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하루 비가 왔다고는 하지만, 8월 13일은 아직 여름이다. 한 낮의 수은주가 31도를 넘었다. 이런 날 점심을 먹고 나면 괜히 나른해진다. 그런 나른한 마음을 바로잡는 데는 땀을 한 번 흘리는 것이 제일이란 생각이다. 멀지 않은 곳에 있는 만석공원으로 달려갔다. 땀 한번 쏟아보자고.

 

만석거는 일왕저수지, 교구정 방죽, 북지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가뭄으로 인해 고통을 받는 사람들을 위해, 정조 19년인 1795년 이 만석거를 축조하였다. 이 만석거로 인해 황폐했던 땅에서 쌀 만석을 더 생산하였다고 하여, 그 명칭을 ‘만석거’라고 하였다고도 한다. 이 만석거 일대는 현재 ‘만석공원’으로 조성하여 수원시 장안구 송죽동에 위치한다.

 

 

만석거를 바라보는 정자 영화정

 

저수지 조성 후 쌀 만석을 더 생산했다고 해서 ‘만석거’라는 명칭을 붙인 이 저수지를 일제는 ‘일왕저수지’로 개명을 했다. 1920년대에 전국의 행정구역을 통폐합한다는 이유로, 우리고유의 지명을 말살시키려는 음모였다. 그렇게 생겨난 명칭이 바로 일왕저수지이다. 그러나 이곳을 아직도 그 명칭을 사용하고 있어, 일제의 잔재가 아니냐는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이 만석거 한편에 자리하고 있는 정자가 있다. 지금은 ‘영화정’이라는 현판을 걸고 있다. 이 영화정의 원래 이름은 ‘교귀정’이었다. 이 교귀정은 시구관의 부사와 유수들이 거북이 모양의 관인을 주고받은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원래 교귀정은 사라지고 만석공원을 조성하면서 현재의 교귀정 자리에서 200m 정도 동북쪽으로 자리를 옮긴 것이다.

 

 

 

〈화성성역의궤〉에는 영화정에 대한 기록이 보인다. 원래는 8칸 정도의 정자이며 북쪽으로 난 날개채 2칸은 온돌이고, 남쪽으로 난 세로로 두 칸은 포판인데, 3면과 온돌 뒤쪽은 모두 퇴를 반 칸씩 달아내 하엽난간을 두르고 있다고 하였다. 정자 서쪽에는 대문을 내고, 남쪽으로는 작은 문을 냈는데 둘레는 네모꼴 단장이라고 소개를 한다. 1796년 병진년 행차시에 영화정이란 편액을 달도록 했다는 것이다.

 

복원한 영화정, 만석거를 바라볼 수 있도록 담장을 낮춰

 

현재의 영화정은 1996년 10월에 신축, 복원한 건물이다. 영화정의 형태는 화성성역의궤에 기록이 되어있어 그 모습을 따랐을 것이다. 더운 날 찾아간 영화정. 한 옆으로는 하늘 높게 자란 소나무들이 서 있고, 앞 만석거에는 연잎들이 파란색을 띠고 있어 더위에 지친 마음들을 달래주고 있다.

 

 

 

전국의 정자를 답사하면서 느끼는 것은, 역시 그 정자의 누마루에 앉아 경치를 바라보는 것이다. 그래야 과거에 그 정자에 앉아있던 선인들의 마음을 조금이나마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영화정을 돌아보면서, 참으로 어이가 없다. 대문이고 작은문이고, 건물 안에 방문이고 모두가 다 꽁꽁 잠겨있다.

 

저 문을 열고 들어가, 누마루에 앉아 저수지쪽으로 낮게 조성을 한 담장너머로 보이는 만석거를 바라볼 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잠가놓는 것만이 능사는 아닐 터

 

가끔 이런 건물이나 정자들을 만나면 울화가 치민다. 관리를 하기 싫어서 이런 것이라고 밖에는 생각을 할 수가 없다.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정자들도 사람들이 자유롭게 올라가 경치를 즐기고는 한다. 가까운 곳에 있는 수원 화성의 아름다운 정자 ‘방화수류정’ 역시 보물이다. 화성의 많은 전각들도 사람들이 자유롭게 올라가 쉬기도 한다.

 

그런데도 아직 그런 곳에서 사고가 났다는 소리를 들은 적은 없다. 그저 잠가놓고 사방에 감시 센서를 세워놓으면 관리가 제대로 되는지 아는가 보다. 이런 사고는 참 모자람의 극치란 생각이다, 아무리 생각해도 납득이 가질 않는 이런 처사, 하루 속히 그런 사고가 바뀌기를 고대한다.

