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의 한 봉우리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절의 앞 계곡으로 맑은 물을 보낸다. 그 위에 석재로 된 다리는 우리나라의 많은 홍예교 중에서도 아름답다고 소문이 나 있다. 보물 제1336호인 능파교’. 이름만으로도 충분히 아름다운 이 다리는,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냉천리 38 ~1 건봉사 경내로 들어가는 다리이다.

 

다리가 있는 곳은 신라 법흥왕 7년인 520년에 아도스님이 창건을 해 원각사라고 이름을 붙였다는 절이다. 그 뒤 신라 말에 도선국사가 절 서쪽에 봉황새처럼 생긴 돌이 있다고 하여, 서봉사라고도 불렀다. 현재의 명칭인 건봉사는 고려 공민왕 7년인 1358년에 나옹스님이 붙인 이름이다.

 

 

여러 번 수난을 당한 능파교

 

1월 6일 찾아간 고성에서 만난 다리. 능파교는 건봉사의 대웅전 지역과 극락전 지역을 연결하는 무지개 모양의 다리이다. 다리는 한 칸의 홍예를 조성한 것으로는, 그 규모가 상당히 규모가 크다. 폭이 3m에 길이는 14.3m에 이른다. 다리 중앙부의 높이는 5.4m이다.

 

능파교는 조선 숙종 34년인 1708년에 건립된 능파교신창기비(凌波橋新創記碑)가 남아있어, 축조된 시기 및 내력에 관해 자세히 알 수 있다. 비문에 따르면 숙종 30년인 1704년부터 숙종 33년인 1707년 사이에 처음으로 축조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후 영조 21년인 1745년에 대홍수로 인해 붕괴가 된 것을, 영조 25년인 1749년에 중수하였다. 고종 17년인 1880년에 다시 무너져, 그 석재를 대웅전의 돌층계와 산영루를 고쳐 쌓는데에 이용하기도 하였다.

 

2003년에는 능파교 홍예틀과 접하는 호안석 중 변형을 해체하여 원형을 찾아 보수를 하였다. 그러나 보수를 하던 중에 능파교가 훼손되어, 문화재 전문가의 도움으로 200510월에 원형 복원을 하여 오늘에 이른다.

 

 

뛰어난 조형미를 보이는 홍예교

 

능파교는 다리의 중앙부분에 무지개 모양의 홍예를 틀고, 그 좌우에는 장대석으로 쌓아서 다리를 구성하였다. 홍예는 하부 지름이 7.8m이고 높이는 기석의 하단에서 4.5m이므로, 실제 높이는 이보다 조금 더 높다.

 

지난 410일 고성지역을 답사하면서 찾아간 능파교. 아직 이른 철이기는 해도 많은 사람들이 능파교를 지나 대웅전을 향하고 있다. 능파교 밑으로 흐르는 물은 맑기만 하다. 주변에는 산수유가 망울을 터트려 사람들을 즐겁게 만든다.

 

능파교의 교각 밑으로 들어가 본다. 밑에서 바라보니 능파교의 양편으로 삐죽이 고개를 내민 산영루의 처마가, 마치 능파교에 날개를 달아놓은 듯하다. 장대석으로 고르게 쌓은 홍예를 바라보고 있자니, 과거 석재를 이용한 조상들의 조형술에 감탄이 절로 터져 나온다. 어떻게 이렇게 반듯하니 돌을 쌓아올려 서로 버티는 힘을 이용할 수가 있었을까?

 

 

수많은 사람들이 그 다리를 지나 대웅전을 향하고 있지만, 그 많은 무게를 버틸 수 있도록 축조를 하였다니 그저 놀랍기만 하다. 다리 밑으로 흐르는 맑은 물에 손을 넣어본다. 폐부 깊숙이 한기가 전해진다. 한 여름에도 이곳은 물이 차가워 오래 물속에 있지를 못하는 곳이다. 그만큼 자연이 살아 숨 쉬는 곳이기도 하다.

 

석재를 이용해 조성한 다리 하나가 갖는 의미. 그저 다리라는 것이 사람들이 건너기 위한 조형물이려니 생각을 하겠지만, 그 다리가 결코 자연을 벗어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과거 우리의 모든 건축물은 결코 자연을 넘어선 적이 없다. 그것이 자연과 인간이 하나가 될 수 있는 방법이었기 때문이다.

전남 벌교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벌교의 유명한 참꼬막의 맛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줄을 잇고 찾아오기 때문이다. 벌교에 도착한 시간은 해가 지기 전이다. 해가 길어서 조금 늦게 가도 언제나 대낮이다. 요즈음 답사는 절로 신이 난다. 하루 해가 길다가 보니, 겨울철 보다 두 배는 더 다일 수 있기 때문이다. 벌교에 도착하자마자 먼저 홍교로 달려갔다.

