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조 22대 정조대왕이 1795년 윤2월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를 모시고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현륭원)이 있는 화성으로 행차하는 모습을 그린 기록화인 정조대왕 능행반차도(陵幸班次圖)’. 이 능행반차도는 조선조 최고의 화가로 꼽히는 단원 김홍도가 중심이 되어 그린 것이다.

 

이 능행반차도를 보면 행렬이 장엄하면서도 축제분위기 같이, 반차도에 그려진 인물들의 행색과 거동이 경쾌하게 표현이 되어있다. 반차도에는 모두 1779명의 인물과 779마리의 마필이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시흥환어행렬도를 보면 그보다 더 많은 인원이 능행길에 동원된 것으로 보인다.

 

능행반차도 중 정조대왕의 가마 앞 쪽에 두 무리의 고취대가 있다

 

어가의 뒤를 따르는 기마고취대 장엄하다

 

능행반차도는 경기감사가 앞을 서고 그 뒤에 총리대신의 행마가 그려져 있다. 그 뒤편에는 말에 올라탄 고취대가 18명이 따르고, 뒤편으로는 훈련대장이 말을 타고 있다. 훈련대장의 뒤로는 중군(中軍)이 따르며 그 뒤편으로 다시 북과 장고, 해금, 피리, 징 등을 불고 치며 8명의 고취대가 따른다.

 

조금 뒤편으로는 금군별장이 말을 타고 있으며, 조금 뒤편으로는 얼굴을 가린 내인들이 말을 타고 따른다. 그 뒤편으로는 또 다른 정리사 행렬이 따른다. 그 뒤편으로 양편을 기를 든 군사들이 따르고, 정조대왕의 가마가 보인다. 가마 뒤로는 왕을 상징하는 용기가 따르고 있고, 그 용기 뒤편에는 고취악대의 본진이 뒤따른다.

 

 가마 뒤를 따르는 51명의 고취대의 모습. 장엄하다.

 

정조대왕의 가마 뒤편으로는 51명의 고취악대는 맨 앞에 4명의 나각수, 8명의 나팔수, 4명의 고수와 2명의 운라, 4명의 자바라와 두 줄로 늘어선 8명의 태평소, 그리고 3명의 해금과 3명의 저(대금)이 열을 지어 행렬을 한다. 그 뒤로는 6명의 피리와 3명의 장고, 3명의 북, 맨 뒤에는 징수를 포함한 3명이 뒤따른다.

 

그 뒤편에도 두 곳에 기마고취대가 행렬 안에 끼어 있어, 전체적으로 능행반차도에는 다섯 무리의 고취악대가 편성되어 있다. 능행반차도에 나타나는 고취악대는 모두 91명이나 편성이 되어있으며, 이들은 모두 말에 올라타고 있다.

 

 조리를 하는 재료를 실은 우마차 앞에도 6명의 고취대가 자리한다 

 

현대의 고적대 편제와 동일해

 

조선조의 군악편제는 내취라고 명칭을 붙였는데, 영조 때에 편찬된 속대전에 의하면 겸내취와 원내취가 국왕의 거동 때 또는 정전에 출좌할 때 시위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겸내취와 원내취의 기록이 병전에 기록된 것으로 보아, 당시의 내취는 장악원 소속의 악공이라기보다 병조에 속했던 군악대원으로 추정할 수 있다.

 

조선의 군악대의 제도는 성종 때 확립된 제도로 국조오례의』 『악학궤범등에 기록되어 있다. 행악인 전부(全部)고취와 후부(後部)고취는 왕의 어가를 중심으로 하여 앞뒤로 배열하는데, 전부고취와 후부고취는 악사가 각 1명이고, 악공은 50명이다.

 

정조대왕 능행반차도에 나타나는 이 기마고취악대의 형태는, 요즈음 군악대의 고적대나 각급 학교 등에서 나타나는 고적대의 악기편성과 동일하다. 인원의 편성은 조금 다르긴 하지만, 고적대에서 사용하는 악기를 보면 나각(소라), 나팔, 태평소, 대금, 피리, 해금, , 자바라, 장고, 운라 등 동일한 악기를 사용하고 있다.

 

 

명절 다음날인 211. 행궁을 찾아 벽에 그려진 능행반차도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그동안 몇 차례나 보았지만, 그저 무심히 바라보기만 했기 때문이다. 능행반차도를 보다가 중간 중간 말을 타고 있는 기마고취대의 모습에 눈이 번쩍 뜨인다. 정조대왕의 어가 뒤편을 따르는 고취대의 인원이 악학궤범 등에 나오는 인원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물론 그 편제는 다르다고 해도 51명의 고취대가 어가를 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능행반차도는 사실적으로 묘사된 그림이기 때문에, 당시의 고취대의 형태를 알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능행반차도에 나타난 편제에 관해 더 많은 공부를 해야겠지만, 고취대 하나만 갖고도 기사를 쓸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행복한 일인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