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은 과연 보존이 잘 되고 있을까? 천연기념물의 종류는 다양하다. 천연기념물은 「자연 가운데 학술적, 자연사적, 지리학적으로 중요하거나 그것이 가진 희귀성, 고유성, 심미성 때문에 특별한 보호가 필요하여 법률로 규정한 개체. 창조물이나 특이 현상 또는 그것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일정 구역(다음 백과사전)」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그렇다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식물종류는 과연 잘 자라고 있는 것일까? 오랫동안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문화재 답사를 하다가 만난 천연기념물들. 물론 대개의 천연기념물은 관리도 잘되고 생육상태도 좋았다.

 


 

하지만 그 중에는 관리소홀로 인해 해를 당하는 경우도 있었다. 천연기념물 중에서 울안에 있거나 마을의 신목(神木) 등으로 위하는 나무, 그리고 거목 등은 비교적 관리가 잘 되고 있는 편이었다. 그러나 인가가 없는 곳에 외따로 서 있거나, 작은 나무 종류들은 손쉽게 해를 당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그런 것을 보면 우리나라의 천연기념물의 관리, 보존에 문제점이 있지나 않은 것인지 의아스럽다. 
 

독극물에 의해 고사위기에 처했던 곰솔

     

전주시 완산구 삼천동에 소재하는 천연기념물 제355호 곰솔. 이 곰솔은 원인을 알 수 없는 독극물 투여 등으로 고사위기에 처했었다. 2001년 여름 누군가가 나무 밑 부분에 독극물을 투입해, 전체 가지 16개 중 12개가 말라 죽었다. 관계당국에서는 더 이상의 피해를 막기 위해 2005년 6월, 말라죽은 가지들을 모두 잘라내고 회생 가능성이 있는 4개만 남겨두는 대대적인 수술을 감행했다.

 

2008년 5월 21일 곰솔을 찾았다. 보기에도 안타까운 모습이다. 전주 삼천동의 곰솔은 수령이 약 250년 정도로 추정한다. 높이 14m, 가슴높이의 둘레 3.92m의 크기이다. 이 곰솔은 인동 장씨의 묘역을 표시하기 위해 심어졌다고 전해진다. 답사 당시 주변에 사는 주민들의 이야기로는 이 곰솔이 자라는 땅이 개인 토지라서,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되자 재산 행사를 할 수 없어 이렇게 한 것 같다고 한다. 지금은 주변 땅을 매입해 관리를 하고 있다.

 

외과 수술로 잘라진 부분이 흉물스럽다. 천연기념물의 관리소홀이 빚은 산물이다.

 

잘라진 가지들이 애처롭게 보이는 삼천동 곰솔. 처음부터 땅을 매입한 후 지정을 했다면 아마 이런 아픔은 당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유 없이 고사했다는 강릉 삼산리의 소나무, 석연치 않아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삼산리에 있는 천연기념물 제350호 삼산리 소나무. 공식적으로 고사판정을 내린 후, 2008년 11월 29일에 유일하게 나무를 위한 천도제를 거행해 유명세를 탄 나무다. 수령 450여년으로 추정되는 삼산리 소나무는 키 21m에 가슴높이 둘레가 3.59m로 1988년 천연기념물 제350호로 지정이 되었다. 이 소나무는 마을의 수호신인 서낭목으로 섬기며 나무 주변에 돌담을 쌓아 정성껏 모셔왔다. 그러나 2006년부터 나뭇잎이 누렇게 마르는 등 고사 위기를 맞아 백방으로 보호를 하기 위해 노력을 하였으나, 끝내 고사를 하고 말았다.

 

  
수령 450년이던 이 소나무는 고사가 되었다

삼산리 소나무에 걸린 저 줄은 무엇일까? 그냥 오르기에는 너무 높은 곳에 걸려있었다. 몇 가닥으로 늘어진 줄은 무슨 용도였을까?

 

 

2008년 9월 4일 삼산리 소나무는 이미 고사가 되어있었다. 강릉시 관계자와 통화를 시도했다. 수명이 다한 것 같다는 이야기다. 그러나 소나무의 수령은 일반적으로 600년 정도이다. 삼산리 소나무의 수령은 450년 정도다. 그렇다면 수명이 다해 고사를 한 것은 아니란 생각이다. 나무를 조사하다가 이상한 것을 하나 발견했다. 나뭇가지에 걸린 줄이다. 꽤 높은 가지에 줄이 걸려있는데, 그 줄의 용도는 무엇이었을까? 아직도 그 줄이 마음에 걸린다. 수명이 다해 고사한 것이 아닌, 또 다른 해는 없었던 것일까?

 

작은 나무들은 불법 채취해가기도

 

2008년 7월 4일, 전라북도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에 있는 천연기념물 제387호 가침박달나무 군락지와, 제388호 산개나리 군락지를 찾아 나섰다. 아무리 설명을 따라 여기저기 찾아보았지만, 식견이 모자라 찾을 길이 없으니 답답하기만 하다. 할 수 없이 임실군에 전화를 해서 담당자가 나와 알려주었다. 그 자리에 하다못해 사진이라도 붙여놓았으면 찾기가 수월했을 것이란 이야기를 했더니, 그러면 불법 채취가 심해 일부러 사진을 안내판에 넣지 않았다는 것이다.

 

전라북도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에 있는 천연기념물 제387호 가침박달나무

1914년 처음으로 발견이 되었으며 변종이 없다고 한다.

