차려 입은 사람들이 차를 받치고 입장을 한다. 그 뒤로는  쌀, 향, 꽃, 등, 과일, 차 등 공양물을 부처에 바치는 의식인 육법공양물을 손에 든 사람들이 줄을 잇는다.  '육법(六法)'이란 깨달음과 관련된 6가지 공양에 정신적인 상징을 의미하는 것이다.

(1)등(보시) - 지혜의 등불이다. 등은 세상을 밝히는 광명 지혜인 진리를 내포하고 있다.
(2)향(지계) - 해탈의 향기이다. 향은 가려진 곳에도 향기를 두루 나눠 주는 공덕이 있다.
(3)꽃(인욕) - 보살 행의 아름다움이다. 열매가 맺기 위해서는
먼저 꽃을 피워야 한다.
(4)과일(정진) - 깨달음의 열매이다. 지극히 바른 도로써 성취 하겠다는 정진을 표현한다
(5)차(선정) -열반의 맛을 의미한다. 부처님께 올리는 차는 보통 차가 아니라 '감로차(甘露茶)'이다.
(6)쌀(지혜) - 깨달음의 기쁨이다. 봄부터 수많은 노력을 한 후
가을에 추수할 때의 기쁨을 상징한다.



수많은 사람들이 두 손을 모으고 부처님을 찬양한다. 그리고 월주 대종사의 개산대제를 기념하는 법문으로 이어진다. 특히 이 날은 만등불사와 불자들이 법명을 받고 새로운 생을 시작하는 '보살계'가 함께 이루어져 더 많은 사람들이 참석을 했다.

10월 17일 김제 모악산 금산사 개산대제가 열렸다. 금산사는 조선 성종 23년인 1492년에 작성된 <금산사 5층 석탑 중창기>에 의하면, 금산사는 이미 석가모니 부처님 이전의 가섭불 때에 있었던 옛 절터를 다시 중창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는 금산사의 터전이 오래 전부터 부처님과 인연이 깊었던 것임을 알 수 있게 한다.

금산사가 통일신라 시대에 ‘진표율사’에 의하여 창건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는 중창자이지 창건주는 아니다. 그 이유는 <삼국유사>를 비롯한 기록에 보면, 진표율사는 금산사의 ‘순제법사’에게 출가한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진표율사 이전에 이미 금산사가 창건되었음을 알게 한다.


'기다림은 역시 지루해. 언제 시작하는 거야...'

금산사 1412주년 개산대제 열어

남아있는 <금산사사적>의 기록에 의하여, 금산사가 백제 법왕 1년인 599년에 창건되었음을 알 수 있다. 10월 17일 금산사 대적광전 앞에서는 금산사 개산 1412주년을 기념하는 개산대제가 열렸다. ‘개산대제’라 함은 금산사가 창건한지 1412년이 되었다는 것을 뜻한다.

이 기념식장에서 ‘화동(花童)’들을 만났다. 육법공양을 하기에 앞서 앞에서 꽃을 뿌리며 행진을 하는 화동들은, 비천상에서나 볼만한 그런 아름다움이다. 딴 곳에서는 볼 수 없는 화동의 모습이다. 마치 비천인의 화신인 듯한 화동들이다.



너무 오래 서 있었나보다. 눈도 감기고 졸립기도 하도, 햇볕은 왜 이렇게 따가운 것이야

그러거나 말거나 우린 즐겁다. 사람도 겁나게 많고, 우리가 제일 먼저 들어간다네




드디어 행진이다. 예쁜 모습으로 꽃을 뿌리며 들어가야지....앗 그런데 꽃이 없다. 너무 빨리 뿌려버렸네~

너희들이 화동이면 난 청사초롱 소녀다. 보이냐 이 아름다운 자태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