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군 산서면 면소재지에서 721번 지방도를 이용해 남원시 보절면 방향으로 가다가 보면, 이룡삼거리를 지나 하월리가 나타난다. 하월리에는 우측으로 사계봉을 두고, 좌측 조금 안쪽으로 폐교가 된 구 계월초등학교가 보인다. 이 계월초등학교는 195541일 개교를 하여, 1995228일 폐교가 되었다. 그동안 계월초등학교를 졸업한 학생 수는 1,608명이라고 한다.

 

이 계월초등학교 터에는 지금당(知今堂)’이라고 부르는 서당 터에 다섯 칸의 작은 건물이 들어서 있다. 옆에는 수령 460년의 보호수로 지정 된 은행나무가 서 있어, 이곳의 역사를 가늠할 수가 있다. 아마도 지금당이 문을 열 때 심은 것이나 아닌지 모르겠다. 시기적으로 연륜이 같기 때문이다. 지금당은 장수군의 향토유적으로 지정이 되어있다.

 

 

과거급제의 산실인 지금당

 

지금당은 조선 선조 35년인 1602년에 정유헌 선생을 비롯하여, 활계 이대유, 만헌 정염 등이 서당을 설립하여 유생들을 지도한 곳이다. 이 서당에는 인근의 학동들은 물론, 전국 각처에서 많은 학동들이 모여들어 학문을 연마하였단다. 이 서당에서 학습을 연마한 학동들은 대과에 15, 소과에는 40여명이나 과거에 급제를 시켰다는 것이다.

 

그 자리에 서 있는 지금당은 1955년 계월초등학교가 개교를 하면서, 지금당이 처음에는 교실로 사용이 되었다. 그 뒤 도서관과 문화관으로 활용을 하였으며, 계월초등학교가 폐교가 된 후에, 장수군의 향토자료로 지정이 되었다. 지금도 과거급제를 한 유생들의 후예들인 창원 정씨, 삭녕 최씨, 제주 양씨, 김해 김씨, 경주 이씨들이 지금당계를 이어오면서 많은 장학사업 등을 펼치고 있다고 한다.

 

 

다섯 칸의 협소한 건물에서 많은 인재가

 

토요일. 주말이라 점심시간이 지난 후에 장수군으로 출발을 하였다. 지난 번 금강의 발원지인 뜬봉샘을 답사하고 난 후, 몇 군데 보아둔 곳이 있어서이다. 수많은 지자체의 문화재를 답사를 하고 다녔지만, 장수군처럼 문화재 안내판을 잘 설치를 한 곳은 그리 많지가 않다. 나와 같이 문화재 답사를 하는 사람들에게는, 정말로 고마울 정도로 안내판이 잘 되어있다.

 

산서면에 있는 창원정씨 종가를 둘러본 후, 종가를 안내해주신 마을 어르신이 지금당을 둘러보라고 권하신다. 인근에 있으니 망설일 필요가 없다. 지금당은 계월초등학교 건물 뒤편에 자리하고 있다. 지붕은 요즈음 유행하는 기와와 같은 플라스틱 구조물로 올려놓아, 조금은 옛 모습을 잃기는 했지만 그 속내야 어디로 갈까?

 

 

정면 다섯 칸에 측면 한 칸 반 정도로 지어진 지금당이다. 주변은 쇠줄로 보호책을 설치하였다. 입구는 반 칸을 툇마루로 놓고, 그 뒤편에는 선생의 휴식공간인 듯하다. 유리가 몇 장 깨어져 조금은 보기에 좋지 않은 모습이다.

 

마루를 놓은 소탈한 교실

 

네 칸으로 된 교실은 마루를 놓았다. 좌우로 창을 내어 밖이 훤히 내다보인다. 아마도 이 창을 통해 주변의 경치를 보면서 꿈을 키웠을 것이다. 벽에는 세 점의 편액이 걸려있다. 벽에 걸린 편액 중 남전유약(藍田遺約)’이라는 말은 아마도 후세에게 학업성취의 뜻을 지켜 전하라는 것인 듯하다.

 

 

400년이 넘는 세월을 이곳에서 학업에 열중한 많은 사람들. 그 중에는 얼마나 많은 큰 인물들이 있었던 것일까? 장수군의 곳곳을 다니면서 만나게 되는 많은 문화재들이, 그런 숱한 역사를 알려주고 있다. 초라한 모습으로 서 있는 지금당. 그러나 이곳은 수많은 인재들을 길러 낸 명당이다. 이러한 깊은 뜻이 있는 곳에서, 길을 재촉해야 한다는 것도 잊은 체 옛 서생들의 글 읽는 소리를 기억하려 애를 쓴다.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북수동 232-3번지에는 ‘대안공간 눈’이라는 곳이 있다. 눈을 들어가기 전에는 ‘골목집’이라는 간판을 붙인 밥집이 자리한다. 이 밥집은 막걸리 등 술을 팔기도 하는데, 우리가 이 집을 이용할 때는 주로 늦은 시간이다. 모임을 이 집에서 자주 갖기 때문이다.