 

 

 

문화재란 사람들이 직접 그곳을 느끼고 더 감사를 할 때 제대로 된 보존이 이루어진다. 문마다 잠가놓고 정작 울안에 수북이 자라고 있는 풀조차 정리가 되지 않은 영화정.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는 만석공원에 볼만한 전각 하나가, 잠가놓는 것이 능사라는 생각으로 서 있는 모습이 참으로 안쓰럽다는 생각이다.

얼마 전 충격적인 소식을 하나 들었다. 경기도의 한 시에서 지역과 전혀 무관한 예능단체를 초청해, 걸판지게 굿판을 벌였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 굿이라는 것이 상당히 중요한 인물의 억울함을 풀기 위한 것이었다는 것인데, 전혀 지역과도 무관하고 그렇다고 내용이 맞지도 않는 굿판을 벌였다는 것이다. 그렇게 초청을 한 단체가 바로 지역문화를 책임지는 곳이었다니 아연할 수밖에.

 

요즈음 우리는 각처에서 열리는 많은 행사를 보면서 지역적 특성이 강한 우리 것이 너무나 홀대를 받는 것은 아닌가 생각이 든다. 우리의 전통문화는 ‘백리부동풍(百里不同風)’이라고 하여서 그 지역마다 각기 다른 풍속과 문화예술을 지니고 있다.

 

 

즉 살아가는 방법과 주위환경, 그리고 역사적, 시대적 배경을 민속 창출의 요인으로 삼아, 각 처마다 다른 형태의 풍속을 보이고 있다. 하기에 우리는 적어도 한 지역에 뿌리를 내리고 살던 사람들이 딴 곳으로 이주를 하면, 3대 정도를 지나야 그 곳의 풍습을 익히고 그 지역의 토착 풍속과 동화된다고 한다.

 

전통문화는 지역에 따라 독창성이 있다

 

그 예로 판소리의 경우 전라도 사람의 성음이 틀리고, 경상도 사람의 성음이 틀리다. 또한 경기도 사람의 성음이 달라 각기 그 지역 나름의 창제(唱制)를 갖고 있다는 것이 보편적인 견해이다. 풍물을 보더라도 기 지역에 따라 각기 처해진 바대로 다른 음악성향을 띠우고 있어 우리는 웃다리농악, 호남좌도농악, 우도농악, 삼천포농악(영남) 등 지역의 다른 색을 보이고 있는 농악을 볼 수가 있다.

 

춤 또한 지역적으로 각기 특색 있는 춤의 형태가 있고, 그 지역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사람들의 태가 다르다고 표현을 한다. 그러나 요즈음 우리는 문화를 지켜가야 할 사람들의 문화를 망치는 행위를 보거나, 우리 것인지 남의 것인지, 우리 지역 것인지 남의 마을 것인지, 있었는지 만들어졌는지...구분도 되지 않는 그러한 것들을 너무나 흔히 접할 수가 있다.

 

전통예술은 그 지역에서 함께 그 행위를 하고 살아가던 사람들의 정서가, 그 안에 송두리째 담겨있는 것이다. 그런대도 일부 사람들에 의해서 지역의 정서가 사라진 전통예술이 마치 그 지역에 오랫동안 뿌리내리고 있었거나, 혹은 전혀 다른 정서인데도 불구하고 그 지역의 것으로 만들어지고 있다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지역 전통문화를 폄하하는 행위는 매국적인 짓거리

 

전통이란 한 지역에 수 없이 오랜 시간동안 그 지역에 전해지면서, 자연적이고 순차적인 변화를 거치면서 그 지역민의 정서를 내포하고 있는 아름다운 예술로써 가치가 있는 것이다. 그 지역의 정서도 없고 그 지역적 사고도 없는 예술은, 이미 그 지역의 전통이 아니다. 더욱 그런 것들 - 지역적 정서도 없고, 특성도 없으며, 현대적 냄새가 나는 그러한 것들 - 은 더 이상은 우리가 방관을 해서는 안된다.

