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교산 산행에서 가장 아름다운 길을 택하라고 한다면, 난 당연히 2.4km 구간인 ‘수변산책로’를 꼽는다. 광교쉼터에서 다리를 건너 시작하는 수변 산책로는, 아이들과 함께 걷기에도 그리 힘들지가 않다. 우선 거리가 2.4km 정도지만, 오르고 내리기를 반복하면서 변하는 주변경치를 느끼는 재미가 쏠쏠하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도심의 답답함이 싫어질 때면 이 길을 걷는다. 그저 뒷짐을 지고 천천히 걸어도 40분 정도면 충분하다. 나는 길을 걸을 때 가장 즐기는 방법이, 아주 천천히 주변을 돌아보며 걷는 법을 택한다. 무슨 전쟁에라도 나갔는지 황급히 곁을 지나쳐 가는 사람들을 보면, 오히려 안 걷느니만 못하다는 생각이다.

 

걸으면 걸을수록 좋은 길

 

 

 

광교저수지를 끼고 걷는 수변산책로 길은 걸으면 걸을수록 좋은 길이다. 또한 계절마다 그 느끼는 감흥이 달라진다. 여름철에는 신록이 우거져, 오후 4시만 되도 숲길은 햇볕이 사라져버린다. 가을이 되면 저수지에 모인 물에도 단풍이 드는 그런 길이다. 내가 이 수변산책로를 적극 추천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천천히 길을 걷기 시작한다. 조금 걷다가보면 오른편으로 돌무지 하나가 보인다. 옛날 같으면 서낭당이라고 하겠지만, 주변 정리를 하면서 쌓아올린 누석총인 듯하다. 저런 것 하나가 길의 분위기를 반전시킨다. 그저 어느 소리꾼이 소리를 하고 지나는 길과 같은 그런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수시로 바뀌는 길의 모양도 새롭다


산에 있어야 할 바위가 길로 나왔다. 아마도 함께 걷고 싶은가 보다. 바위도 나무도 그리고 온갖 새들도 함께 걷는 길이다. 그래서 수변산책로는 지루하지가 않다. 그저 뒷짐을 지고 천천히 걷기 좋은 길이다. 잠시 사파른 길이 나오는가 싶으면, 다시 아래로 길이 이어진다. 저만큼 어머니의 손을 잡은 아이들이 지나쳐 간다. 이 길을 걷는 사람들의 표정은 하나같이 환하다. 길이 아름다워서일까?

 

 

 


잠시 광교저수지를 볼 수 있는 시야가 트인다. 7월 29일 오후의 햇살을 받은 저수지의 물이 아름답다. 한 쪽에는 푸른 녹조가 끼기도 했지만, 날이 워낙 더위니 어쩔 것인가? 그저 그러려니 하고 걷는다. 가다가보면 몇 개의 갈라지는 길이 나온다. 그리고 쉴만한 의자도 놓여 있다. 바쁠 것이 없으니 앉았다 가라는 뜻일게다.

 

열심히 수변산책로를 걷는 두 모녀인 듯한 사람들이 지나간다. 부부인 듯한 사람들도 곁을 지나친다. 아이의 손을 잡은 아버지도 아이에게 무엇인가 이야기를 하면 지나간다. 그렇게 수변산책로에서는 많은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좁은 길임에도 아무도 탓하지 않는다. 그저 자신이 갈 길을 걷고 있을 뿐이다.

 

 

 


길 끝에서 만나는 여유

 

주인을 따라 수변산책로를 걸어 온 강아지 한 마리가 쉬고 있다. 카메라를 들이대자 잔뜩 겁을 먹은 눈치다. 9개월이라고 하는 이 녀석 이름은 ‘아가’라고 한다. 이 녀석도 얼마나 더운지 털을 두 밀어버렸다. 그리고 저수지 둑 밑으로는 공원이 있다. 사람들이 자리를 펴고 앉아 더위를 피하고 있다.

 

물이 보이는 곳에 두 사람의 남녀가 자리를 펴고 앉아 술판이 벌어졌다. 이 더위에도 저런 모습을 볼 수 있는 곳이 바로 수변산책로 길이다. 7월 29일, 30도를 웃도는 더위 속에서 만나게 되는 여유로운 모습들. 사람들은 그래서 이 수변산책로를 수원에서도 아름다운 길이라고 하는가 보다.

일기예보에서는 연일 ‘찜통더위’라는 표현을 한다. 그만큼 올 여름은 무덥고 더위도 길다고 한다. 소나기라도 한바탕 퍼부어주면 좀 시원해질 듯도 하건만, 오는가 하면 어느새 멈춰버린다. 가만히 앉아있어도 등줄기로 땀이 흐른다. 참 견딜 수가 없는 무더위가 사람을 지치게 만든다.

