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애불은 암벽에 새긴 불상을 말한다. 마애불은 바위 면에 선각을 하거나, 주변을 파내고 돋을새김을 하여 조성을 한다. 그래서 마애불을 조성하려면 대개는 편편한 바위가 있는 곳에 마애불을 조성하게 도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불과 달리 마애불을 간략하게 선각 처리를 하거나 일부만 돋을새김을 하는 것도, 벽면에 붙어 작업을 하기 때문에 힘이 들기 때문이다.

남원시내에서 운봉을 가다가 보면 이정표 하나를 발견할 수 있다. 우측에 보이는 이정표에는 <호기리 마애여래좌상>이라는 작은 안내판이 붙어있다. 이 안내판을 따라 들어가면 전각이 보이고, 그 전각 안에는 커다란 바위가 덩그러니 자리한다. 어떻게 저렇게 모가 난 바위가 있을까 궁금하다.


바위를 옮겨온 호기리 마애불

그런데 마애불 앞에 놓인 설명문을 보면 이 마애불을 조성한 바위가 왜 이렇게 잘라낸 것 같은지 이해가 간다. 처음에 이 마애불은 이곳에서 50m 정도 떨어진 ‘부처모퉁이’라고 불리던 곳에 있었다는 것이다. 이곳에 동쪽을 향한 채로 3m 높이의 바위 면에 돋을새김을 하고, 그 주변을 파내어 감실에 모셔진 것처럼 조성이 되었다고 한다.

그러던 마애불이 왜 이곳에 와 있는 것일까? 그 이유를 인근 사람들에게 물어도 잘 모르겠다는 대답이다. 이 마애불을 도대체 무슨 연유로 이리로 옮겨 놓았을까? 바위를 쪼개 이곳으로 옮겨올 때 그런 것인지, 바위에 많은 금이 가 있다. 그리고 마애불의 현재 모습도 많이 달라져있는 듯하다.


마치 기계로 절단한 듯 바위를 잘라냈다.

감실처럼 만들었다는 마애불은 지금은 약간의 돋을새김을 한 흔적만 보인다. 주변에 깨진 바위는 여러 조각이 나있다. 그것을 일일이 부쳐 놓은 것이다. 이 마애불의 처음 모습은 어떠했을까? 그리고 무슨 연유로 이 집채만 한 바위덩이를 50m나 옮겨 온 것일까? 여기저기 수도 없이 붙여놓은 조각들을 보면, 이렇게 조각을 내어 어디로 옮기려고 했던 것은 아니었을까?




고려초기의 마애불상

불상의 얼굴부분은 거의 알아볼 수가 없을 정도로 훼손이 되었다. 그러나 머리는 소발이고 육계가 표현이 되어 있다. 귀는 어깨까지 내려졌으며, 법의는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게 표현을 하였다. 수인을 보면 한 손에는 무엇인가를 들고 잇는 듯한 것이 약사여래마애불 인듯 하다.

대좌는 상대, 중대, 하대로 표현을 하였으나 형태가 희미해 알아볼 수가 없을 정도이다. 대좌에는 연화문을 조각하였으나, 쉽게 구별이 되질 않는다. 대좌를 제외한 좌상의 높이는 120cm 정도이다. 몸에 비하여 손발이 크고, 어깨가 좁은 점 등으로 보면 이 마애불은 고려 초기에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누군가 앞에는 등을 달고, 촛불을 켜 놓았다. 주변의 정리도 말끔히 한 것으로 보면 누군가 이 마애불을 돌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뒤편으로 돌아가니 빗자루 등이 보인다. 뒤편도 바위 면을 쪼개낼 때 파손이 된듯, 여기저기 금이 가 있다. 도대체 무엇으로 이 마애불을 바위 면에서 쪼개 이곳까지 옮겨온 것일까?

수많은 문화재들이 훼손을 당하고, 찬탈을 당해 나라를 떠났다. 혹 이 마애불도 그런 이유로 원래 있던 바위 면에서 떼어낸 것은 아니었을까? 사람의 힘으로는 도저히 움직일 수조차 없는 커다란 바위. 그 바위덩어리를 떼어 내 어디로 옮기고 싶었던 것일까? 입도 눈도 다 훼손이 되어 분간조차 할 수 없는 마애불은, 혹 세상의 시끄러움을 보고 싶지 않았던 것은 아닐까? 호기리 마애여래좌상은 말없이 그렇게 커다란 바위를 등 뒤에 지고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