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팔달구 팔달문로 4번길 19에 소재한 시민상가시장. 경기도에서 가장 먼저 백화점으로 등록이 된 시장이다. 지금도 건물의 외벽에는 시민상가가 아닌 시민백화점이라는 명패가 걸려있다. 공식명칭은 시민상가시장이지만. 이곳을 찾는 사람들은 시민백화점이라는 이름을 대야 알아듣는다.

 

2005614일 수원시 인정시장 1호로 등록이 된 시민상가시장은, 점포수 54개소에 종업원수 70명 정도로, 매장면적은 1,034부지면적 1,084이다. 이 시장은 사실 수원시에서 백화점으로 지어 임대사업을 한 시장이다. 벌써 상가를 지은 지가 57년이나 되었다. 1957년도에 수원시에서 시민백화점으로 지어 임대를 하였던 것을, 1969년도에 점포를 모두 상인들에게 매매를 하였다.

 

3대 째 대물림하는 명동양행

 

시민상가시장은 점포수는 54개에 불과하지만, 입점업주들 100%가 모두 상인회 회원들이다. 시에서 매매를 할 때 주주들이 구성되어 있어, 규모는 작지만 가장 내실이 있는 상인회다. 이 시민백화점에서 3대 째 남성복만을 취급하면서 40년을 이어 온 점포가 있다. 40년 전 할아버지는 시민백화점의 관리를 맡아하셨다.

 

 

그 후 큰아버지와 아버지가 점포를 한 칸 얻어 옷장사를 시작했고, 3년 뒤 큰아버지는 딴 업종으로 옮겼다. 현재는 아버지 안태식씨와 아들인 안석효(34)씨가 함께 명동양행을 운영하고 있다.

 

할아버님께서는 처음에 이곳에서 관리를 맡아 하셨대요. 그러다가 큰아버님과 아버님이 점포를 한 칸 얻어 남성복 장사를 시작하셨죠. 40년 동안 한 칸씩 늘려나간 것이 지금은 6칸으로 늘어났어요. 팔달문 앞 시장 중에서 남성복 전문매장으로는 저희가 가장 큰 매장을 갖고 있는 셈이죠.”

 

안석효씨는 고대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결혼을 한 후 이곳에 나와 아버지를 도와 점포운영을 하고 있단다. 어릴 적부터 아르바이트로 가게 일을 돕기도 하고, 대학교를 다닐 때도 딴 곳에서 일을 하기보다는 부친이 하는 옷가게에서 일을 도왔다고 한다. 그러다가 보니 자연 단골손님들과도 친분을 쌓았다고 한다.

 

저희 집의 단골들은 대개 대물린 단골들이 많아요. 저희가 중 장년층 옷을 취급하기 때문에 50~60대 분들이 주 고객이죠. 그리고 그런 분들은 대개 아버님이나 어머님이 점포를 함께 보실 때 이곳을 드리셨던 분들이기 때문에, 소개로 많은 분들을 알게 되었어요. 지금은 형제나 다름없이 그렇게 함께 살아가고 있죠.”

 

 

중국여행이 많은 도움이 되기도

 

이곳 팔달문 앞의 시장들은 대개 중국의 조선족이나 한족들이 주로 이용을 하고 있다. 주말이 되면 매상의 30% 정도를 이들이 올리고 있는 셈이다. 그만큼 이곳에 밀집된 전통시장들은 이들에 따라서 매상이 좌우될 정도라고 한다.

 

저는 중국에서 1년 넘게 살았어요. 여행을 워낙 좋아해 중국의 많은 곳을 여행을 했는데 지금 그런 것이 상당히 도움이 되죠. 대개 이곳에 옷을 사러 오는 분들이 한족들이 많은데 그분들은 우리말을 잘 못하니까 제가 중국어로 대화를 하고, 그들 고향을 이야기하다보면 저절로 단골이 되죠. 그 분들이 또 딴 분 소개를 시켜주기도 하기 때문에, 저희 집은 한 40% 정도는 한족이나 조선족이라고 보아야죠.”

 

그래서 남들이 다 어렵다고 할 때도 크게 어려움을 당하지 않았다고 한다. 물건의 품질을 최우선으로 생각한다는 안석효씨는 중국인들은 중국에서 생산된 옷을 절대로 사지 않기 때문에, 자연 좋은 상품을 구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다가 보니 품질도 좋기 때문에 단골 확보를 할 수 있다고 한다.

 

저희는 아버님과 어머님(류승희)이 점포를 함께 보시기 때문에 시간을 낼 수가 있어요. 예전에는 점원을 두기도 했지만 지금은 가족들이 함께 하니까 인건비도 안 들어가고요. 앞으로도 고객관리를 잘하면서, 더 많은 사람들에게 친절을 베풀면 큰 어려움은 없을 것 같습니다.”

