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화순군 이양면 증리 산195-1 쌍봉사에 소재한 보물 제170호인 철감선사 탑비. 철감선사 도윤의 탑비인 이 통일신라 시대의 석조작품은, 몸돌인 비는 사라지고 받침돌인 귀부와 머릿돌인 이수만 남아있다. 바로 옆에는 국보인 철감선사탑이 자리한다.

철감선사(798∼868)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이다. 헌덕왕 7년인 825년에 당나라에 들어가 유학하고, 문성왕 9년인 847년에 범일국사와 함께 돌아와 신라 경문왕을 불법에 귀의하게 하기도 하였다. 전국을 다니다가 이곳의 절경에 반해 절을 짓고, 스스로의 호를 따 절 이름을 ‘쌍봉사’라고 지었다. 이곳에서 71세의 나이로 입적하니, 왕은 시호를 ‘철감’이라 내리었다.



몸돌은 어디로 가고...

비는 비몸돌이 없어진 채 거북받침돌과 머릿돌만 남아 있다. 귀부를 받치고 있는 네모난 바닥돌 위에 올려진 거북은, 용의 머리를 하고 여의주를 문 채 엎드려 있는 모습이다. 이 탑비에서 특이할 점은 오른쪽 앞발을 살짝 올리고 있다는 것이다. 아마도 바로 한걸음 앞으로 나갈 듯한 표현이 아니었을까?

전국에 산재한 수많은 귀부를 보아왔지만, 이렇게 사실적으로 표현을 하고 있는 작품을 볼 수가 없다. 오른쪽 앞발 하나를 위로 살짝 치켜 올려진 모습이, 나그네를 즐겁게 만든다. 입의 양편 입가에는 수염이 나 있고, 입에 문 여의주는 방금이라도 굴러 떨어질 듯하다. 사실적이고 섬세한 조각이 눈에 띠는 작품이다,



몸은 거북이요, 머리는 용두로 조각을 한 귀부의 형태는, 통일신라 때부터 고려 초기로 넘어오면서 보이는 특징적인 조각술이다. 그런 점으로 보아 철감선사 탑비가 이런 용두의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한 시점은 아니었을까 생각도 해본다.

용은 사라지고 구름만 채운 이수

철감선사 탑비의 머릿돌은 용조각을 생략한 채, 구름무늬만으로 채우고 있다. 아마도 구름무늬만으로 이렇게 조각을 한 이수도 나름대로 특이한 형태이다. 옛 이수들을 보면 용이 거의가 조각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수는 측면에서 보면 앞면을 절단을 한 것처럼 반듯하게 보이고, 뒤로는 삐져나오게 조각을 하였다. 전체적으로 본다면 상당히 뛰어난 수작이다. 철감선사 탑비는 여러 가지 특별한 것이 있다. 거북이의 등에 새겨진 귀갑문도 이중 형태의 6각형 테두리로 새겼다. 마치 기존의 탑비의 형태를 따라하지 않고, 나름대로 독창적인 방법으로 탑비를 꾸몄다는 점이다.

통일신라 경문왕 8년인 868년에 세워진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전체적인 조각수법이 뛰어나며, 특히 격렬한 거북받침돌인 귀부의 조각들은 매우 훌륭한 경지에 도달했다는 평을 받는다.


이렇게 귀부의 거북이가 오른쪽 앞발을 들어 올려 앞으로 나아가고자 한 곳은 어디였을까? 부처의 세계였을까? 아니면 선사의 속가 고향인 황해도 봉산이었을까? 이런저런 생각을 하면서 탑비 주의를 돌아본다. 이수 위에 꽂힌 장식 하나가 사라진 것이 영 마음 아프게 다가온다. 그래서 답사를 하면서 받는 마음의 상처는 하루도 가실 날이 없는가 보다.


6월 18일 토요일, 아침 일찍 남원을 출발하여 전북 순창과 전남 담양의 문화재 답사에 나섰다. 처음으로 찾아간 곳서부터 공사중이라 헛걸음을 쳤다. 그리고 이어지는 어려운 답사. 길도 없는 산길을 몇 번이고 올라야 했던 답사 길. 오늘처럼 힘들게 답사를 한 날은 아마도 없었던 것만 같다.

순창이나 담양은 문화재가 많은 곳이다. 담양의 문화재 답사를 하면서 찾아간 보물 제111호 개선사지 석등. 담양군 남면 학선리에 소재한 이 석등은 신라시대의 석등이다. 이 석등을 담양에서 찾아가려면 광주호를 끼고 돌기 때문에, 광주광역시를 거쳐야만 찾아갈 수가 있다.


