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 저동리 계향산 산33-5에 소재한 미암사에는. 거대 와불과 함께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71호인 부여 저동리 쌀바위가 소재한다. 쌀 바위는 산중턱에 있는 높이 30m의 거대한 자연석 바위를 말하는 것으로, 암반의 표면이 하얗다. 이 쌀바위가 있어 절 이름도 미암사(米巖寺)로 부른 듯하다.

 

미암사를 들린 것이 벌써 몇 년 전이었을 것이다. 지금은 많이 변해 있겠지만, 그 당시 쌀바위 보다도 절 경내에 누워있는 와불에 더 놀랐다. 얼마나 와불이 컸으면, 그 좌대 아래에 법당을 조성할 수 있었을까?

 

 

세계최대 와불을 조성한 미암사

 

와불은 흔히 열반상이라고 한다. 부처님이 열반을 하실 때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화신불 8불 중에 하나인 와불은 부처님이 입멸하는 상이기도 하다. 부처님이 80년간 중생을 교화하고 인연이 다하여, 중인도 구시나가라의 사라쌍수에서 하루 낮 하루 밤을 대열반경의 설법을 마치셨다.

 

대열반경을 마치신 후 머리는 북쪽으로 얼굴은 서쪽으로 향하고, 오른쪽 옆구리로 누워 입멸을 하셨다. 미암사의 와불은 그 형상을 표현한 것으로 길이 27m에 높이 6m, 6m나 되는 거대 와불이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발바닥에는 전륜과 음자 1만 팔천여자를 새겼다고 하는데, 이 와불을 조성하는 동안 동지섣달인데도 개나리꽃들이 노랗게 피어있었다고 한다.

 

 

쌀바위에 얽힌 전설

 

백제의 역사와 함께 유원한 내력을 지닌 미암사쌀바위는 많은 전설과 일화를 가지고 있다. 일명 음겨석, 촛대바위, 부처바위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며 그 형태를 비유하여 붙여진 듯하다. 미암사 경내에 높다랗게 솟아있는 쌀바위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옛날에 한 노파가 대를 이을 손자를 얻기 위하여, 절에 찾아와 식음을 잊고 불공을 드렸다. 오직 손자가 잘 되기만을 바란 노파가 지성으로 불공을 드리고 있자니, 비몽사몽간에 관세음보살이 현몽을 하였다. 관세음보살은 노파의 소원을 들어주겠다고 하면서, 호리병에서 쌀 세 톨을 꺼내어 바위에 심었다. 그리고 말하기를

 

이 바위에서 하루에 세끼 먹을 쌀이 나올 것이니, 아침과 점심, 저녁을 지을 때 이 쌀을 가져다 짓도록 하라고 하였다는 것이다.

 

노파서 놀라 꿈에서 깨어보니 바위에서 쌀이 나오고, 그 쌀로 밥을 지어 손자에게 먹일 수 있어 행복하게 살았다. 그러나 욕심 많은 노파가 더 많은 쌀을 얻기 위해 부지깽이로 구멍을 후벼 팠더니, 쌀은 나오지 않고 핏물이 흘러 주변이 핏빛으로 물들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이와 같은 전설은 전국에 산재해 나타나는 쌀바위의 전설과 공통적인 형태로 전해지고 있다. 다만 그 행위를 한 인물이 다를 뿐이다. 금강산 화암사 입구에 있는 높다랗게 솟은 봉우리를 쌀바위라 하는데, 이곳에도 같은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미암사는 노파가, 화암사는 스님이란 존재가 다를 뿐이다.

 

이러한 쌀바위에 대한 전설은 인간의 욕심에 대해 경계를 하라고 교훈을 주는 것이다. 인간들의 끝없는 욕심을 경계하고, 온전한 생활을 하라는 쌀바위의 전설.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교훈이기도 하다.

상연대, 해발 1279m의 백운산 정상 밑에 자리한 곳이다. 오죽하면 윗 상자(=上)를 써서 상연대라고 이름을 붙였을까? 8월 7일, 몸이 말이 아니다. 모처럼 맞는 휴일인데 비는 어지간히 쏟아진다. 아마도 이런 빗속에서 답사를 나갔다고 하면, ‘정신병자’가 아닌 다음에야 이해가 가질 않을 것이다.

아우 부부가 그래도 함께 동행을 하겠다고 넌지시 이야기를 꺼낸다. 못 이기는 척 나가고도 싶지만, 도저히 답사를 할 기운이 나질 않는다. 그래도 마음 한 구석에서는, 한 곳이라도 글을 쓸 곳을 찾아 나섰으면 하고 바라는 마음이 간절하다. 비는 점점 세차게 쏟아지는데, 가까운 곳을 찾아가겠다고 길을 나섰다.

