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수란 보존 및 증식(增殖)의 가치가 있어 보호하는 나무.’를 말한다. 보호수는 어떠한 경우에도 훼손이 되거나, 훼손이 될 수 있는 나쁜 환경 속에 놓아두면 안 된다. 500년 역사의 이야기를 간직한 지동의 할아버지나무와 할머니나무. 이 두 나무는 과거 득남을 기원하고, 가내의 안과태평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던 나무였다.

 

팔달구 지동 465 도에 소재한 수령 550년의 느티나무와, 지동 230에 소재한 수령 500년의 나무. 10m 거리에 마주하고 있는 두 그루 느티나무는, 마을 사람들은 할아버지나무와 할머니나무로 부른다. 이 나무들은 화성 축성 이전인 조선 초부터 이곳에서 숱한 역사의 소용돌이를 거치면서 살아 온 노거수들이다.

 

할아버지나무는 높이가 12m에 나무의 둘레는 4.7m에 이른다. 할머니나무 역시 높이 13m에 이르는 노거수이다. 이 나무들은 화성 축성의 역사를 보았고, 한국전쟁 때도 그 자리에 서 있었다. 한 때 마을에서 위하기도 했던 이 나무들이, 현재는 그 자리에 서 있는 것조차 버거울 정도로 몸살을 앓고 있다.

 

 

주민들의 건의로 이루어진 쌈지공원 조성

 

지난 해 6월 팔달구 지동 제일교회 1층 세미나실에서는 지동 주민들과 이재준 수원시 제2부시장과의 간담회가 열렸었다. 이 자리에서 지동 마을계획단의 유지현 14통장은

 

우리 지동에는 530년 정도가 된 느티나무 두 그루가 있다. 그런데 이 느티나무가 지금 고사할 위기에 처해있다. 이 나무들은 수원에서도 가장 오래 된 느티나무인 것으로 알고 있다. 이 느티나무 주변을 쌈지공원으로 조성해,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는 관광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었으면 한다.”고 한 바 있다.

 

이에 대한 답변으로 이재준 제2부시장은

좋은 지적이다. 그런 오래된 나무들을 이용해 공원을 조성하고, 사람들을 불러들일 수만 있다면 정말 좋은 마을르네상스 사업이 된다. 먼저 주민들이 선도적으로 무엇인가 시작을 해야 한다. 그리고 그것을 마을만들기 추진단에 수시공모로 신청을 해서 무엇인가 이루어져야 할 것 같다. 그렇게 오래 된 보호수가 있다면 당연히 살려내야만 한다.”라면서 주민들이 먼저 시작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한 바 있다.

 

 

쉼터로 조성한 할아버지 느티나무

 

수령 550년이 되었다는 할아버지나무는 외과수술을 한 흔적이 마음 아프게 다가온다. 위로 뻗은 큰 줄기 하나는 고사해서 잎도 달지 못한 체 그렇게 서 있다. 이 할아버지 나무의 주변에는 사람들이 버린 담배꽁초와 빈 담배갑 등이 지저분하게 나뒹굴고 있었고, 한편에는 쓰레기들이 쌓여있었다.

 

그런 이 할아버지 나무 주변을 이번에 말끔하게 단장을 했다. 수원 녹지사업소에서 보호수 외과술 및 생육관리공사를 마친 것이다. 하지만 아직도 나무 곁에 주차를 시키거나 쓰레기 적치장이 그대로 남아있어, 이것도 시급히 정리를 해야 보호수인 할아버지 나무가 제대로 생육을 할 수 있다.

 

지동주민센터 김인배 총괄팀장은

앞에 있는 못골 어린이 놀이터와 이 느티나무를 연결해 이곳을 공원으로 한 단계 발전시킬 것이다. 지동은 이런 소공원이 딴 곳에 비해 많지가 않아, 이젠 주변 정리도 함께 해 공원으로 주민들이 사용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한다.

 

할머니 나무쪽으로 가보았다. 다행히 실하게 잎을 달고 있는 할머니나무는, 할아버지나무보다는 상태가 나은 편이다. 하지만 이 할머니나무 역시 곤욕을 치루기는 마찬가지. 가지 사이로 숱한 전선들이 지나고 있다. 도대체 이 전깃줄을 가지사이로 보낸 사람들은, 보호수가 무엇인지도 모르는 모양이다.