진성여왕이 공주였을 때 주관을 하다

일제시대에 간행된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報)』에 보면, 이 석등의 간주석 부분까지 묻힌 채로 있었다. 1960년에 간행된 『국보도록(國寶圖錄)』에는 이미 지대석 부근까지 드러나 있고, 그 후 1965년에 주변을 정리하면서 석등의 묻혔던 부분을 파내고, 이를 노출시켰다고 한다. 1990년부터 1992년까지 문화재관리국의 고증을 받아 지대석과 하대석, 간주석 일부를 새로운 석재로 교체하는 복원공사를 하였다.

이 개선사지 석등은 고복형 석등이다. 간주석이 장고통 형태로 제작이 되었기 때문이다. 팔각형을 기본으로 삼는 개선사지 석등의 높이는 3.5m이다. 넓은 방형의 지대석 위에 팔각하대석을 올렸는데, 이는 1992년에 새로운 석재로 교체하였다. 그 위의 상대석의 복련은 복판팔엽의 양련으로 새겨 넣어 하대석의 복련과 대칭을 이룬다.




상대갑석 위에는 둥그런 굄을 마련하였고, 팔각으로 된 화사석은 각 면에 장방형의 화창을 내어놓았다. 화사석의 간주 양쪽을 이용하여 석등을 만들게 된 내력을 적은 ’조등기’를 음각하였다. 이 조등기에 보면 경문왕과 그 왕비, 공주(뒤의 진성여왕)가 주관하여 이 석등을 건립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조등기의 기록으로 제작 년대를 알 수 있는 석등

개산사지 석등은 그 세운 년대가 신라 때로 확실하다는 점과, 그 석등을 세우게 된 내력을 간주에 기록하였다는 점에서 소중한 문화재로 평가를 받고 있다. 팔각지붕의 마루 끝에 귀꽃을 장식하였으나, 현재는 대부분 깨져버리고 한 면의 귀꽃만 남아있다. 옥개석 정상은 상륜 받침을 놓고 앙화, 보륜, 보주 등의 상륜부를 차례로 놓았다.




전체적으로 균형이 잡힌 이 개산사지 석등의 조등기는, 한 기둥에 각기 두 줄씩 기록되어 있다. 1행부터 6행까지는 경문왕과 왕비, 공주가 석등을 만들기를 주관하였다고 적고 있으며, 7행부터 10행까지의 내용은 이 사찰의 승려가 주관하여 석등의 유지비를 충당하기 위한 토지의 구입과 그 토지의 위치에 관한 기록을 적어 놓았다.

이 ’조등기’에는 연호가 기록되어 있어 석등의 건립연대를 알 수 있는데 1행에서 6행까지는 함통 9년인 868년이, 7행부터 10행까지는 용기 3년인 891년이라는 연호를 사용하고 있다. ’조등기’는 총 10행 136자이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景文大王主 ② 文懿皇后主大郞主願石燈 ③ 炷唐咸通九年戊子中春夕 ④ 繼月光前國子監卿沙干金 ⑤ 中庸途上油糧業租三百碩 ⑥ 僧靈(判 ?) 建立石燈 ⑦ 龍紀三年辛亥十月日僧入雲京租 ⑧ 一百碩烏乎比所里公書俊休二人 ⑨ 常買其分石保坪大業渚沓四結 五畦 ⑩ 東令行土北同 奧沓十結 八 東令行土西北同 上南池宅土西川 畦 上南池宅土

「경문대왕과 문의황후, 그리고 큰 공주님(후에 진성여왕)께서는 불을 밝힐 석등을 세우기를 바라셨다. 함통 9년(경문왕 7년, 868) 무자해 음력 2월 저녁에 달빛을 잇고자 전임 국자감경인 사간 김중용이 (등을 밝힐) 기름의 경비로 3백 석을 날라 오니, 승려 영판(?)이 석등을 건립하였다. 용기 3년(실은 대순(大順) 2년, 진성여왕 5년(891) 신해년 10월 어느 날 승려 입운은 서울에서 보내준 조 1백 석으로 오호비소리의 공서와 준휴에게서 그 몫의 석보평대업에 있는 물가에 있는 논 4결과 물가로부터 멀리 있는 논 10결을 영구히 샀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