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산시 강경읍 황산리 86번지에 소재한, 충청남도 지정 유형문화재 제76호인 팔괘정. 앞으로는 금강이 흐르고 있고, 강 건너편에는 넓은 벌판이 펼쳐져 있다. 이 팔괘정은 송시열 선생이 율곡선생을 추모하며, 당대의 학자 및 제자들을 강학하였던 장소로 전해진다.

 

스승과 가까이 하고 싶어 지은 팔괘정

 

 

송시열은 스승인 김장생이 강경 황산리 금강가에 임이정을 건립하고 강학을 시작하자, 스승과 가까운 곳에서 있고 싶어서 정자를 지었다. 임이정과 불과 150m 정도의 거리를 두고 있는 팔괘정은 그 모습도 임이정과 닮았다. 팔괘정은 금강을 바라다보는 서향으로 세워졌으며, 정면 세 칸, 측면 두 칸으로 지은 건물이다. 정면은 동일한 간격으로 그중 두 칸은 넓은 대청을 만들고, 한 칸은 온돌방으로 꾸몄다.

 

둥근기둥을 세우고 기둥머리에 초익공식과 동일한 구성의 공포를 짜 올린 팔괘정. 창방 위에는 기둥사이마다 다섯 개의 소로 받침을 배치하고 있다. 조선시대 정자 건축양식의 대표적인 건물로 꼽히는 팔괘정은, 한식 가옥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옛 모습을 그려보다.

 

송시열은 선조 40년인 1607년에 태어나, 숙종 15년인 1689년에 세상을 떠났다. 사계 김장생이 강경 황산에 임이정을 지은 해는 인조 4년인 1626년이다. 송시열이 팔괘정을 지은 때를 인조시대로 보는 이유도, 김장생이 임이정을 지었을 때와 같은 시기로 보기 때문이다. 임이정과 팔괘정은 크기나 모습이 흡사하다.

 

당시 황산은 김장생과 송시열이라는 두 거목이 이곳에서 후학을 양성했다. 그리고 두 정자 사이에는 조금 아래서 내려서 죽림서원이 있었으니, 날마다 금강가에 글 읽는 소리가 그치지를 않았을 것이다.

 

 

금강을 내려다보면서 글을 읽으며 세상을 논하고, 시 한수를 지어 어딘가에 적지 않았을까? 팔괘정의 옛 모습을 그려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아마 당시 이곳에는 많은 시인묵객들이 찾아들어 그 자리에 끼는 것을 영광으로 알지 않았을까? 무심한 철새들이 무리지어 팔괘정 앞을 날아간다.

 

바위벽에 남긴 흔적

 

팔괘정 옆으로는 커다란 암벽이 있다. 예전 이 팔괘정을 세운 송시열은 이 바위를 바라다보며 나라를 위한 충정의 굳은 의지를 키웠을 것이다. 바위에는 송시열이 썼다는 '청초암(靑草岩)'과 ‘몽괘벽(夢掛壁)’이라는 글씨가 음각되어 있다. 이곳에서 젊음의 기상을 떨치고, 꿈을 바위처럼 단단하게 마음에 새기라는 뜻은 아니었을까?

 

 

금강을 한가롭게 유영하는 철새들이 날아오른다. 아마 멀리 북녘까지 날아갈 차비라도 하려는가 보다. 저녁 햇볕이 저만큼 강물에 길게 붉은 띠를 두른다. 이런 아름다운 정경을 보면서, 이곳에서 후학들에게 강학을 했을 선생의 마음이 그려진다. 봄날 이는 황사바람 한 점이 스치고 지나간다. 정자 옆 바위는 미동도 없다. 그것이 팔괘정을 지은 선생의 마음일까?

주변이 다섯 그루의 괴목으로 둘러싸여 있다고 하여 이름을 ‘오괴(五槐)’라는 명칭을 사용한 것인지. 주변으로는 잎을 다 떨군 오래 묵은 괴목들이 서 있다. 그저 지금은 그리 절경도 아니고, 아름다운 정자도 아니다. 하지만 이 정자는 처음에 이곳에 정자를 이룩한 이후 벌써 500년 가까운 세월이 흘렀다.

