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에 드는 액은 이월 영등으로 막아내고

이월에 드는 액은 삼월 삼짇날 막아내고

삼월에 드는 액은 사월초파일에 막아내고

사월에 드는 액은 오월 단오로 막아내고

오월에 드는 액은 유월 유두날 막아내고

유월에 드는 액은 칠월 칠석에 막아내고

 

정월 초사흘부터 대보름까지 수원의 각 가정에서는 홍수막이라는 의식을 치렀다. 물론 지금에야 이런 광경을 보기가 쉽지가 않다. 홍수막이는 일 년 간 사람에게 드는 나쁜 일들을 막아내는 일종의 제의식이다.

 

수원은 일찍 팔달문 안과 밖으로 장시가 섰던 곳이다. 자연 이곳은 많은 사람들이 모이게 되고, 장거리가 활성화되면서 한양에서 축출을 당한 무격(巫覡)들이 노들나루를 건너 이곳으로 모여들었다. 장시가 활성화 된 수원은 딴 곳보다 금전적인 여유가 있었을 테고, 그만큼 장사를 함에 있어서 궁금증도 많이 일어났을 것이다.

 

 

영동시장은 아예 거북산당을 섬겨

 

영동 거북산당 도당굿은 200여 년간이나 유서 깊게 전해 내려 온 지역의 전통굿으로, 경기도 수원 팔달문 인근의 영동시장 내에 신당이 있다. 시장의 역사는 1790년경 수원성 건립과 함께 하며, 그 때부터 터주가리 형태의 제당이 있었다고 한다.

 

영동 시장 내에 거북산당이 축조된 이유를 보면 화성 건립을 위해 전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었고, 자연히 남문밖에 상포가 하나 둘 늘어나기 시작하면서 자연적인 시장의 형태를 갖추고 되면서 당이 선 것으로 보인다. 거북산당은 상인들을 주축으로 상가의 번영과 안녕을 위한 도당을 필요로 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지금도 시장 사람들의 전하는 말에 의하면 당고사를 지내지 않으면 시장에 불이 잘 나기 때문에, 예전부터 이 시장에서 터를 잡고 장사를 하는 사람들은 세상없어도 당제는 올려야 한다고 믿고 있었다. 영동 거북산당 도당굿은 영동시장 상인들을 주축으로 근 200년이 넘는 시간을 전승이 되어 온 것이다.

 

 

당의 명칭이 거북도당 으로 불리는 것은 원래 이 곳에 거북이 모양의 돌이 있었다고도 하며, 또 인근의 구천동과 가깝고 주위에 물이 많은 곳이며 풍수지리적으로 불을 제압 할 수 있는 힘을 상징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근처에 거북산이라고 부르는 작은 구릉이 있었기 때문에 그 산 이름을 따 거북산당이라고 부른 것으로 보인다.

 

정월에 홍수막이를 해야 안심이 돼

 

칠월에 드는 액은 팔월 한가위에 막아내고

팔월에 드는 액은 구월 중구절로 막아내고

구월에 드는 액은 시월 상당 무시루떡으로 막아내고

시월에 드는 액은 동지달 동지 팥죽으로 막아내고

동지에 드는 액은 섣달 악귀 쫓던 방포로 막아내고

섣달에 드는 액은 정월 방망이 맞은 북어 한 마리

소지에 둘둘말아 원주 원강에 던져 막아내고

 

예전에는 거북산당에서도 홍수막이를 하였다. 원래 홍수막이는 각 가정에서 대청과 부엌, 안방등에 고사상을 마련해 놓고 무격이 징을 치면서 달거리라고 하는 홍수막이 축원을 하였다. 하지만 요즈음은 집안에서 하는 경우는 드물고, 거의가 전문적인 무업(巫業)을 하는 무격의 전안을 찾아가 홍수막이를 한다.

 

 

정초에 이렇게 홍수막이를 하고나면 무엇인가 든든한 것이 있어요. 모든 일이 잘 풀릴 것 같이 든든하죠. 그래서 홍수막이는 빠트리지 않고 합니다. 벌써 저희는 수십 년을 이렇게 전통으로 이어오고 있어요.”

