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객사리 117번지에 소재한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37호 팽성읍 객사. 팽성 객사는 조선 성종 19년인 1488년에 크게 지었으며, 그 후로 2번의 수리를 거쳤다. 객사란 공무를 보는 관원들이 묵어가는 곳이며, 일반적인 형태는 중앙에 중대청을 놓고, 양편으로 동, 서헌을 둔다.

팽성객사는 일제시대에는 양조장으로 바뀌었다가, 그 후 주택으로도 사용이 되었다고 한다. 1994년 해체, 수리하면서 옛 모습을 되찾게 되었다. 현재는 대문간채와 본채가 남아 있다. 대문간채는 중앙에 솟을문을 두고, 양편으로 방과 광 등을 드렸으며, 동편을 꺾어 ㄱ 자형으로 마련하였다.



관리청으로서 위엄을 보이는 팽성객사

본채는 전체 9칸으로 가운데 3칸은 중대청, 양 옆에 동, 서헌이 각각 3칸씩 있다. 객사 본 건물의 중앙에 마련한 중대청은 안에 왕을 상징하는 ‘전패’를 모시고, 관리들이 한 달에 두 번 절을 하던 곳이다. 절은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 행해진다. 중대청의 지붕은 양 옆에 마련한 동, 서헌보다 높여 건물의 격식을 높였다.

동. 서헌은 각각 중대청과 가까이에 한 칸의 온돌방을 마련하고 나머지는 모두 누마루를 깔았다. 이 동 서헌은 다른 지방에서 온 관리들이 머물던 숙소로 사용하던 곳이다. 팽성객사의 중대청과 대문의 지붕 꼭대기 양끝에는, 용머리조각을 놓아 관리청으로서의 위엄을 나타냈다.




팽성읍 객사는 규모가 그리 크지 않지만,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객사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이 팽성객사는 원래는 작은 규모였으나, 조선조 현종 때 크게 중창을 하였고, 영조 36년인 1760년과, 순조 1년인 1801년에 다시 중수를 했다고 한다.

문은 잠가놓고, 쓰레기는 쌓이고

2월 12일 오후 팽성객사를 찾았다. 이번이 두 번째 방문이다. 처음 팽성객사를 방문한 것은 2007년 10월 21일이었다. 그 때도 문은 굳게 잠겨있고, 관리사에는 사람이 있지 않았다. 그런데 이번에도 역시 객사의 대문은 잠을 통으로 굳게 잠겨있다. 그리고 관리인이 묵는 관리동과 심지어 화장실까지 잠겨 있다.



화장실 앞에는 지저분하게 담배꽁초와 쓰레기들이 나뒹굴고 있으며, 담장 밑에도 담배꽁초와 누군가 버리고 간 쓰레기를 담은 비닐봉지들이 나뒹굴고 있다. 전혀 관리가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관리동까지 지어놓고 정작 관리는 하지 않는 문화재. 관리동과 화장실이 붙어있는 이 건물은 벽도 떨어져 나가 흉물로 변하고 있다.

주말과 일요일이 되면 문화재를 답사하러 다니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이곳이 소중한 문화재인 것은 알고 있지만, 이렇게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고 잠가만 두면 된다는 발상은 어디서 나온 것일까? 전주객사의 경우 보물로 지정이 되어있지만, 누구나 들어가 동, 서헌 마루에 앉아 쉴 수가 있다.





문화재란 더 많은 사람들이 가까이하고 그것의 소중함을 인식할 때 지켜지는 것이다. 무조건 문을 걸어놓고 출입을 시키지 않는다고 보존이 되는 것은 아니다. 돈을 들여 관리사를 짓고 사용도 하지 않을 것 같으면, 도대체 왜 혈세를 낭비하면서 문화재보존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일까? 해당 지자체의 반성이 있기를 바란다.


통일신라 때인 신문왕 11년(691년)에 남원에 지어진 용성관. 용성관이 당시에는 어떻게 사용이 되었는가는 확실치 않으나, 조선조에 들어서는 이곳을 객사와 같은 형태로 사용했던 것으로 본다. 이 용성관을 객사로 보는 이유는 조선 태조를 상징하는 패를 모셨다는 점에서이다.