 

홍교보다 ‘횡갯다리’가 더 좋아

 

홍교라는 말보다는 ‘횡갯다리’라는 말이 더 정겹다. 우리 문화재의 명칭이나 부분을 설명할 때 거의가 어려운 한문으로 되어있다. 아이들이나 한문을 잘 모르는 사람들이 읽어보기에는 난해하다. 각 지역에서 부르는 우리말을 사용하면 더 친근감이 들고, 오히려 귀중한 것임을 알리는데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지명인 벌교(筏橋)라는 말은 '뗏목다리'라는 뜻이다. 벌교읍 벌교리 벌교천에 놓인 다리를 말한다. 예전에는 이 벌교천 위에 뗏목다리를 놓아 통행을 했기 때문에 벌교라는 지명도 그 때문에 붙여진 것이라고 한다. 뗏목을 연결해 만든 다리를 말하는 '벌교'라는 보통명사가 고유명사로 바뀐 유일한 곳이 바로 벌교라는 것이다.

 

월천공덕으로 지어진 다리

 

홍교는 무지개다리를 말한다. 무지개다리란 아치형으로 만든 다리를 말하는데, 벌교 홍교는 세 칸으로 축조된 다리이다. 다리의 길이는 총 27m 정도이며 높이는 3m, 폭은 4.5m 정도이다. 이 다리는 조선 영조 5년인 1729년에 순천 선암사의 초안과 습성 두 선사가 만들었다고 전한다.

 

 

 

'월천공덕'이란 불교에서 말하는 깊은 내에 다리를 놓아 사람들에게 편의를 주는 것이다. 사람이 할 수 있는 공덕 중 하나이기도 한 월천공덕. 선암사의 두 선사는 비가 많이 오면 물이 불어 사람들이 건너지 못하는 벌교천에, 횡갯다리를 놓아 언제나 사람들이 건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회심곡의 사설에 다음과 같이 나온다.

 

선심하마 발원하고 진세 간에 나가더니 무슨 선심 하였느냐 바른대로 아뢰어라

늙은이를 공경하며 형우제공 우애하고 부화부순 화목하며

붕우유신 인도하여 선심공덕 하마더니 무슨 공덕 하였느냐

배고픈 이 밥을 주어 기사구제 하였느냐 헐벗은 이 옷을 주어 구난선심 하였느냐

좋은 터에 원을 지어 행인구제 하였느냐 깊은 물에 다리 놓아 월천공덕 하였느냐

목마른 이 물을 주어 급수공덕 하였느냐 병든 사람 약을 주어 활인공덕 하였느냐

높은 뫼에 불당 지어 중생공덕 하였느냐 좋은 터에 원두 놓아 만인 해갈하였느냐

 

 

다리 옆에 중수비군이 서있어

 

벌교 홍교는 현재 보물 제304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다리는 영조 13년인 1737년과 헌종 10년인 1844년에 중수를 하였다. 홍교 곁에는 다리를 중수할 때마다 세워놓은 중수비가 있다. 홍교는 '단교(斷橋)'라고도 했다. 이는 비가 많이 오면 다리가 끊어진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홍교 옆에 있는 5기의 중수비에도 단교라고 적혀있다.

 

이 중수비는 마모가 심해 정확한 내용을 파악하기가 힘들다. 중수비에 기록된 내용을 보면 1737년, 1844년, 1899년에 보수를 한 것이 파악이 되었다. 현재의 홍교는 1981 ~ 1984년에 걸쳐 보수하여 원형을 찾은 것이다.

 

그러나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홍교 곁에 붙여 건축한 또 다른 다리다. 그 다리로 인해 자칫 보물인 홍교의 가치를 잃을 것만 같다. 괜한 우려인지는 몰라도. 차라리 홍교는 그 상태로 놓아두고 조금 떨어진 곳에 다리를 가설했다면 더 좋았을 것을. 아니면 홍교 곁에 뗏목다리를 놓아, 홍교의 옛 모습을 재현했다면 하는 바람이다.

 

 

 

벌교의 명물인 보물 횡갯다리. 다리 밑으로 들어가면 천정에 붙은 용머리가 보인다. 얼핏 말머리 같기도 한 이 용머리는 물을 내려다보고 있다. 물이 많이 불어나지나 않을까 지켜보고 있는 듯하다. 월천공덕으로 놓아졌다는 이 다리에서 초안, 습성 두 선사의 마음을 읽는다. 잠시나마 부처가 된 마음으로.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