비가 쏟아지는 날 찾아간 상연대에서 바라다 본 정경 

빗길에 찾아간 상연대, 자칫 뒤돌아 설 뻔

지리산을 넘을 대쯤엔 장대비가 쏟아지기 시작한다. 아무래도 오늘 답사는 무리인 듯하다. 그래도 다만 한 곳이라도 찾아가겠다고 마음을 굳게 먹는다. 함양으로 접어들어 상연대를 찾아 길을 접어든다. 도로변의 숲길이 아름답다. 하지만 그 숲길의 아름다움을 느끼기보다는, 상연대에 대한 기대가 더 크다.

상연대는 경남 함양군 백전면 백운리에 소재한다. 백전면 소재지를 지나면 백운리 대방마을에 도착한다. 그곳에서 길이 양편으로 갈린다. 왼쪽 길로 가면 묵계암과 상연대가 있고, 오른쪽으로 가면 백운암이 자리한다. 차 한 대가 겨우 지나갈만한 산길로 접어들었다. 조금 올라가니 여기저기 길이 갈라진다. 어디로 가야할까?

가파른 계단 위에 자리하고 있는 상연대

우선은 이름이 상연대라고 했으니, 산 위로 오르는 길을 택했다. 한참이나 오르니 묵계암이 나타난다. 묵계암을 지나쳐 상연대를 오르는 숲길이 아름답다. 내려서 사진이라도 한 장 찍으려는데, 아우가 말린다. 한 번 서면 그만이라는 것이다. 차는 힘이 들어 헉헉대며 쉬지 않고 산길을 오른다. 길에 가득한 낙엽이 미끄러워 운전을 하면서도 힘이 드는가 보다.

한참이나 산으로 올랐다. 인터넷에서 찾아본 자료에는, 묵계암에서 걸어서 10분 정도라고 되어있다. 그러나 차를 몰고 올라가도 10여분이 걸리는 가파른 길이다. 걸어서 10분이라는 말을 그대로 믿고 올랐다면 큰 낭패를 당할 뻔 했다.

깎아지른 비탈 위에 담장이 보인다. 그 밑에 주차장이 있다. 차 서너 대는 댈만한 공간이다. 차에서 내리니 바람까지 세차게 분다. 돌계단을 오르니 바람에 날아갈 듯하다. 그 위에 상연대가 자리를 하고 있는 것이다.


짐을 상연대로 나르기 위한 지게와 리프트

겨우 오른 상연대, 그러나 단청공사 중

주차장 한 편에 지게가 하나 덩그러니 서 있다. 아마도 이곳에서 짐을 지게에 지고 오르는가 보다. 축대 위에는 해우소 곁에 터진 담장사이로 오르는 리프트도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풀이 가득한 것으로 보아, 사용한지가 오래인 듯하다. 계단을 오르는데 비바람이 더욱 거세진다. 백운산 정상 밑에 자리한 곳이라, 계곡을 치고 올라오는 바람의 세기가 장난이 아니다.

가파른 계단을 오르는데 다리가 후들거린다. 전날 음식을 잘못 먹어, 밤새 한 토사에 기운이 없기 때문이다. 겨우 우산에 이끌리다시피 상연대에 오른다. 그러나 이건 무슨 일인가? 온통 공사장이다. 단청공사 중이란다. 힘이 빠진 몸으로 이곳까지 겨우 올랐건만, 이런 낭패가 있나. 비바람이 세차서 사진조차 제대로 찍을 수가 없다.


상연대로 오르는 계단. 비바람이 거세 우산도 쓸 수가 없었다

구름도 비켜가는 상연대

상연대는 해인사의 말사로, 신라 말기인 경애왕 1년 924년에 세운 암자이다. 고운 최치원선생이 어머니의 기도처로 건립하여 관음기도를 하던 중에, 관세음보살이 나타나 ‘상연(上蓮)’이라고 하여 붙인 이름이라고 한다. 이곳은 신라 말의 구산선문 중 한 곳인 실상선문이 이곳으로 옮겨와 마지막 선문의 보루라고 전한다.

천여 년 동안 수많은 고승들을 배출했다는 상연대. 1950년 6,25 한국전쟁 때 불타버린 것을, 1953년경에 재건을 했다고 한다. 비는 더욱 거세진다. 바람소리까지 윙윙거릴 정도이니 더 이상은 서 있을 수가 없다. 법당 안은 구경도 못하고 돌아서는데, 빗속에 멀리 산들이 줄지어 선 광경이 시야에 들어온다.


단청 공사중인 상연대와, 상연대에서 내려다 본 주차장

날이 좋았더라면, 정말로 아름다운 경치를 보았을 것만 같다. 구름도 비켜간다는 상연대. 백두대간으로 연결되는 백운산 정상 밑에 서 있는 상연대는, 그렇게 비바람 속에서 숨을 죽이고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