 

 

꾸준한 고객관리가 어려움을 이겨내는 길

 

부모는 단골들을 관리하고 아들은 운영과 회계를 관리한다는 40년 전통의 영동양행. 중장년층의 고객들이 주로 찾는다는 이집이 유명한 것은, 바로 고객들에게 대한 신뢰를 쌓았기 때문이다. 백화점이 문을 닫는 날에도 사전에 미리 예약이 된 손님들이나, 물건을 교환하러 오는 사람들 때문에 다만 몇 시간이라도 문을 열어놓는다고.

 

이곳도 방송이나 언론사에서 취재를 오면 저희 집을 꼭 찾아와요. 3대가 시민상가에서 생활을 한 이유도 있겠지만, 아무래도 남성복 전문점으로 많은 고객들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야기를 하는 도중 손님들이 오자 어서오세요.’라는 인사와 함께 안내를 하는 안석효씨. 그런 행동을 보면서 3대를 이 시장에서 대물림을 하면서, 많은 고객을 확보한 이유를 알 듯도 하다. ‘친절이 최고라는 안석효씨의 신념 때문이다.

지동의 순 우리말 이름은 ‘못골’이다. 지금은 사라졌지만 예전에 큰 연못이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지동새마을 금고에서 못골어린이 놀이터 방향으로 조금 올라가면 좌측으로 이발소 하나가 보인다. ‘조원이발관’이라는 이 이발관은 이순재씨(남, 65세)가 운영을 하고 있는 이발관이다.

 

탤런트 이순재와 이름이 같다고 해서, 사람들은 이름 덕을 톡톡히 보고 있다고 농을 해대고는 한다. 한국동란 때 부모님과 함께 월남을 하여, 못골에 정착을 했다. 그리고 이발 기술을 배워 이발관을 시작한지가 벌써 40년이 지났다. 숱한 세월을 못골 사람들과 함께 애환을 달래면서 살아온 이순재 사장이다.

 

 

“그 땐 제일교회가 판자집이었지”

 

이순재 사장이 운영하는 이발관은 마을 어르신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꼭 이발을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저 소일을 하기 위해서 들려가고는 한다. 찾아오신 어르신들이 머리가 단정치 않으면 그냥 머리 손질을 하기도 한다.

 

“처음 이발관을 열었을 때는 마을에 어르신들이 한 150여 명 정도였는데, 40년 세월동안 다 세상을 떠나시고 이젠 한 열 분이나 남았나 봐요. 그 땐 이발소에서 위편으로 제일교회 있는 곳까지 집이 없었어요. 모두 밭이고 지금 앞으로 난 길 건너편은 논이었으니까요. 그 때는 제일교회도 판자였었어요. 그러다가 이렇게 지금처럼 큰 대형교회가 되었지만.”

 

사람이 좋아 그저 사람들이 찾아오는 것만으로도 행복하다고 한다. 이 이발관은 겉으로 보기에는 그저 평범하지만 안을 들어가면 40년 전으로 돌아간다. 모든 것이 다 그렇게 40년 세월의 손때가 묻어있다.

 

 

40년 세월을 느낄 수 있는 조원이발관

 

“예전에는 손님들도 참 많았어요. 많을 때는 혼자서 하루에 20명을 이발을 한 적도 있었고요. 그 때는 정말 젊어서 그런지 정신없이 일을 하고는 했는데. 이런 적도 있었어요. 제가 낚시를 워낙 좋아하다보니 낮에는 이발을 하고 밤에는 낚시를 다니고는 했죠. 그러다가 보니 낮에 이발을 하러 손님이 오셨는데, 그만 졸고 있었나 봐요. 어르신이 피곤하면 잠시 들어가 눈을 붙이고 나오라고 하시데요.”

 

그래서 방으로 들어가 잠시 눈을 부친 것이 두 시간이 지났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이발을 하러 오신 어르신은 그 자리에 앉아 계시더라는 것. 그만큼 못골의 옛 어르신들은 정이 넘쳤다고 이야기를 한다.

 

“지금 생각해 보면 지동이 너무 많이 변한 것 같아요. 지동에는 어르신들 중에 남자가 별로 없어요. 모두 다 일찍 세상을 떠나시고 마나님들만 남아 계시죠.”

 

 

40년 세월을 많은 사람들과 접하다가 보니, 마을의 집집마다 그 속을 다 알고 있었다고 한다. 조원이발관은 마을 어르신들이 모여 속내를 풀어내는 곳이었다는 것이다. 이발을 하러 오거나, 그저 갈 곳이 마땅치 않아 이곳을 찾았거나 아무래도 좋았다는 것.