 

연무동에 산다는 이모씨는 정월에 홍수막이를 하지 않으면 불안하다고 한다. 홍수막이를 하고나면 일이 터져도 자신이 생겨 쉽게 넘길 수가 있다는 것이다. 지금은 사라져가고 있는 우리네의 풍습인 홍수막이. 단순히 우상숭배로 치부를 할 것이 아니라, 우리의 예부터 전해지는 풍속으로 받아드려야 할 것이다.

223일과 24일 수원의 이곳저곳에서 대보름 한마당 잔치가 열렸다. 우리민족은 음력 정월 15일을 대보름이라고 하여 큰 명절로 여겼다. 농경사회인 우리나라에서는 정월 대보름을 시작으로, 한 해의 농사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보름이 되면 일 년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많은 놀이들이 행해졌다.

 

대보름에는 귀밝이술을 마신다. 청주를 데우지 않고 마시는데, 이 귀밝이술을 마시면 일 년 동안 좋은 소식을 듣게 되고, 귓병을 앓지 않는다는 속설 때문이다. 또한 이 날은 부럼이라고 하여. 호두와 땅콩, 밤 등 껍질이 단단한 과실을 깨무는 습속이 있다. 일 년 간 이를 단단히 하며, 부스럼 들이 몸에 나지 않고 건강하라는 뜻이다. 이 외에도 복쌈을 먹는다거나 오곡밥을 지어 먹기도 한다.

 

수원 행궁 광장에서 시작된 대보름잔치 한마당의 서막을 알리는 대취타

 

정월 대보름의 풍습

 

정월 대보름에는 한 해의 안녕과 마을의 평안을 위한 각종 놀이가 펼쳐진다. 개인이 하는 놀이로는 더위팔기와 쥐불놀이 등이 있다. 그리고 마을의 공동체 놀이로는 횃불싸움이나 석전, 지신밟기, 다리밟기, 줄다리기, 장치기. 달맞이 등 많은 놀이가 전래한다. 이러한 모든 대보름의 놀이들은 공동체를 창출하고, 겨우내 움츠러든 몸을 원활히 하기 위함이다.

 

한 해의 농사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공동체 놀이를 하면서, 서로를 위하고 한 해의 안과태평을 기원하는 것이다. 일제강점기에 우리문화말살정책을 편 것도, 이렇게 공동체적인 놀이를 하면서 항일의 마음을 키웠기 때문이다. 당시 사라졌던 수많은 우리의 전래놀이를 이 시대에 재조명한다는 것은, 그래서 의미가 더 크다고 하겠다.

 

 고사덕담과 행궁 광장 한 가운데 마련한 달집. 서원지들이 걸려있다

 

대보름 민속놀이 한마당

 

223() 수원 화성 행궁 앞 광장에서는 수원문화원이 주관하는 24회 대보름 민속놀이 한마당이 열렸다. 수원시민들이 참여하는 이 놀이판에는 토요일을 맞은 가족들이 모여들어 윷놀이와 연날리기, 널뛰기, 소원지 쓰기 등 다양한 놀이가 펼쳐졌다. 사람들은 소원지에 자신의 서원을 적어 광장 중앙에 마련한 달집에 갖다 걸어놓는다.

 

한편에서는 널을 뛰고, 또 한편에서는 소리를 쳐가며 윷놀이를 한다. 놀이판이란 역사 왁자해야 흥이 난다. 소달구지에 타고 있는 아이들은 신기한 듯 마냥 즐거워하고, 수레를 끌던 소도 부럼을 파는 곳으로 가서 부럼을 먹는다. 그것이 재미있어 사람들이 몰려들고, 그렇게 즐기고 있는 사이, 행궁 앞에 마련한 무대에서는 고사상을 차려졌다.

 

부럼을 먹고 있는 소와 달구지를 타고 즐거워하는 아이들

 

오후 2시경에 대취타로 시작한 이날의 한마당 잔치는 오후 6시 경까지 계속되었다. 이 자리에 참석한 염태영 수원시장은 올 한 해 모든 가정에 액은 사라지고 안과태평하기를 바란다.“며 놀이판을 찾은 시민들과 함께 윷놀이와 널뛰기를 하며 즐거운 시간을 가졌다.