 

 

그것은 우리의 정체성을 없애고, 민족적 자긍심을 죽이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이런 행위는 어찌 보면 매국적 행위라고 몰수도 있다. 민족적 자긍심을 죽이는 행위는, 그 자체가 바로 망국 행위이기 때문이다. 이미 일제에 의해서 수 없이 많은 전통문화예술이 훼파되고 얼마 남지 않은 부분을 지켜가기 위해 애를 쓰고 있는 이즈음, 지역을 벗어나 함부로 지역 정서를 망치는 행위나 지역적 근거도 없는 것을 지역의 것인 양 몰아가는 행위는 매국적 작태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지역 의식 없는 관리단체 있을 필요 없어

 

이제는 스스로에게 묻기를 원한다. 관리를 하는 행정부서의 담당자는 우리 것에 대해서 얼마나 애착을 갖고 있으며, 얼마나 공부를 했는지. 문화를 지켜가야 할 당사자들은 그 지역적 사고를 지닌 예술적 행위를 하고 있으며, 양심을 속이는 일은 없었는지. 타 지역의 정서를 갖고 있으면서도, 가장 그 지역사람인체 하고 나 몰라라 하는 행위는 하지 않고 있지는 않았는지.

 

 

 

지역의 전통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지역의 전통인체 날조를 하고 방관하고 있지는 않은지. 스스로에게 묻고 스스로 답을 내리길 바란다. 그리고 더 이상은 지역적 정서가 내포되어 있지 않고, 지역의 특성이 없는 그러한 지역불명의 문화를 내세우는 행위는 삼가 하기를 바란다. 그 길만이 지역문화를 지켜가야 할 사람들이 가져야할 올곧은 덕목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럴만한 자질이 없다고 한다면, 당연히 그 자리에서 떠나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객사리 117번지에 소재한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37호 팽성읍 객사. 팽성 객사는 조선 성종 19년인 1488년에 크게 지었으며, 그 후로 2번의 수리를 거쳤다. 객사란 공무를 보는 관원들이 묵어가는 곳이며, 일반적인 형태는 중앙에 중대청을 놓고, 양편으로 동, 서헌을 둔다.

팽성객사는 일제시대에는 양조장으로 바뀌었다가, 그 후 주택으로도 사용이 되었다고 한다. 1994년 해체, 수리하면서 옛 모습을 되찾게 되었다. 현재는 대문간채와 본채가 남아 있다. 대문간채는 중앙에 솟을문을 두고, 양편으로 방과 광 등을 드렸으며, 동편을 꺾어 ㄱ 자형으로 마련하였다.



관리청으로서 위엄을 보이는 팽성객사

본채는 전체 9칸으로 가운데 3칸은 중대청, 양 옆에 동, 서헌이 각각 3칸씩 있다. 객사 본 건물의 중앙에 마련한 중대청은 안에 왕을 상징하는 ‘전패’를 모시고, 관리들이 한 달에 두 번 절을 하던 곳이다. 절은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 행해진다. 중대청의 지붕은 양 옆에 마련한 동, 서헌보다 높여 건물의 격식을 높였다.

동. 서헌은 각각 중대청과 가까이에 한 칸의 온돌방을 마련하고 나머지는 모두 누마루를 깔았다. 이 동 서헌은 다른 지방에서 온 관리들이 머물던 숙소로 사용하던 곳이다. 팽성객사의 중대청과 대문의 지붕 꼭대기 양끝에는, 용머리조각을 놓아 관리청으로서의 위엄을 나타냈다.




팽성읍 객사는 규모가 그리 크지 않지만,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객사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이 팽성객사는 원래는 작은 규모였으나, 조선조 현종 때 크게 중창을 하였고, 영조 36년인 1760년과, 순조 1년인 1801년에 다시 중수를 했다고 한다.

문은 잠가놓고, 쓰레기는 쌓이고

2월 12일 오후 팽성객사를 찾았다. 이번이 두 번째 방문이다. 처음 팽성객사를 방문한 것은 2007년 10월 21일이었다. 그 때도 문은 굳게 잠겨있고, 관리사에는 사람이 있지 않았다. 그런데 이번에도 역시 객사의 대문은 잠을 통으로 굳게 잠겨있다. 그리고 관리인이 묵는 관리동과 심지어 화장실까지 잠겨 있다.



화장실 앞에는 지저분하게 담배꽁초와 쓰레기들이 나뒹굴고 있으며, 담장 밑에도 담배꽁초와 누군가 버리고 간 쓰레기를 담은 비닐봉지들이 나뒹굴고 있다. 전혀 관리가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관리동까지 지어놓고 정작 관리는 하지 않는 문화재. 관리동과 화장실이 붙어있는 이 건물은 벽도 떨어져 나가 흉물로 변하고 있다.

주말과 일요일이 되면 문화재를 답사하러 다니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이곳이 소중한 문화재인 것은 알고 있지만, 이렇게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고 잠가만 두면 된다는 발상은 어디서 나온 것일까? 전주객사의 경우 보물로 지정이 되어있지만, 누구나 들어가 동, 서헌 마루에 앉아 쉴 수가 있다.





