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부터 12일까지 수원시 팔달구 매향동 49에 소재한 수원화성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는 전통단청강좌 수료생 작품전인 오색빛깔의 미전이 열리고 있다. 멋스러운 전통 한옥의 전각에 화려한 옷을 입히는 단청은 우리나라 전통 미의 절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작금에 들어 전통 한옥이 점차 사라지면서 멋스러운 전통 단청 역시 그 자리를 점차 잃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화성박물관에서는 그러한 아름다운 단청의 멋을 이어가고자 우리나라 단청의 문양과 그 위에 칠해지는 오방색의 조화를 배우는 실기강좌를 개설한 바 있다. 지난 3월부터 5개월 간 전통 단청 실기강좌를 통해 수강생들은 몸소 우리 단청의 아름다움과 화려함을 몸소 배우고 체험하였다.

 

 

수강생들이 그동안 닦은 기량으로 정성을 들인 그 결과물인 작품을 모아 작은 전시회를 마련하였다고 한다. 이제는 일반 집에서는 찾아보기조차 힘든 아름다운 오방색의 향연인 단청은 사찰이나 궁궐과 같은 곳에서나 만날 수 있다.

 

광물성 안료인 진채로 채색하는 단청

 

단청은 광물성 안료인 진채로 건조물이나 조상품, 또는 공예품에 색을 입히는 것을 말한다. 단청은 단호, 단벽, 단록, 진채, 당채, 오채, 화채, 단층 등의 별칭이 있으며, 이에 종사하는 사람도 화원, 화공, 가칠장, 도채장이라 했다. 승려의 경우에는 다른 명칭을 사용하는데 금어, 또는 화승(畵僧)이라 불렀다.

 

단청의 무늬에는 긋기단청, 모루단청, 금단청, 모루긋기단청, 금모루단청, 갖은금단청 등이 있다. 무늬의 종류에는 화문, 쇄문, 비선문, 비조문, 주수문, 운문, 훈문 등으로 구분된다. 이 종류는 또 다시 여러 형태로 구분이 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 만날 수 있는 단청은 천변만화의 극채색의 세계라 할 수 있다.

 

수원시 장안구 연무동에는 경기도무형문화재 제28호로 지정이 된 단청장 김종욱(, 77)옹이 거주하고 있다. 김종욱 단청장은 19991018일자로 단청장 보유자로 지정이 되었다. “내 나이가 77세니 꼭 65년을 단청에만 매달려 왔다면서 어머님이 한양 용화사 신도회 일을 보셨기 때문에 그동안 한 번도 한눈을 팔지 않고 단청에만 매달려 왔다.”고 만난 자리에서 이야기를 한 바 있다.

 

이렇듯 단청은 오랜 습학을 거쳐야만 온전한 기술로 아름다운 채색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청색, 적색, 황색, 백색, 흑색 등 다섯 가지 색을 기본으로 사용하여 아름다운 그림을 그리거나 색을 입히는 단청, 지도강사들과 함께 전시를 하고 있는 수강생들의 단청 전시는 한 마디로 오색빛깔의 아름다움이었다.

 

 

다양한 단청 모습을 만나볼 수 있어

 

2일 아침 박물관이 문을 열기가 무섭게 전시실을 찾았다. 마침 박물관 앞에는 타지에서 수학여행을 온 듯 많은 학생들이 몰려 있었다. 전시실 안으로 들어가니 다양한 형태를 띤 단청들이 전시가 되어있다. 그 중 수강생들이 연합으로 제작을 했다는 기와에 그린 작품들이 눈길을 끈다.

 

고기와에 그림을 그리는 단청장들을 몇 명 보아온지라 그 그림들이 반갑다. 요즈음에는 기와에 단청으로 그림을 그린 아름다운 작품들을 많이 만나볼 수가 있다. 지도강사인 최윤경의 ‘108 동자도가 눈길을 끈다. 김현순의 귀면궁창초(부조)의 아름다움이 발길을 붙든다. 비천도, 흉배를 응용한 단청, 손거울, 목어 등 많은 단청 작품을 만날 수가 있다.

 

 

단청이 이렇게 아름다운 것인지 몰랐어요. 정말 우리나라의 단청은 채색의 극치란 생각이 드네요. 이렇게 전시를 하고 있는 것들이 수강생들의 작품이라고 하는데 정말 아름다워요. 기회가 된다면 저도 한 번 배워보고 싶어요.”

 

아이와 함께 단청의 아름다움을 느껴보고 싶어서 일부러 시간을 내어 찾아왔다고 하는 신아무개(, 44. 정자동), 보면 볼수록 아름다움에 빠져들 것 같다고 하면서 이 가을에 화성박물관을 찾아 우리 단청의 조화로운 미를 마음껏 느껴보시라고 권유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