 

온수골 풍류한마당도 흥청

 

223() 오후 4시부터 권선구에 소재한 명당초등학교 운동장에서는 2회 온수골 풍류한마당이 열렸다. 곡선동주민센터와 곡선동단체협의회에서 주최를 하고, ()한국생활국악협의회에서 주관을 한 온수골 풍류한마당은 운동장을 찾아 온 인근의 주민들로 북적거렸다.

 

날아갈 듯 널을 뛰고 있는 염태영 수원시장과 윷놀이 판을 즐기고 있는 염태영 수원시장과 노영관 수원시의회 의장

 

한 편에 마련한 무대에서는 춤과 노래, 사물놀이, 비나리 등 다양한 공연이 펼쳐졌으며, 아이들과 함께 이곳을 찾은 주민들은 연날리기와 쥐불놀이를 하면서 즐거워했다. 대보름이 풍성한 것은 나눔이 있기 마련이다. 예로부터 우리민족은 이웃과 서로 소통하고 나누며, 함께 힘을 보태면서 일 년의 안녕을 기원했던 것이다.

 

보름달은 중천에 떴건만

 

우리민족의 정월대보름 놀이는 개인놀이이기 보다는 공동체놀이였다. 대보름의 가장 큰 놀이는 다리밟기와 줄다리기, 그리고 달이 뜨면 준비한 달집에 불을 붙이고 일 년의 안녕을 비는 달집태우기이다. 다리밟기는 풍물을 앞세우고 그 뒤를 사람들이 따라가며 먹고, 마시고, 노래하고, 춤추던 연희이다.

 

온수골 풍류한마당에서 선 보인 부채춤 

 

고구려의 동맹이나 예의 무천, 그리고 부여의 영고 등에서 유래하는 3일 밤낮을 즐겁게 노래하고 춤추며 서로가 수족상응(手足相應)하고. 답지저앙(踏地底昻) 했다는 것은 바로 이런 지신밟기나 다리밟기 등의 놀이에서 나타나는 형태이다. 집집마다 액을 물리쳐주고 복을 불러들이며, 한 해의 건강을 기원하는 다리밟기 등은 이 시대에도 필요한 놀이이다.

 

줄다리기는 풍년을 기원하는 놀이이지만, 꼭 풍년만을 기원한 것은 아니다. 힘을 써 줄을 당김으로써 일 년 간의 농사를 짓기 위한 힘을 비축하기도 했기 때문이다. 달집태우기 역시 달집에 불을 붙이고 마음속에 서원을 함으로써, 한 해의 안녕을 모두가 빌었다. 달집에 불을 붙이는 것은 한 해의 모든 재액을 태워버린다는 뜻도 함께 갖는다.

 

온수골 풍류한마당교정 한가운데 마련한 달집 저 위로 둥근달이 떠올랐다. 그러나 무대에서는 이런저런 공연이 계속되어진다. 물론 주민들을 위해서 많은 공연을 보여줄 필요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달집태우기란 달이 떠오르기를 기다려, 제일 먼저 달을 본 사람이 망월이여를 외치고, 달집으로 달려가 불을 붙이는 것이다.

 

하지만 달은 중천에 떴는데 행사는 계속 이어진다. 한 마디로 대보름에 대한 의미가 퇴색되어지고, 그야말로 즐기기 위한 놀이판이 된 것이다. 우리의 놀이들은 모두가 그 안에 사고를 지니고 있다. 사고가 제외된 형식적인 놀이가 무슨 의미가 있을까? 달은 중천에 떴는데, 그 앞에 놓인 고사상이 애처로워 보이기까지 한다.

 

조금은 실망스럽게 돌아서면서, 내년에는 정말 우리놀이가 갖는 의미를 퇴색시키지 않는 대보름행사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수원천에 놓인 많은 다리 위에서 남녀노소가 풍물을 앞세우고 춤을 추며 다리를 건너는 모습이나. 행궁 광장에서 수원시민들이 몰려들어 당기게 되는 줄다리기 한판. 생각만 해도 멋지지 않은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