문화재란 더 많은 사람들이 가까이하고 그것의 소중함을 인식할 때 지켜지는 것이다. 무조건 문을 걸어놓고 출입을 시키지 않는다고 보존이 되는 것은 아니다. 돈을 들여 관리사를 짓고 사용도 하지 않을 것 같으면, 도대체 왜 혈세를 낭비하면서 문화재보존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일까? 해당 지자체의 반성이 있기를 바란다.

한말 전국에서 일어난 의병들은 일제의 만행에 앞서 피를 흘리며 싸웠다. 그들은 빈부귀천을 가리지 않고, 오직 나라와 백성을 위한다는 일념으로 초개같이 목숨을 버린 것이다. 그런 고귀한 죽음을 아직도 망령된 일제의 잔재들이 더럽히고 있다는 것에 대해 가끔은 분노를 느끼기도 하지만, 이젠 그도 세월이라는 역사 속으로 스며들고 있는 듯해 안타깝다.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순화리 313번지 순창군청 옆 순창초등학교 내에 위치한 순창객사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8호로 6.25때도 불타지 않고 잘 보존된 중요 유적지며 사적지다. 순창객사는 조선조 영조 35년인 1759년에 지어진 조선 후기의 관청 건물이다.



전북 유형문화재 제48호인 순창객사와 망궐례를 행하던 정당(가운데, 아래)

서대청이 사라져 버린 순창객사

순창객사는 가운데의 정당을 중심으로 왼쪽에 동대청, 오른쪽에 서대청, 앞쪽에 중문과 외문, 그리고 옆쪽에 무랑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지금은 정당과 동대청만이 남아있다. 정당이란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전하 만만세’라고 새긴 궐패를 모시고, 예를 올리던 곳이다. 또한 나라의 일이 있을 때도 궁궐을 향하여 절을 했다고 한다.

새로 부임한 고을의 수령은 반드시 이곳에서 가례를 올렸으며, 중앙의 관리가 이 고을에 찾아 왔을 때는 이곳에서 묵었던 곳이다. 객사는 공무로 일을 보는 관리들의 숙박 장소였던 곳이다.




순창객사의 정당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은 팔작지붕으로 안의 바닥은 누마루를 깔았으며 전면은 모두 살창으로 막아 일반인들의 출입을 막고 있다. 이는 공적인 궝례를 행하는 곳이기 때문에, 잡인의 출입을 금지시킨 것이란 생각이다.

방이 없는 동대청

원래 객사를 공무를 보는 관리들이 묵는 곳이기 때문에 객방이 있다. 현재 남아있는 동대청은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집이다. 그런데 이곳 동대청이 방이 없는 것으로 보아, 서대청에 방이 있었는가 보다. 동대청은 시원하게 누마루를 깔았으며, 주변에는 오래 묵은 고목들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객사의 역사를 가늠하게 한다.


동대청은 1단의 기단을 쌓고 그 위에 자연석 덤벙주초를 올렸다. 그리고 원형의 기둥을 세워놓았다. 대청의 누마루 위에는 가운데 기둥을 세웠으며, 천정 위에는 신서도와 같은 그림이 그려져 있다. 정교한 건축기술을 자랑하는 이 객사는, 한말 무성서원에서 의병을 일으킨 최익현, 임병찬 의병장이 진을 치고 왜군과 격전을 벌였던 곳이기도 하다.

의병들의 구국열기가 뜨겁던 곳

순창객사는 단순히 객사로서의 기능만 갖고 있던 곳이 아니다. 순창객사에서 그리 멀지 않은 정읍의 무성서원에 모였던 의병들은 이곳을 거점으로 삼아 항일운동을 거세게 펼쳤다. 이곳에서 일본군과 잔주에서 급파된 병사들에 쌓여 항전을 벌이던 의병들은 결국은 숫자열세에 밀려 패퇴를 하고 말았고, 최익현은 순창객사에서 일본군에게 생포가 되어 대마도로 유배가 되었다.