조선시대의 객사는 양편은 숙소로 사용하고, 중앙에는 초하루와 보름에 망궐례를 행하는 장소로 사용하였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용성관도 객사와 같은 형태로 보는 것이다. 용성관의 딴 이름은 백성을 돌보는 곳이란 명칭의 ‘홀민관(惚民館)’이라고도 했다. 용성관은 남원 광한루원과 삼국지에 나오는 관운장을 모신 ‘관왕묘’와 더불어, 남원을 상징하는 3대 건물로 일컬을 만큼 그 규모가 컸다고 한다.

용성초등학교 입구 계단이 용성관의 흔적이다.

정유재란 때 불타버린 용성관

용성관은 조선조 선조 30년인 1597년 일본이 141,500명이라는 엄청난 대군을 몰아, 조선의 하삼도를 공격한 정유재란 때 불에 타버렸다. 당시 일본군은 남해·사천·고성·하동·광양 등을 점령한 후, 구례를 거쳐 전 병력으로 남원을 총공격하였다. 그만큼 남원은 일본에 있어서는 치욕의 장소이기도 했다. 이복남을 위시한 조선군은 죽기로 각오를 하고 일본군과 격젼을 벌였으나, 수의 열세로 인해 남원성이 함락되었으며, 이 때 용성관도 불에 타버린 것으로 보인다.

그 뒤 광해군과 조선조 숙종 때 다시 축조를 하였으나, 6.25 한국전쟁 때 또 다시 소실이 되었다. 용성관의 지표조사 때는 수많은 유물들이 발견이 되었는데, 1995년 용성관지 지표조사 때 출토된 유물들로 귀목문 암막새, 전돌, 철못, 다수의 와편 등 모두 50여점이 발견이 되었다.




용성관이 당시 얼마나 장중한 객사의 형태로 지어졌는지를 알 수가 있는 것은, 현재 남아 있는 석물의 받침부의 길이가 70m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정유재란 때 일본이 5만의 군사를 동원해 남원을 공격한 것도, 알고 보면 당시 남원의 위상이 대단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용성초등학교 계단에 흔적이 남아

용성관지에는 1906년 6월 객사인 용성관을 용성공립보통학교로 바꾸어 개교를 하였다. 그러나 6.25 한국전쟁 때 폭격으로 전소기 되었으며, 그 뒤 현대식 건물로 고쳐지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용성초등학교 본관 건물을 보면, 층계 두 계단이 다른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리고 양편에는 석물이 보인다. 이것이 바로 용성관이 남긴 석물이다.

계단 양편에 놓인 석물에는 꽃이 조각되어 있다. 이 석조물이 언제 적 것인지는 확실치가 않다. 그리고 학교 건물 앞 기단부도 옛 장대석을 사용하였다. 건물에서 차도 쪽으로 돌아 나오다가 보면 철책으로 둘러친 곳에 많은 석물들이 보인다. 이 석물이 바로 용성관에 사용되었던 것을 모아 놓은 것이라고 한다.



석물의 크기에 압도당해

남원시 동충둥 용성초등학교 교단으로 되어 있는 석물은, 현재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04호로 지정이 되어 있다. 계단 맞은편 교정에 있는 석물들은 그 모양만 보아도, 옛 용성관의 위용을 가늠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중앙에 있는 석물은 크기가 엄청나다. 사각형인 이 석물은 한편이 2m가 넘을 듯하다. 그런 사각형의 돌에 한쪽으로 치우쳐 둥그런 구멍이 있다. 아마 무엇인가 기둥을 새웠던 자리인 듯하다.



그 외에도 잘 다듬은 석주하며 주춧돌이 있다. 이런 석물들의 모양으로 볼 때, 용성관의 화려함이 상상이 간다. 지금은 석물 몇 점만 남기고 있는 용성관. 복원을 하기 위한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지만, 지금은 그저 석물만 남긴 채 역사의 뒤안길로 숨어들고 말았다. 그래서 슬픈 역사가 아닌지 모르겠다. 역사는 그래서 인간과 같이 희로애락을 반복되는가 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