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천을 굽어보는 한벽당 앞 다리 쪽에서 올려다보면, 산마루 가까이 7부 능선쯤에 커다란 입석불상이 서 있는데 이곳이 동고사다. 동고사는 전주의 사방에 세워진 절 중 하나로, 남고사, 서고사, 진북사와 더불어 사방에 세운 절 중 한 곳이다.


차를 타고 올라도 힘든 길이다. 6월 7일 5시가 넘어 카메라를 들고 길을 나섰다. 기온이 30도를 오르내리는 날이라 숨이 턱에 닿는다. 전주의 남고산성과 더불어 마주하고 있는 동고산성을 오르기 위해서다. 동고산성은 통일신라시대에 축조된 성으로, 조선 순조 때 건너편에 있는 산성을 '남고산성'이라 부르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신라 헌강왕 때 도선스님이 창건한 동고사


현재 동고사는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2호로 지정이 되어 있으며, 전주의 동쪽에 자리한 절이라 하여 '동고사'라 칭했다고 한다. 동고사는 임진왜란 때 소실이 되었던 것을 조선조 헌종 10년인 1844년에 허주 스님이 재건을 하고, 그 후 1946년에 영담스님이 대웅전 등을 새로 지어 오늘에 이른다.


동고사는 신라 경순왕의 둘째아들이 '범공'이라는 이름의 스님이 되어, 도를 닦으며 나라를 잃은 설움을 달랬던 곳이라고도 한다. 동고사를 오르니 전주 시내가 아래로 내려다보인다. 그만큼 동고산성 인근 위편에 자리한 절이다. 절에는 대웅전과 종각, 산신각, 염불원 등의 전각이 있다. 전각 아래로는 언제 쌓은 것인지 돌을 쌓아 탑을 여러 개 조성하였는데, 담장이가 타고 올라 고찰의 운치를 더하고 있다.

 

 


견훤의 왕궁 터엔 주추만 남아


동고사 인근에 견훤의 왕궁 터가 있다는 소리를 듣고 찾아 나섰다. 동고사에서 내려오다가 단군성전 조금 못 미쳐 우측으로 난 길을 돌아 올라가면 동고산성의 안내판이 있다. 동고산성은 전라북도 기념물 제44호로 전주시 완산구 교동과 대성동에 걸쳐 있다. 이곳은 예로부터 후백제를 세운 견훤의 왕궁 터라고 전해진다.


견훤은 신라 효공왕 4년인 900년에 완산주(현재의 전주)에 '전주성'을 쌓고 도읍지로 정했다. 그 후 936년까지 37년간 존속을 했다. 1990년 이곳을 발굴할 때 전면 22칸 84.4m, 측면 3칸 16.1m, 총 66칸의 건물지가 발견이 되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발굴된 단일 건물지로는 최대의 크기고, 이곳이 견훤왕의 궁성이었던 것을 뒷받침하고 있다.

 


잡초가 우거진 궁궐터에는 커다란 돌 들이 나란히 놓여있다. 다듬지 않은 넓적한 이 돌들이 당시의 주초였는가 보다. 앞으로는 축대를 쌓았던 흔적인지 가지런히 돌들이 남아있다. 세월이 변해 이곳을 근거지로 삼아 백제부흥을 꾀했던 견훤은 37년 만에 사라지고 말았지만, 그 역사의 흔적은 고스란히 남아 이곳을 찾는 사람들을 가슴 뭉클하게 만든다.


발굴된 자료에서 견훤의 궁터임을 알 수 있어


이곳을 견훤의 궁터로 추정하는 것은 이곳에서 발견된 자료와 여러 가지 기록에 의해서다. '전주성황사중창기'에는 이곳을 <견훤고궁허>라 하였고, 1980년 발굴된 건물지의 기와 명문에서 '전주성'이라는 글자가 발견이 되었기 때문이다. 당시 '성(城)'자가 박힌 기와는 왕궁 터에서나 쓰던 것이기 때문이다. 더욱 이 기와의 연꽃무늬는 신라 말 고려 초기에 것으로, 견훤이 이곳에 도읍을 정한 시기와 일치한다.

 

 


역사는 비정한 것인지. 잃어버린 나라를 다시 세우기 위해 갖은 고생을 하며 이곳 완산주에 후백제를 일으킨 견훤은, 불과 37년 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버렸다. 동고산성 안에는 여기저기 건물지가 보이는데, 아마 궁을 중앙에 두고 앞으로는 군막들이 있었고, 뒤편으로는 또 다른 건물들이 자리하고 있었을 것이다


길을 따라 내려오면서 보니 이곳이 천혜의 조건을 가진 성터로 보여진다. 하지만 37년이라는 길지 않은 시간을 보낸 후 사라진 후백제. 그러나 이곳은 영원한 백제인들의 정신적인 지주가 아닐는지. 그 넓은 왕궁터에 남은 주춧돌만 보아도, 당시 견훤의 마음을 조금은 읽을 수 있을 듯하다.


전남 담양군 대전면 대치리에 소재한 한재초등학교. 이 교정에는 딴 곳에서 볼 수 없는 것이 두 가지가 있다. 그 중 하나는 수령 600년이 넘었다는 천연기념물 제284호로 지정이 된 ‘대치리 느티나무’와, 그 옆에 서 있는 석불이다.

이 석불은 민간신앙의 산물로 여겼던 것으로, 제작 시기는 후백제 당시로 추정한다. 원래 이 석불은 땅 속에 묻혀 있었으나, 파내 한재초등학교 교정으로 옮겨져 온 것이다. 이 석불이 이 자리에 옮겨진 것은 지역주민의 꿈에 나타나서라고 한다. 오래도록 땅 속에 묻혀있기가 답답했던가 보다.


현재도 아랫부분은 땅 속에 묻힌 듯 보이는 이 석불은 그 남은 형태로 보아 입상인 듯하다. 머리에는 상투모양의 육계가 크게 솟아있으며, 얼굴은 둥글게 조각하였는데 전혀 알아볼 수거 없다. 팔은 떨어져 나간 듯 하나 흔적이 남아있다.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고 법의는 양 어깨에 걸쳐 있다.

오랜 풍화에 마모가 심하게 되었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는 섬세하지가 않다. 아마도 후백제 당시 미륵신앙의 산물로 여겨진다. 초등학교 교정에 서 있는 석불입상. 그 서 있는 자리 하나만으로도 눈여겨 볼만하다.





머리위에는 상투와 같이 솟아있으며 귀는 목까지 내려져 있다. 얼굴은 둥근편이나 모모가 되어 알아볼 수가 없다




목에는 삼도가 있으며, 법의는 양 어깨에 걸쳐있다. 팔은 훼손이 되었으며 손은 형체를 알아볼 수가 없다


 


얼굴부분이 떨어져 나간 것을 다시 붙여 놓은 듯하다. 담양군 대전면 대치리 한재초등학교 교정에 서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