 

천연기념물이 군락을 이루고 있는 이곳은 아래쪽으로는 사선대가 있어 많은 사람들이 들르는 곳이란다. 그런데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된 나무들이 작다 보니, 불법으로 채취를 해가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이곳에 관리자를 배치하기도 어렵고, 보호를 할 수 있는 방법이 딱히 없다는 이야기다.

 

천연기념물 제388호 산개나리. 불법 채취가 있다고 한다.

 

세 곳을 돌아보면서 이런저런 이유로 우리의 천연기념물은 과연 온전히 보존이 되고 있을까 의아스럽다. 오늘 문화재청 홈페이지를 검색하다가 보니, 국민광장 국민의 소리 게시판에 제주도에 사시는 분이 자신의 땅 등 주변을 천연기념물로 고지한 것에 대해 땅 주인에게 한마디 상의도 없이 고지를 했다고 항의성 글을 올렸다. 나중에 보니 관리자에 의해 삭제가 됐는지 보이지가 않는다.

 

좀 심한 말을 쓰기는 했지만 천연기념물 지정 고지에 문제는 없는 것인지. 그런 문제 하나하나가 보존에 문제가 된다면, 민원인의 글을 지울 것이 아니라 성실한 답변을 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소중한 우리의 자산인 천연기념물이 온전히 보존될 수 있도록, 관계당국에서는 더 많은 노력을 해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참 사람이 모르면 용감하다고 했던가? 박달나무라는 이야기만 듣고, 천연기념물을 찾아나섰다. 안내판이 서 있는 주변에 보는 아름드리나무들이 꽤 많은데, 어떤 것이 천연기념물인지도대체 알 수가 없다. 할 수 없이 해당 지자체에 안내를 부탁한다고 연락을 취했다. 그러고 나서 알게 된 천연기념물 가침박달나무.

 

전북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 산37에는 천연기념물 제387호 임실 덕천리 가침박달군락과, 제388호 임실 덕천리 산개나리군락이 있다. 군락이라고 했으니 많은 나무들이 서 있을 텐데, 한 번도 본적이 없으니 어찌 찾아내랴. 결국은 해당지자체 담당자에게서 따끔하게 일침을 당하고 나서야 볼 수 있었다.

 

 

실을 ‘감치다’라는 표현에서 유래했다는 가침박달나무

 

산길을 따라 울타리쪽을 장식하고 있는 임실 가침박달나무는, 산기슭 및 산골짜기에서 자라는 나무이다. 4~5월 경에 꽃이 피며, 가지는 적갈색으로 털이 없다. 원래 ‘가침박달’의 ‘가침’이란느 말의 어원은 ‘실로 감아 꿰맨다’는 ‘감치다’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한다.

 

실제로 가침박달나무의 열매를 보면 씨방이 여러 칸으로 나뉘어 있고, 각 칸은 실이나 끈으로 꿰맨 것처럼 되어 있다. 또한 나무의 질이 단단한 박달나무에서 ‘박달’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가침박달나무>라고 불렀다고 한다.

 

 

천연기념물인 가침박달나무와 꽃(꽃 사진은 문화재청 자료) 

 

천연기념물인 임실의 가침박달나무 군락은, 직선거리 500m 내에 약 280그루 정도가 분포하고 있고, 3㎞ 내에 다시 300그루 정도의 무리를 이루고 있어 그 분포지의 넓이가 상당히 넓은 편이다. 나무의 높이는 대부분 2∼3m 정도이며, 가침박달나무는 한국에서 1종 1변이종이 자라고 있다. 주로 중부 이북에 분포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남부지방인 임실군 관촌은 가침박달나무 분포의 남쪽한계선으로 밝혀졌다.

 

연한 황색 꽃을 피우는 산개나리

 

가침박달나무의 생김새를 몰랐다고 하지만, 산개나리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저 일반적으로 많이 자라고 있는 개나리처럼 생겼거니 하고 찾아 나선 것이 화근이었다. 높이 1~2m 정도인 산개나리는 키가 작고 줄기가 분명하지 않다. 산개나리 역시 담당 공무원의 설명을 듣고서야 알아볼 수가 있었다.

 

 

산개나리의 어린 가지는 자주빛이 나며 털이 없고 2년쯤 자라면 회갈색을 띤다. 잎은 2∼6㎝로 넓고 큰데, 앞면은 녹색으로 털이 없으나,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잔털이 있다. 꽃은 연한 황색으로 3∼4월에 잎보다 먼저 핀다.

 

가칭박달나무가 서식하고 있는 곳 한편으로 이 산개나리 군락이 있는데, 이곳에는 약 230그루가 산개나리가 분포하고 있다. 산개나리는 북한산, 관악산 및 수원 화산에서 주로 자랐는데, 현재는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극소수만 남아있다. 임실 관촌 지역이 남부에 속하는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중북부지방에 분포하는 산개나리가 자생하고 있는 것은 이곳의 기후가 중부지방과 비슷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산개나리와 꽃(꽃은 문화재청 자료)

 

요즈음은 이 가침박달나무와 산개나리를 몰래 캐어가는 사람들도 있다고 한다. 그저 소중한 것을 제자리에 놓고 즐길 줄 모르는 일부 몰지각한 인사들로 인해, 우리의 소중한 천연기념물이 훼손당하고 있다는 것이 마음 아프다. 언제나 이런 소중한 문화유산이 제대로 대우를 받을 수 있으려는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