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화성시 용주로 136(송산동)에 자리한 용주사는 사도세자의 묘소를 수호하고 명복을 빌어주기 위해 세운 절이다. 사도세자의 묘를 화산으로 옮긴 다음해인 정조 14년인 1790년에 세웠다. 원래 이곳은 통일신라 때 세워 고려시대 때 소실된 갈양사의 옛터라고 전한다. 이 절은 현륭원의 건립과 때를 같이하여 세운 왕실의 원찰이다.

 

용주사의 각 부재의 사용이나 문양, 공간배치 등은 궁궐의 형식과 유사하다. 용주사는 창건 당시 140여 칸의 규모로 지어졌는데, 창건당시의 규모나 형태가 거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사찰이기도 하다. 현재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는 18세기 말 건축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화려한 장식의 대웅보전

 

용주사의 중심건물인 대웅보존은 경기도 문화재자료 35호이다. 대웅보전은 삼존불상을 모시고 있는 건물로 내부와 외부를 모두 대단히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규모는 정면 3· 측면 3칸이며, 지붕은 여덟 팔()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또한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으로 꾸몄다.

 

대웅보전은 1790년 용주사의 창건과 함께 지어진 유서 깊은 건물로, 사일스님이 팔도도화주를 맡아 대웅보전을 비롯한 145칸의 전각을 함께 지었다. 또한 아버지 사도세자를 생각하는 정조의 명으로 실학자로 문장에 명성을 떨쳤던 이덕무(1741~1793)가 용주사의 여러 건물에 주련을 썼다.

 

 

대부분 오랜 세월을 겪으면서 글귀가 바뀌었고, 대웅보전에도 창건시의 주련은 남아 있지 않지만, 당시의 주련 글귀는 팔만 사천 법문으로 다 같이 피안에 이르고, 이백오십 대계로 다함께 어두운 길에서 벗어나세라고 적혀 있었다고 한다. 그후 대웅보전은 1900년 성용해( 총섭이 중수하고, 1931년에는 주지 강대련이 1965년에는 주지 전관응이, 그리고 1987년 주지 서정대가 수리하였다.

 

융릉과 동일한 양식의 대우석

 

대웅보전의 기단은 먼저 장대석을 쌓아 성역공간을 마련하고, 중앙에 대우석을 설치한 6단의 계단을 두었다. 대우석은 일반 사찰에서는 연꽃무늬나 당초무늬 등으로 장식하는데, 용주사는 이와 달리 삼태극과 비운, 모란의 무늬가 새겨져 있다. 이는 융릉 정자각의 대우석과 동일한 양식인데, 이 대우석의 문양으로 보아 용주사를 융릉을 이전하는데 참여했던 장인들이 절을 짓는데도 관여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용주사 대웅보전의 처마는 2중의 겹처마로 위로 약간 치솟았으며, 그 네 귀퉁이에 활주를 세웠다. 대웅보전의 창호는 빗살꽃무늬로 처마에 고리가 달려있어, 위로 들어 걸 수 있게 되어있다. 이러한 예는 사찰의 전각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문을 활짝 올려 젖혀 불전내부의 성역공간과 외부의 세속공간이 차별 없이 하나로 합일되는 역할을 한다.

 

아름다운 닫집을 조성해

 

대웅보전의 내부에 들어서면 구조물 중에서 가장 화려하고 아름다운 닫집이 있다. 이 닫집은 대웅보전이라는 불전 속에 들어있는 또 하나의 불전이다. 과거에는 불전(대웅전)에는 참배객이 들어설 수 없었다고 한다.

 

 

용주사 대웅보전의 닫집은 섬세한 솜씨로 조각하였으며, 천장에는 극락조가 날고 좌우에는 구름 속에 동자모습의 비천이 정면을 향하고 있다. 각 기둥에는 다섯 마리의 용이 불단을 보호하고 있으며 불단과 후불탱화가 각각 불국토의 세계를 표현하는 것으로 볼 수가 있다. 대웅보전의 기록으로는 홍천호가 찬한 대웅전상량문, 닫집내부에서 발견된 대웅보전 원문이 남아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