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고택을 찾아다닌 것이, 벌써 100번 째 집을 소개하게 되었다. 찾아다닌 곳은 그 이상이지만 그 중에는 소개하기에는 좀 부족하다 싶은 집들도 있었으니, 아마도 150채 정도는 찾아보지 않았나 생각한다. 100번째의 글을 쓰면서 조금은 남다른 집을 소개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며 만난 집은, 거창군 남하면 양항리 573-1에 소재한 경남 유형문화재 제326호인 윤경남 생가이다.

윤경남(1556~1614) 선생은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의병활동을 하신 분이다. 이 고택은 선생이 태어난 집으로, 450년 전에 지어졌다고 전한다. 전체적으로 집의 형태는 깨끗하게 보존이 되어 있으며, 사랑채와 안채, 중문채와 대문채가 있다. 아마도 처음에 건립을 했을 때는 이보다 더 많은 건물이 자리하고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임진왜란 때 군기를 비축했던 집

왜적을 물리치기 위해 분연히 일어서 의병모집을 했던 선생은, 원래 과거 등에는 나아가지 않고 오직 학문에만 열중했다고 한다. 경사에 열중한 선생은 문외, 정온 등의 학자와 친분이 두터웠다. 그러나 나라가 위급해지자 이 집을 군기를 비축하는데 사용을 했고, 의병을 모집해 나라를 지키고자 노력을 했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당시 벌인 의병 활동의 공을 인정받아, 장수 현감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후에는 대사헌의 벼슬이 더해졌다. 도로가에 위치한 윤경남 생가는 한 마디로 자연을 넘어서지 않은 집이란 생각이 든다. 안채는 5칸으로 부엌위에 다락방이 위치하고 있으며, 사랑채는 누마루대청 양식을 갖추고 있다.



비탈진 곳을 이용해 건물을 지은 사랑채

솟을대문 안으로 들어서면 좌측으로 ㄱ 자형의 사랑채가 자리하고 있다. 사랑채는 전체를 난간을 두르고 있으며 누정 형태로 집을 지었다. 비탈진 그대로를 이용하기 위해 뒤쪽으로는 축대를 쌓았으며, 앞으로는 누마루 밑에 기둥을 놓아 누각과 같은 형태로 구성을 하였다. 전체를 난간으로 둘러놓아 운치를 더했다.

자연석으로 쌓은 기단 위에 높이 올라앉은 사랑채는, 계단을 놓아 오를 수 있도록 하였다. 크지 않은 사랑채의 구성이지만, 그 치목 등을 볼 때 자연을 벗해 살아가려고 했던 집주인의 마음이 엿보인다. 계단 위에 마련된 온돌방은 뒤편에서 불을 땔 수 있도록 한데 아궁이를 두고 있다.





자연석 기단위에 앉은 안채

자연석으로 축대를 쌓은 안채는 사랑채보다 높게 자리를 잡고 있다. 중문을 들어서면 중앙을 조금 비켜 서 좌측에 자리를 잡고 있는 안채는 모두 5칸으로 꾸며졌다. ㄱ 자 형으로 꾸며진 안채는 산을 등지고 안방과 두 칸의 대청, 그리고 건넌방이 있다. 그 밑으로 단을 낮춘 두 칸의 부엌과 한 칸의 아랫방이 자리한다. 아랫방의 끝에는 작은 마루를 놓았다.

이 안채 역시 비탈진 곳을 그대로 이용했다. 층이 진 건물은 안채로부터 사랑채에 이르기까지 비탈진 곳을 그대로 이용해, 자연석 기단을 쌓아 건물을 배치했다. 사대부가의 당당한 모습을 보이면서도, 화려하지 않은 윤경남 생가. 마침 문이 열려 있어 안으로 들어가니, 안주인 인 듯한 분이 집안 정리를 하고 계신다.



집과 주인의 심성은 닮는다고 했던가?

집을 좀 둘러보겠다고 허락을 받고 여기저기를 돌아보는데, 차나 한 잔 하고 가라고 권유를 하신다. 바깥어르신이 돌아가시고 난 후 서울로 올라가셨기 때문에, 한 달에 한번 정도 내려와 집을 정리하신단다. 마음 같아서는 오랜 시간 이야기라도 하고 싶었지만, 바쁜 답사 일정으로 감사하는 마음만 전하고 돌아서야 했다.

나오는 길에 중문채를 들여다보니 한 편에 디딜방아가 놓여있다. 대개 방아는 대문채에 두는 것이 일상적인데, 중문채에 디딜방아가 놓여있는 것이 눈길을 끈다. 아마도 집안 정리를 하다가 이곳에 놓아 둔 것은 아니었을까?

돌아서 나오는 객을 대문 앞까지 따라나서 인사를 하시는 안주인. 집과 주인의 심성을 닮는다고 했단다. 100번째의 집은 그렇게 기분 좋게 사람을 떠나보낸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