 

전북 임신군 삼계면 삼은리에 있는 오괴정(五槐亭)은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67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오괴정은 조선조 명종즉위년인 1545년에 처음으로 오양손이 지었다. 그 후 후손들이 1922년에 고쳐지었다.

 

 

사화를 피해 낙향한 오양손

 

전국 이곳저곳을 답사하다가 보면 만나게 되는 수많은 정자들. 그 정자 하나같이 사연이 없는 정자는 없다. 모두 다 그럴만한 사연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정자 하나가 다 소중한 것이다. 물론 그 정자를 짓는 사람들이나, 어느 누구를 생각해 후에 정자를 짓기도 한다.

 

오괴정 또한 그럴만 한 사연을 간직하고 있다. 해주 오씨로 처음 삼계리에 들어온 오양손은 김굉필의 문인으로 참봉을 지냈다. 오양손은 중종 14년인 1519년 기묘사화 때 조광조 등 많은 문인들이 화를 입는 모습을 보고, 경기도 수원과 남원 목기촌으로 은거하였다가, 중종 16년인 1521년에 삼은리로 들어왔다.

 

후학을 가르치고 술과 시로 벗을 삼아

 

삼은리로 낙향한 오양손은 이곳에 오괴정을 짓고, 시와 술을 벗 삼으며, 후학들을 가르쳤다. 오괴란 다섯 그루의 괴목을 심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오괴정은 보기에도 고풍스럽다, 정자 주변에는 커다란 괴목들이 있어, 이 정자의 예스러움을 더욱 느끼게 해준다. 또한 정자 벽에 걸려있는 게판들은 칠이 벗겨져 있어, 오랜 시간이 지난 정자임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전라북도 지역의 정자들이 다 그러하 듯, 오괴정 역시 정자 가운데는 방을 두어 운치를 더했다. 이 지역의 정자들은 대개가 이렇게 한 칸의 작은 방을 들였다. 아마도 정자와 집을 따로 생각하지 않은 듯하다.

 

정자에 오르면 앞으로 흐르는 작은 내와 펼쳐진 밭들이 한눈에 들어온다. 절경은 아니라고 해도, 주변 괴목이 우거지면 한 폭의 그림과 같을 것이다. 오양손은 이곳에서 술과 시를 벗 삼고, 후학들을 가르쳤다고 한다. 아마 권력의 회오리 틈에서 모든 것을 다 놓아버리고, 마음 편하게 일생을 자연과 더불어 살았나보다.

 

 

세월은 흘러도 주인의 이야기는 남는 법

 

세월의 무상함은 마음을 비워버린 정자 주인을 읽고, 봄날 스쳐가는 바람만 괴목가지를 흔들고 있다. 우리 선조들이 유난히 정자를 좋아한 것도, 알고 보면 먼 훗날 자신의 이야기를 남기고 싶은 것은 아니었을까? 수많은 정자들이 간직하고 있는 사연을 보면, 그 정자를 지은 이들의 마음을 읽을 수가 있으니 말이다.

 

그저 절경도 아니고, 그렇다고 특별하게 지어진 정자도 아니다. 오양손이라는 인물도 누구나 알 수 있는 인물은 아니었다. 하지만 오양손은 중종이 경연을 별설하여 그와 더불어 강론을 할 정도로 문장덕행이 뛰어난 인물이었다.

 

 

오양손의 자는 계선, 호는 둔암이다. 한양에서 출생하여 한훤당 김굉필의 문인으로 사재 김정국과 동문수학하였다. 일생동안 경의를 논하고 성리학에 참잡했다. 사림파간에도 그의 문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으며, 조정에도 그의 실력이 알려져 순릉참봉에 제수되었다.

 

정자 하나가 아름답다는 것만으로도 찾아가는 것은 아니다. 그 정자에 얽힌 수많은 사연들이 있기에 찾아가는 것이다. 정자의 아름다움만 이야기를 한다고 하면, 그 무슨 의미가 있으리오. 오늘도 길가에 오롯이 서 있는 작은 정자 하나에 마음을 빼앗기는 것은, 그 정자에 얽힌 사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