 

여름 낮 더위를 피해 저녁 무렵 찾아간 이 골목길은, 밖에서 보기와는 전혀 다르다. 좁은 골목과 골목이 연결이 되는 이 길은 지난해부터 벽화를 그리고 있다. 그저 무료하고 답답한 벽에 여기저기 그려진 벽화들은, 좁은 골목길의 답답함을 가시게 해준다. 그래서 이 골목을 다니는 것이 때로는 큰 재미를 준다.

 

 

 

“이놈들 위험하다, 얼른 내려와”

 

골목길을 들어서면 굳이 골목집을 들어가지 않아도 좋다. 벽에 골목집의 분위기가 그대로 그려져 있기 때문이다. 대안공간 눈을 지나 골목이 좌우로 갈라진다, 일부러 좁은 골목을 잠시 들려본다. 담장이와 벽화가 마주하는 좁은 골목길로 행인들의 뒷모습이 정겹다. 어디 옛날 문화영화에서나 봄직한 그런 모습이다.

 

우측의 큰길가로 나가본다. 전깃줄 위에 참새와 같이 아이들이 앉아있다. ‘이 녀석들 위험하다. 얼른 내려와라’ 하고 소리를 쳤더니 빙그레 웃는다. 그리고 보니 이 녀석들 등 뒤에 날개를 달았다. 백주 대낮에 어린 천사가 내려와 지나는 행인들에게 미소를 보낸다. 아마도 이 벽화를 그린 화가의 마음이 그랬을 것이다.

 

 

 

좁은 골목길을 돌아서 나오다가 보니, 길바닥에 ‘로맨스 길’이라고 자갈을 이용해 글을 써 놓았다. 이곳이 왜 로맨스길이 되었을까? 하긴 옛날 같으면 이 길을 팔짱을 끼고 걸으면서, 남몰래 수상한 짓을 했을 것도 같다. 더구나 해질녘 땅거미가 내리 앉을 때면, 슬그머니 입맞춤이라도 해보고 싶었을 그런 골목길이다.

 

 

 

1950년대로 돌아가는 골목길

 

이 길은 아직도 1950년대를 연상케 하는 골목길이 남아있다. 아마 언젠가는 이곳도 재개발이라는 명목으로 사라지겠지만, 아직은 이 길을 걸으면서 들여다보는 재미가 있다. 사람들은 낡고 습한 이런 골목이 무엇이 좋으냐고 묻기도 한다. 하지만 길이라는 것에는 생명이 있어야 한다. 좁디좁은 이 길에는 사람들의 땀 냄새가 폴폴 풍겨난다.

 

거대한 공룡과 같은 시멘트 건물에서 쏟아내는 후텁지근하고 퀴퀴한 냄새가 아니다. 골목 저편 어귀에서 꺾인 담벼락을 타고 불어오는 바람 한 점이 그리도 고마운 길이다. 큰길가로 잠시 돌아 나온다. 그 곳에 엊그제 내린 비로 인해 수원천의 물소리가 시원하다. 그 물소리에 잠시 마음을 흔들어 씻은 후, 다시 골목길을 향한다.

 

 

 

조금은 주변이 달라진 듯한 길을 지나서, 옛날 장거리였을 법한 곳에 닿는다. 낡은 간판에서 재미있는 것을 발견하고 좋아라한다. 보물이라도 찾은 듯한 마음이다. ‘부여집 5-3164’라는 전화번호가 보인다. 그 옆에 또 하나 ‘허가번호 제2-20○○’라고 쓰여 있다. 이곳은 아직도 1950년대의 모습을 지니고 있다.

 

‘이 거리 향토유적이라도 지정해야 되는 것 아닌가요’

 

그럴 수도 있지만, 사람 사는 곳이니 좀 더 좋은 환경으로 바뀌어야 할 듯하다. 골목길을 벗어나면 찻길을 건너 통닭거리로 들어간다. 요즈음은 이 골목 끝에도 통닭집이 하나 둘 늘어나고 있다. 사람이 사는 뒷골목이 재미있다는 것은, 바로 이런 또 다른 볼거리를 주기 때문이다.