 

할아버지 나무 주변이 말끔히 정리가 되었듯, 할머니나무 역시 나무 사이로 지나가는 전깃줄을 걷어내고 뿌리 주변에 덮어 놓은 시멘트를 걷어내야 할 것이다. 오랜 세월 이 자리를 지켜가면서 숱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두 그루 나무에 대한 애정만이 나무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북 장수군 계남면 화음리에는 수열마을이 있다. 이 마을의 이름에는 특별한 사연이 있으니, 바로 열녀 해주오씨 부인의 이야기에서 비롯한 이름이다. 수열마을 입구에는 작은 구능 위에 비각이 서 있다. 정면 한 칸, 측면 한 칸으로 된 이 비각은, 장수군의 여인들이 얼마나 절개가 곧고 충정스러운가를 잘 알려주고 있다.

 

장수는 의녀(義女)’의 고장이다. 1593729, 임진왜란 때 진주 촉석루 아래 의암에서 왜장을 안고 남강 푸른 물로 뛰어든 의녀 주논개를 비롯하여, 많은 여인들이 꿋꿋하게 절개를 지키기 위해 죽음을 택한 고장이다. 장수군을 답사하면서 보면 이러한 열녀들의 이야기를 수도 없이 들을 수가 있다.

 

 

 

의녀의 고장 장수를 가다.

 

전주를 출발해 장수로 향했다. 20번 고속도로를 이용해 장수IC 나들목을 나서, 장수읍 방향으로 19번 도로를 타고가다 보면 수열비란 문화재 안내판이 보인다. 길을 따라 마을 안으로 조금 들어서면 멋진 소나무 두 그루가 서 있는 곳에 비각이 서 있다. 이 비각은 최근에 세운 것이며, 그 비각 안에는 수열평(樹烈坪)’이라 쓴 비석 한 기가 서 있다.

 

이 비를 수열비라고 하는데, 그 뒤편에는 세임진위양사순처오씨열행립(歲壬辰爲梁思舜妻吳氏烈行立)’이라고 내리쓰기로 하였다. 임진년에 양사순의 처 열녀 오씨의 덕행을 세운다는 뜻이다. 앞에 쓴 수열평이라는 글씨는 조선조 선조의 손자인, 낭선군 우가 쓴 것이다. 이 비를 세우고 마을 이름을 수열이라고 했다는 것이다.

 

이놈들 더러운 이 유방을 가져가라

 

조선조 선조 30년인 1597년은 정유재란이 일어난 해이다. 전라도로 침입한 왜병들은 남원성을 무너트리고, 금산, 장수 등 내륙으로 들어와 갖은 만행을 저질렀다. 이곳 수열마을에도 왜병들이 들어와 마을에서 온갖 만행을 저질렀다는 것이다. 산 중에 있던 이 마을에는 아마도 그런 난리가 났다는 것도 모르고 있었는가 보다.

 

방에서 삼베를 짜고 있던 양사순의 처 해주오씨는, 갑자기 들이닥친 왜병들을 보고 놀랐을 것이다. 왜병들은 양사순의 집 방으로 들어와 해주오씨의 유방을 강제로 만지며 희롱을 하였다. 이에 격분한 양사순의 처 해주오씨는 부엌으로 들어가, 왜병들이 만진 유방을 부엌칼로 잘라내었다.

 

더러운 놈들이 만진 이 유방을 가지고 가라

 

고 일갈을 하는 해주오씨의 호령에, 왜병들은 혼이 나가 문 밖으로 달아나버렸다. 그 길로 해주오씨는 스스로 자결을 하고 말았다. 이러한 해주오씨의 행동이 그 마을에 위엄 있는 정신을 심었다고 하여, 마을 이름을 수열(樹烈)’이라 불렀다고 전한다.

 

수열평에 부는 바람

 

마을에서는 지금도 수열비가 서 있는 앞뜰을 수열평이라 부른다. 전각 앞에 서서 비를 바라다본다. 단 석자의 글씨가 쓰여 있는 비석이지만, 그 안에 얼마나 장한 뜻이 숨어있는 것일까? 감히 누가 그 기세등등한 왜병들 앞에서, 스스로 유방을 도려내고 호통을 칠 수 있을 것인가? 지금의 여인들 중에도 이런 행동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

 

 

수열평에 바람이 분다. 아침에는 쌀쌀하던 날씨가 오후가 되면서 기온이 올랐다. 수열비 앞에 서서 고개를 숙인다. 어느 누가 감히 이런 장한 행동을 할 수가 있었을까? 이렇게 죽음으로 자신을 지킨 해주오씨의 행동에, 어떠한 말로 위로를 할 수가 있을까? 비록 장중하지 않고 초라한 비이기는 하지만, 그 비석 안에 담긴 뜻은 어떤 화려한 것들보다도 더 아름답지 않은가? 오늘 여인이긴 하나, 해주오씨의 당당함을 배워 돌아간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