 

“어르신들이 오시면 이런저런 이야기들을 하시기 때문에, 마을 사정을 잘 알고는 했죠. 어느 날부터인가 어르신들이 한 분씩 보이지 않는 거예요. 세상을 떠나신 것이죠.”

 

한 자리에서 40년 세월을 남의 머리를 만지며 살았다. 그리고 어르신들과 함께 수많은 이야기를 했다. 아마도 그런 이유로 아직 못골을 떠나지 못하는 것은 아닐는지. 이발소 안에는 나무로 열을 내는 난로가 문 앞에 자리를 잡고 있다. 40년 세월의 흔적이 곳곳에 묻어나 있는 셈이다.

 

“저희 집에는 아직도 220V 전기를 쓰는 것이 하나도 없어요. 선풍기고 무엇이고 다. 40년 동안 함께 이 이발관을 지켜 온 것들이죠. 그래서 쉽게 바꿀 수도 없고요”

 

그랬나보다. 곁에서 대담을 듣고 있던 마을분이 한 마디 거든다. 그 말에서 40년 세월을 못골 사람들의 머리를 만지며 그 애환을 함께 한 것이 아닐까?

 

“참 오래되었죠. 저 의자도 아마 처음 문을 열 때 그대로인 것 같아요. 타일을 붙인 저 세면대도 그 때 그대로이고”


벌써 40년이 지났다. 1971년 3월 8일 논산에 입대를 하여, 1974년 1월 24일에 제대를 하였으니 지금 생각하면 꽤 오랜 세월을 군에 머물러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 그동안 몇 번이고 ‘스님짜장’ 봉사를 한다고 군부대 식당을 들어가 보았지만, 옛 기억을 되살릴 마음의 여유가 없었던 것만 같다.

어제(7월 3일) 이른 새벽 5시부터 준비를 하여 찾아간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부대 군 법당인 ‘호국충성사’. 빗길을 뚫고 달려간 곳에서 만난 군부대의 식당과 주방은, 예전에 보던 모습이 아니었다. 지금까지는 군법당에 붙은 주방만 보다가, 처음으로 군 부대가 사용하는 식당의 모습을 본 것이다.


깨끗한 식탁엔 꽃도 있어

우선 주방의 청결상태도 깨끗하다. 많은 인원이 먹을 수 있는 음식을 준비하느라 식당안의 열기는 참을 수 없을 정도이다. 그래도 전우들을 위해 땀을 흘리며 음식준비에 여념이 없는 취사병들의 모습은, 예전이나 다를 바 없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그런데 식당 안에 있는 식탁 위에 가지런히 꽃병이 놓여있다. 그리고 그 옆에는 ‘잔반을 줄이면 지구가 건강해집니다’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군부대에서도 환경을 생각하고, 장병들에게 더 좋은 식단을 제공하기 위해 힘을 쓰고 있다는 것이 아름답다는 생각이 든다.


식기세척 방법을 보고 나서 ‘ 참 많이 변했다’고

식당 옆 한 쪽에 붙어있는 곳을 들어가니 층이 지게 만들어 놓은 세척대가 보인다. 무엇인가 하여 들어가 보았더니, 그릇을 씻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낮은 순서에서 높은 세척기로 가면서 쓰여 있는 글은, 우선 잔반을 버리고 난 후 세척을 하라는 것이다.

제1단계 ‘흐르는 물 행굼’ - 제2단계 ‘거품 세척’ - 제3단계 ‘거품 행굼’ - 제4단계 ‘식기 세척’이라고 쓰여 있다. 그리고 그 위에는 사진까지 곁들여 설명을 해 놓았다. 우리 때는 어땠을까? 훈련소에서는 자신의 식판을 관물대에 보관을 했다. 밥을 먹고 나면 물이 나오지 않을 때가 있어, 휴지로 대충 닦아놓고는 한 시절도 있었다.







마침 음식을 먹고 식판을 세척하는 병사를 보니, 쓰인 순서대로 잘도 한다. 세상 참 오래살고 보니 별 구경을 다한다고 생각을 하고 있는데, 취사장에서 갓 튀겨낸 음식을 갖다 준다. 무슨 나물과 게맛살을 함께 튀겨 낸 것이다. 먹어보니 바삭한 게 맛이 있다. 이럴 때도 술 한 잔이 생각나는 것은 이제는 나이가 들어서인지.


모처럼 찾아가 본 군부대 식당. 이럴 정도의 환경이라면 가볼만 하단 생각이 든다.

“어이 거기 군대 한 번 가 볼껴? 괜히 이리저리 핑계 대지 말고”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