관원들의 공무길에 묵을 수 있었던 객사. 언제 서대청이 소실되었는가는 알 수가 없다. 하지만 현재 남아있는 정당과 동대청만 보아도 그 규모를 짐작할 수가 있다. 그리고 주변에는 커다란 고목들이 자리하고 있어, 객사의 단조로움을 벗어나게 해준다. 군청 옆 순창초등학교 건물 앞에 서 있는 순창객사는, 역사의 산 증거물로 그 빛을 발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database]란 일반적으로 ‘DB’라고 약자로 많이 적는다. 데이터베이스는

자료 기지 또는 자료틀. 보통 DB라고 약칭한다. 동시에 복수의 적용 업무를 지원할 수 있도록 복수 이용자의 요구에 호응해서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저장, 공급하기 위해 일정한 구조에 따라서 편성된 데이터의 집합이다. 기업이나 조직체의 활동에 필요 불가결한 자원이 되는 정보에 대한 다양한 요구에 응하기 위해 대량의 정보를 수집, 관리하여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라고 설명을 하고 있다.(다음 백과사전)

데이터베이스란 언제나 그 자료에 대한 가장 최근 의 것, 혹은 가장 정확한 것이라야 제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생각이다. 그런데 한 나라의 문화재를 총괄하고 있는 관계부처에서 제대로 된 사진하나를 데이터로 갖고 있지 못하다고 하면, 쉽게 납득이 가는 이야기일까?

문화재청 데이터베이스 검색. 강경 미내다리

데이터베이스는 관리가 잘 되고 있을까?

전국을 다니면서 문화재를 답사하고, 그것을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기 위해서 다음 뷰에 글을 송고한다. 문화재라는 특성상 글을 쓰기 위해서는 문화와 관련된 단체의 홈페이지 등을 꼼꼼히 살펴보고는 한다. 글을 쓰기 위해서 내가 찾아보는 자료는 문화재청, 해당 지자체 사이트, 그리고 현장의 안내판 등이다. 그리고 혹 시간적 여유가 있거나, 운이 좋을 때는 근처에 계신 분들의 이야기도 빠트리지 않고 챙겨온다.

문화재청의 문화재 소개나 해당 지자체의 관련 사이트, 그리도 현장의 안내판 등도 모두 데이터베이스에 속한다. 그런데 다니면서 보면, 잘못된 자료가 너무 많다는데 대해 놀랍기만 하다. 적어도 한 나라의 문화재를 설명하는 자료가 잘못되어 있다면, 그것을 이해 할 수가 있는 것일까?

다니면서 잘못 된 안내판 등을 수도 없이 관련 단체에 전화를 해 시정을 요구하고는 했다. 그동안 꽤 많은 자료들을 고치기도 했지만, 매번 이렇게 전화를 하는 것도 번거롭다. 또한 이야기를 나누다가 보면 가끔 본의 아니게 말투가 거칠어지기도 하고, 말끝이 올라가기도 하는 일이 있다 보니 그도 반가운 일은 아니란 생각이다.


문화재청 데이터베이스에 소개된 미내다리 사진

최고기관인 문화재청, 데이터베이스 관리 꼼꼼히 살펴야

오늘 강경 미내다리 글을 쓰기 위해 여기저기 조사를 하다가, 문화재청 ‘문화유산지식’이라는 카테고리에 들어가 미내다리의 설명을 보았다. 물론 미내다리의 설명으로 본다면 가장 신빙성 있는 곳이 문화재청이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모든 문화유산을 총괄하고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모든 문화유산이라고 해서 문화재청에서 일일이 관리를 하는 것은 아니다. 국보나 보물, 중요민속자료, 중요무형문화재, 사적, 천연기념물 등 그중 가치가 중요한 것은 문화재청에서 직접 관리를 하고, 지방의 유무형문화재나 기념물 등은 광역자치단체에서 관리를 한다.

그렇다고 지자체에서 관리를 한다고 해서, 그 가치가 없는 것은 아니다. 문화재란 그것이 어떤 분류에 속해있던지 모두가 소중한 문화유산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미내다리 자료를 보니 사진이 이상하다. 문화재청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사진은 복원이 되기 전에 찍은 사진이다. 논산시청을 들어가 보았다. 현재의 미내다리 모습이다.

논산시청의 미내다리에 소개된 사진

그렇다면 문화재청은 이 미내다리의 원래 모습을 그대로 놓아두어야만 했을까? 당연히 아니다. 그 자료도 소중하겠지만 복원 전의 모습과 복원 후의 모습이 있었다면, 더 훌륭한 데이터베이스였을 것이다. 문화재를 관리하는 최고 기관의 데이터베이스가 이토록 허술하게 관리가 되고 있다면, 이 문제가 그냥 넘어가도 좋을만한 것일까?

수많은 사람들이 들어와 보고 가는 곳이다. 더욱 요즈음 우리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전국을 수많은 블로거들이 찾아다니면서 답사하고 글을 올리고 있다. 꼭 블로거가 아니라고 해도 문화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문화재를 즐겨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문화재청도 항상 새로운 모습의 자료를 구축하고 그것을 올려주어야 한다. 그 길만이 온전한 데이터베이스의 관리라는 생각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