 

7월 29일 오후 2시. 30도를 넘는 기온에 참을 수가 없다. 차라리 이런 날은 땀을 흘리고 목물이라도 한바탕 하면 덜 더울 듯하다. 광교산으로 향했다. 어차피 바닷가로 갈 수가 없다면, 시원한 물이 흐르는 계곡에 발이라도 담구는 것이 좋을 듯해서이다.

 

 

 

광교산은 수원시와 용인시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수원의 북쪽에서 불어오는 찬바람을 막아주며 시가지를 품고 있는 수원의 대표적인 산이다. 광교산의 원래 이름은 ‘광악산’이었으나, 고려 태조 왕건에 의해 광교산으로 명명되었다고 전해지는 수원의 진산이다. 주말과 휴일이 되면 수십만의 등산객이 이용한다는 광교산은, 자연이 살아있는 곳으로 숲과 계곡을 흐르는 맑은 물이 사람들에게 건강한 삶을 안겨주고 있다.

 

‘우리는 광교산으로 피서 간다.’

 

광교산으로 오르는 상광교 버스종점서부터, 계곡에는 사람들로 만원이다. 위로 오르면서 앉을만한 곳에는 이미 사람들로 꽉 차 있다. 더러는 숲에 텐트를 치고 본격적인 피서를 즐기기도 한다. 조리를 할 수 없다는 것 외에는, 무엇 하나 불편함이 없는 곳이다. 깔 자리를 옆에 낀 사람들이 자꾸만 위로 오른다.

 

 

 

 

 계곡에는 사람들로 만원이다. 맑은 물과 숲이 있어 피서에는 제격이라고

 

노루목으로 오르는 길가 옆으로 흐르는 계곡에도, 여기저기 사람들이 모여 있다. 담소를 나누면서 음식을 먹는 사람들의 모습에서 참 행복한 표정들이 보인다.

 

“시원한가요?”

 

묻지 않아도 될 만한 말이다. 하지만 얼마나 행복한지 정도는 알아야 할 것 같아서, 물속에 발을 담구고 있는 사람들에게 말을 건넨다.

 

 

 

 “정말 천국입니다. 내려오셔서 발 좀 담가보세요. 내장까지 시원합니다.”

“어디서 오셨나요?"

“요 아래 연무동에서 자리 하나 갖고 올라왔어요.”

“피서를 갈 생각은 없으신가 봐요?”

“길 막히고 바가지 쓰고, 거기다가 덥고 끈끈한 곳이 해수욕장인데 왜 그런 곳을 갑니까? 저희들은 걸어서 올라올 수 있는 거리에 이 산이 있어 너무 행복합니다. 돈 안 들고 정말 좋은 피서를 할 수 있으니까요.”

“그래도 여름엔 바다 냄새라도 좀 맡아야 하지 않나요?”

“우리는 매년 여기 와서 한 여름을 보내고는 해요. 아이들 고생도 안 시키고 깨끗한 물과 숲이 있어서 정말 좋아요. 내가 수원에 산다는 것, 그리고 광교산 가까이 산다는 것이 정말 행복합니다.”

 

광교산 아래 연무동에 산다는 이아무개(남, 43세)는 입이 침이 마르도록 광교산 자랑을 한다. 아마도 막히는 도로에서 짜증을 내기보다는, 이렇게 시원한 곳에서 한 여름을 보낼 수 있다는 것도 행복일 것이란 생각이다.

 

 

 

노무목으로 오르는 길목의 숲길(위) 자리 한 장이면 올 여름 피서는 끝이라는 사람들도 계곡을 찾아 노루목으로 오른다(아래)

 

나도 자리 하나 들고 피서 나설까?

 

노루목으로 오르는 길을 조금 더 걸어본다. 숲속의 시원한 바람이 기분을 상쾌하게 만들어 준다. 연일 땀을 흘리며 사무실에서 보낸 시간에, 여기저기 땀띠가 돋았다. 그저 맑고 찬 계곡물에 풍덩 뛰어들고 싶다. 한 무리의 사람들이 돗자리 한 장 들고 노루목을 향해 걷는다.

 

“어디로 가시는 길입니까?”

”조금 더 올라가면 바위를 따라 흐르는 물이 모여 있는 작은 소가 있어요. 옆에는 바위도 있고요. 거기다가 자리 펴고 책이나 보려고요.“

“올 여름은 어디 안가세요?”

“이곳보다 좋은 곳이 어디 있겠어요. 우린 광교산으로 피서갑니다.”

