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달사’, 이름 그대로 팔달산과 연관이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알 수가 있다. 팔달산 기슭에 자리한 팔달사는, 전통사찰 제75호로 198810월에 지정이 되었다. 팔달산의 비탈을 그대로 이용해 전각을 조성한 팔달사는, 도심에 사는 많은 사람들의 마음의 힐링장소이기도 하다. 1031일 오후 찾아간 팔달사는, 가을이 한창 깊게 물들고 있었다.

 

팔달사를 찾는 것은 가끔 용화전 벽에 그려진 벽화 때문이기도 하다. 거만하게 생긴 호랑이 한 마리가 장죽을 물고 있고, 두 마리의 토끼가 시중을 들고 있는 벽화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민화 중 한 소재인 이 그림을 왜 용화전 벽에 그렸는지, 그 내력이 궁금해서이다. 하지만 언제나 들려보아도 속 시원한 대답은 듣지 못해 아쉽기만 하다.

 

 

1922년 흥법 비구니가 설립

 

팔달사는 흥법(윤흥자) 비구니가 1922년 토지와 건물을 합쳐 114평 정도를 구입하여 팔달암을 건립한 것이 현 팔달사의 불사내력이다. 정확한 사록(寺錄)이 없어 자세한 팔달사의 역사는 알 수 없지만, 이채순(평등월) 보살이 일본 조동종 사찰에 입산하여 비구니계(불명 묘심)를 받은 후, 승려생활을 해 오던 중 피부병이 생겨 승려생활을 할 수 없자 환속을 했다고 전한다.

 

그 후 흥법 비구니의 셋째아들인 김용기와 결혼을 해, 1934년에 사찰운영 관리권을 넘겨받았다. 19406월에 현 재단법인 선학원인 조선불교중앙선리참구원에 팔달사 재산 전부를 증여한 후 제1대 창건주가 되었다. 이채순 보살의 남동생 범행스님이 1952~2003년까지 주지로 소임을 맡았다.

 

 

당시 주지 범행스님은 1987~20036월까지 제2대 창건주로 승계를 받았으며, 이채순 보살과 범행스님의 노력으로 주변의 토지와 가옥을 사들여 1,200평의 도량에 지금과 같은 팔달사를 이룩하였다. 20066월에는 범행스님의 상좌인 혜광스님이 제3대 창건주로 팔달사를 승계 받은 후, 주지로 부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가을이 깊어가는 절 팔달사

 

팔달산의 비탈을 이용하여 대웅전, 범종각, 용화전, 요사, 산신각 등을 배치한 팔달사. 그저 누구나 편히 들어가 마음을 쉴 수 있는 곳이다. 1,500평의 대지에 각종 나무들과 꽃들이 가꿔져 있어, 가을이 되면 팔달산의 단풍과 함께 눈이 즐거운 곳이기도 하다. 세계문화유산인 화성 안에 자리하고 있어, 외국의 관람객들도 심심찮게 찾아드는 곳이기도 하다.

 

 

10월의 끝에 찾아간 팔달사. 가을이 깊어지고 있었다. 용화전을 한 바퀴 돌아본다. 벽화를 보기 위함이다. 그리고 용화전 옆으로 난 계단을 오른다. 범종각이 머리 위에 있다. 팔달사의 범종각은 기둥을 놓고 그 위에 마련하였다. 늘 이 범종각을 볼 때마다 구름을 닮았다는 생각을 한다.

 

도심 속의 힐링공간 팔달사

 

그리 오래된 절은 아니라고 해도, 팔달사는 언제나 옛스러움을 간직하고 있는 절이다. 특히 가을에 찾아가면 팔달산의 단풍과 함께, 대웅전 뒤편 은행나무가 노랗게 물이 들면 더욱 고풍스럽다. 팔달사를 즐겨 찾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올해는 아직도 뒤편 은행나무가 아름다운 색으로 치장을 하지 못하고 있다.

 

옆으로 난 소로 길을 걸어 석탑 앞으로 다가선다. 계단 옆에 서 있는 노송 한 그루, 언제나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삼층석탑은 불사리를 모셔 놓았다고 한다. 잠시 머리를 숙인다. 고개를 드니 용화전 옆 향나무와 석탑 앞에 심은 꽃들이 묘한 조화를 이룬다. 가을이 깊어간다는 것을 팔달사 경내에서 쉽게 느낄 수가 있다.

 

 

경내를 한 바퀴 돌아본다고 해도 잠시이다. 하지만 그 짧은 시간에도 가을을 충분히 느낄 수가 있고, 더욱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는 곳이다. 이렇게 도심 속에 산사(山寺) 같은 분위기를 느끼게 하는 절이 있을까? 내가 마음의 여유가 필요할 때 팔달사를 찾아가는 것은, 바로 이런 산사의 가을을 만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