 

 

붉은 선 안이 골목길을 돌아본 곳이다

 

사람들은 무조건 좋은 것만을 고집한다. 그러나 그럴 수 없는 사람들이 옹기종기 모여서, 그래도 끈끈한 정을 이어가면서 살아가는 곳. 뒷골목을 걷는 것은, 그 곳에 또 다른 삶의 모습이 있기 때문이다.

충북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1가 154, 중앙공원 안에는 '망선루'라 이름을 붙인 누각이 서 있다. 아래는 둥근기둥을 세워 사람들이 밑으로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계단을 올라 이층 누각으로 오를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망선루는 고려시대 청주관청의 하나로, 관리들이 머무는 숙소인 객사 동쪽에 있던 '취경루'에서 유래한 것이다. 망선루는 청주지역에 남아있는 목조건축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망선루에 대한 기록은 고려 공민왕 10년인 1361년에 보인다. 홍건적의 침입을 물리치고 서울로 돌아오는 길에 청주에 머문 기념으로, 청주에서 과거시험을 치르고 합격자를 취경루에 방을 써붙였다는 기록이 있다. 그 후 조선조 세조 7년인 1461년에 목사 이백상이 중수하고, 한명회가 누각의 명칭을 ‘망선루’라 하였다고 한다. 여러 차례의 중수를 거친 망선루는 근세에까지 유지되다가, 일제 때에는 무덕관의 건축으로 철거되기도 했다.  


청주 중앙공원 안에 자리한 망선루
 
역사의 중심에서 수난을 당한 망선루
 
망선루는 1923년에는 남문로 제일교회 뒤편으로 이건되어, 교육 및 집회장소로 활용이 되었다. 그 뒤 기둥이 심하게 부패가 되어 붕괴의 위험이 있다고 하여, 2000년 12월 중앙공원으로 복원을 하여 옮겨 세웠다. 정면 5칸, 측면 3칸으로 마련된 목조 이층 팔작중층 누각인 망선루는, 그렇게 역사의 회오리 속에서 그 중심에 서 있던 건물이다.
   
청주 중앙공원은 늘 많은 사람들로 시끌하다. 한편에서는 술잔을 기울이고 있고, 정신없이 노름 삼매경에 빠진 어르신들도 있다. 윷놀이를 하느라 소리소리 지르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그저 무료하게 소일하는 것이 생활인양 지나는 사람들을 바라보는 재미로 이곳을 찾는 사람들도 있다. 중앙공원 바로 옆이 청주 젊은이들의 거리라고 한다면, 이곳은 연세가 드신분들의 천국이다.




하수도 뚜껑이 되었던 척화비

망선루는 이층으로 오르는 계단이 굳게 판자문으로 닫혀있다. 이렇게 닫혀진 문화재를 볼 때마다 짜증을 내던 나이지만, 이곳에서는 오히려 잘 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공원내에 술에 취한 많은 사람들이 문을 열어놓으면, 무슨 일을 저지를지 모르기 때문이다. 망선루를 돌아본 후 한편을 보니 작은 비석 하나가 서 있다. 충청북도 기념물 제23호로 지정이 된 '청주척화비'이다.

고종 8년인 1871년에 세워진 대원군의 척화비. 위가 잘려나간 이 비에는 '서양 오랑캐가 침범하는데 싸우지 않으면 화친하는 것이요. 화친을 주장함은 나라를 팔아먹는 것이다'(洋夷侵犯 非戰則和 主和賣國)라는 12자가 음각되어 있다. 그리고 그 옆에는 작은 글씨로 '우리의 만대자손들에게 경계하노라, 병인년에 짓고 신미년에 세운다'라 적었다. 이 척화비는 고종 8년인 1866년 프랑스함대의 침략인 병인양요와, 동년 미국이 통상을 요구하며 침입을 한 신미양요를 거친 후 전국에 세워진 척화비 중 하나이다.


윗부분이 떨어져 나간 척화비

이 척화비는 일본 공사의 요구로 철거가 되어, 석교동 하수도의 뚜껑으로 사용하던 것을 1976년 지금의 자리로 옮겨왔다. 높이 108cm, 너비 47cm 크기의 이 비석 하나가 역사의 아픔을 말해주고 있지만. 이 비석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은 보이지를 않는다. 망선루와 척화비, 역사의 흔적인 두 가지의 문화재가 서 있는 중앙공원. 사람들은 그런 것에는 관심도 없이, 그저 즐기면서 하루 해를 보내고 있다. 문화재라는 것에 관심이 없는, 요즈음 세상의 모습이 그곳에 있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