 

환하게 웃는 그 모습에서 정말로 광교산이 좋다는 생각을 한다. 걸어서 갈 수 있는 곳. 그리고 맑은 계곡물과 우거진 숲이 있는 곳. 광교산이 있어서 행복하다는 수원사람들. 올 여름에는 나도 이곳에 명당자리 하나 마련해야겠다.

가끔 잘 가는 집이 있다. 광교산 산행을 마치고 내려오다가 보면 출출하기도 하다. 그럴 때면 산 밑 버스 정류장 바로 위에 있는 식당을 찾아간다. 이 식당을 자주 찾는 이유는 자연 속에서 음식을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갑갑한 건물 안을 벗어나, 나무 밑에서 한 끼 식사를 즐기는 여유. 말로만 설명을 한다는 것 자체가 부족한 듯하다.

 

수원시 장안구 상광교동 47-2에 소재한 ‘광교헌’. 한마디로 이 집에서 늘 즐겨먹는 것이 보리밥이다. 보리밥에 나물 몇 가지 넣은 후 고추장과 참기름에 비벼서 먹는다. 함게 나오는 된장과 우거지선지국 또한 이집만의 별미이기도 하다.

 

 

어느, 시골의 툇마루 같은 집

 

20년 넘게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답사를 계속하다 보니, 이젠 겉으로 집 모양만 대충 보아도 그 집의 손맛을 알 정도이다. ‘서당개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는데 자그마치 강산이 두 번이나 변한 20년이 넘게 전국 방방곡곡을 발품을 팔았다. 그러다 보니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바로 끼니를 때우는 일이다.

 

물론 음식이라는 것이 ‘시장이 반찬’이라고도 한다. 하지만 이왕이면 정이 가득한 음식을 먹을 수 있다면, 그 또한 맛있는 반찬보다 낫다. 하기에 난 겉으로 보기에 으리으리한 집은 왠지 불편하다. 그것보다는 그저 마음 편하게 다리 쭉 뻗고 가끔은 지인들과 곡차 한 잔을 하면서 떠들 수 있는 자리가 좋다.

 

 

 

초가집의 대문 안으로 들어서면 그저 숲 속에 길게 늘어놓은 탁자가 마치 시골 집의 툇마루와 같이 정겹다


광교헌은 들어가면서부터 기분이 좋다. 이름 그대로 광교에 있는 마루라는 뜻이다. 마루란 무엇인가? 그저 길을 가다가말고 편안히 다리를 뻗고 잠시 쉴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내가 이 집을 좋아하는 이유가 바로 그런 어느 시골집의 툇마루와 같은 분위기 때문이다. 난 늘 이 광교헌을 이렇게 비유한다.

 

뙤약볕 길을 걷고 있다가 만난 깊은 산골마을의 시골 길. 발을 옮길 때마다 먼지가 폴폴 나는 시골길을 걷다가 만난 초가집 한 채. 사립문조차 닫을 필요가 없는 산골 집에 툇마루. 그 툇마루에 털썩 주저앉아 안마당에 있는 우물에서 시원한 냉수 한 그릇으로 땀을 식히는 그러한 기분이 드는 광교헌이다.

 

 

 보리밥을 비벼 먹을 수 있도록 내주는 나물과 아주 시골스런 반찬들


아주 시골스런 밥상에 군침을 삼키다.

 

나무를 그대로 마당에 두고 길 탁자를 놓은 곳. 그곳이 바로 밥을 먹을 수 있는 곳이다. 한 편에선 고기를 숯불에 굽고 있지만, 훤히 터진 곳이라 냄새조차 나지 않는다. 한편 나무가 가까운 곳으로 가서 자리를 잡는다. 주문을 하고 나면 내오는 반찬들. 참 시골스럽다. 직접 만든다는 묵과 두부, 그리고 생김치와 정구지무침, 된장과 우거지 선지국. 그리고 쌈과 고추 등이 이 집 반찬의 다이다.

 

보리밥 한 그릇에 비벼먹을 수 있는 나물 몇 가지. 그것을 모두 큰 보리밥 그릇에 집어넣고 썩썩 비빈다. 그리고 한 숟갈 크게 떠 입안에 넣는다. 보리라고 해서 조금은 껄끄럽다고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전혀 그렇지가 않다. 입안에 가득한 나물과 보리의 향이 기가 막히게 조화를 이룬다.

 

 

 이 집에서 내주는 우거지 선지국은 막걸리 한 잔을 함께 하기에 딱 좋다


아마 답답한 실내에서 이 음식을 먹었다면, 이보다 맛이 덜할 듯하다. 그저 시골의 초가 집 툇마루와 같은 곳에서 먹는 음식이기에 그 향이 더한 듯한 것일 테지. 나뭇가지에 앉아있던 산 새 한 마리가 푸드덕하며 날아간다. 저 새도 밥 때가 되었는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