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에 있는 탑이라고 해서 모두 부처의 사리를 보관하거나, 부처를 상징하는 것은 아니다. 사찰 경내에 소재하고 있는 탑 중에서도 여러 가지 이유로 조성한 것이 있다. 공주 갑사에는 갑사를 이룩할 때 노역을 하다가 목숨을 잃은 소를 위한 공우탑도 있다. 이와 같이 조금 특별한 탑이 바로 경기도 가평군 하면 하판리 산163 현등사경내에 자리하고 있는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7호인 지진탑이다.

 

가평군 하면 하판리에 소재한 현등사는 운악산(해발 935m) 산등성이에 위치한 신라시대의 고찰이다. 신라 법흥왕 27년인 540년에 인도에서 불법을 전하기 위해 건너온 마라가미 스님을 위해 왕이 지어준 사찰로, 오랫동안 폐사 되었다가 신라 효공왕 2년에 도선국사가 다시 중창하였다.

 

현등사는 창건 이래 많은 중창을 하였다. 신라 말 효공왕 2년인 898년 도선국사가 한양을 도읍으로 정하고 동쪽의 지세가 약해 이를 보강하기 위해 운악산을 돌아보던 중 옛 절터가 있는 것을 보고 이곳에 절을 지었다고 한다. 두 번째 중창은 고려 회종 6년인 1210년 보조국사 지눌이 운악산 중턱에서 불빛이 비쳐 이곳을 찾아오니, 석등과 마륵바위에서 불빛이 비치는 것을 보고 현등사라 이름 하였다고 한다.

 

보조국사 지눌은 수백 년 동안 폐허로 있었던 이 절터에 새로 절을 짓게 되었다. 이 때 터의 기를 진정시키고자 이 탑을 세워 두었다 한다. 이로 인해 지진탑(地鎭塔)’이라는 이름이 생겨났으며, 승려의 이름을 따서 보조국사탑이라 부르기도 한다.

 

 

삼층석탑의 1층 몸돌이 사라져

 

현등사 입구를 들어서면 위로 오르는 계단 한편에 지진탑이 서 있다. 지진탑은 원래 3층 석탑이었을 것으로 보이나, 기단의 일부와 탑신의 1층 몸돌이 없어져 본래의 모습을 잃고 있다. 바닥돌과 기단의 맨윗돌은 윗면에 경사가 흐르며 네 모서리 선이 뚜렷하다. 지붕돌과 몸돌이 교대로 올려진 탑신부는 몸돌의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인 양우주를 본떠 새겼다.

 

탑의 맨 아래 놓인 지대석은 2단의 괴임대가 마련되어 있다. 네 귀퉁이의 합각은 뚜렷하며 밑면에는 부연이 조각되어 있다. 위면에는 각각 2단의 받침이 조출되어 있다. 이 지진탑은 탑의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한 개의 돌로 조성하였다. 이 탑은 오랜 세월을 지내오면서 많이 훼손이 되었지만, 남아있는 2층과 3층의 몸돌에 좌상이 새겨져 있어 소중한 가치를 지닌다.

 

 

고려 중기에 조성한 지진탑

 

지붕돌은 느린 경사로 흐르는데 밑면에 받침은 1, 2층은 4, 3층은 3단으로 불규칙하다. 낙수면의 경사는 비교적 완만한데 .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을 받치던 추녀는 수평으로 흐르다가 전각에 다달아 급격한 반전을 이룬다.

 

상륜부에는 네모난 받침돌인 노반석만 남아 있다. 상면에는 지름이 5cm 정도인 찰주를 꼽기 위해 조성한 구멍이 뚫려있다. 이 탑은 현존하는 부재의 조각양식과 이름에 얽힌 이야기로 미루어 고려시대 중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한다.

 

 

탑은 사찰의 어디에나 존재한다. 하지만 그 많은 탑들은 제각각 이유가 있다. 그리고 그 탑을 조성한 장인의 정신이 있다. 그래서 우리의 문화재들이 소중하다는 것이다. 비록 제 모습을 다 갖추고 있지 못한 지진탑을 보면서, 그래도 그렇게나마 자리를 지키고 있다는 것이 고맙기만 하다.

 

지진탑을 찾아가는 날은 정말 살을 에이는 듯한 날씨였다. 하지만 그곳에 지진탑이 있어주어 그런 추위를 이길 수 있었던 것은 아닐까? 그런 소중한 문화재의 가치조차 제대로 모르는 한심한 인간들이 이 나라에는 너무나 많다는 것이 가슴 아플 뿐이다.

문화재 답사를 다니다가 보면 가끔 문화재의 품격이 달라져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대개는 격강이 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어떤 때는 격하가 된 것들을 만나기도 한다. 그럴 때는 괜히 마음이 짠하다. 아마도 문화재에 문제가 있었던지 아니면 문화재 보관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기 때문이다.

 

경기도 가평군 하면 운악산에 있는 현등사의 동종은 예전에는 경기도 지정 유형문화재였다가 지난해 1227일 보물로 격상이 된 예이다. 이럴 때면 절로 기분이 좋아진다. 보물을 만났다는 것도 그렇지만, 그 문화재가 그만큼 소중하거나, 아니면 제작 연대 등이 밝혀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봉선사에 봉안되었던 동종

 

가평 현등사에 소재한 동종은 원래 현등사의 본사인 남양주 봉선사에 봉안되어 있었던 것이다. 봉선사에는 보물로 지정된 또 하나의 동종이 보관되어 있는데, 이 동종은 일제강점기에 현재의 현등사로 옮겨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등사 동종은 73.5cm의 아담한 크기로 종신을 여러 개의 구획선으로 나누고, 그 안에 연잎무늬, 당초무늬, 파도무늬 등을 화려하게 새겨 넣어 장식을 강조한 범종이다.

 

 

머리부분인 용뉴는 두 마리 용이 서로 등을 맞대어 몸을 꼬고 있어 안정감을 주고, 두발을 힘차게 내딛어 천판을 들어 올리는 모습에서 역동적인 표현력이 뛰어나다감. 비록 크기는 그리 크지 않지만, 둥근 곡면을 이루는 천판에서부터 종의 입으로 내려오면서 조금씩 그 폭을 넓힌 종의 형태도 아름답다.

 

주종기를 종에 기록한 소중한 자료

 

현등사 동종의 배 부분에 보면 해서체로 주종기를 돋을새김 하였다. 주종기는 광해군 11년인 1619년에 천보가 짓고 글을 새겼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이 동종을 만들게 된 연유와 종 제작에 사용된 재료의 양과 무게등을 자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그 뿐이 아니라 이종의 시용 용도와 참여한 사람 등도 함께 기록하고 있다.

 

 

주종기에 보면 주종장은 주종기를 작성한 천보로 보고 있는데, 그는 조선후기 승려 주종장 가운데 유일하게 임진왜란 이전부터 활동했던 인물로 알려져 있어, 임진왜란을 전후한 시기의 승장의 계보나 범종의 양식 흐름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인물이다.

 

현재 현등사에 보관되어 있는 이 종은 1619년에 조선 전기 궁중양식 범종의 전통을 계승하여 제작된 범종이며, 주조상태도 양호하고 역동적이다. 종에 새긴 문양은 생동감이 있는 무늬들을 조화롭게 배열한 점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조선후기 범종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중국종의 양식을 따른 종

 

현등사 동종은 고려 후기 연복사종에서 비롯된 중국 종의 양식을 따르고 있다. 특히 종의 중심부를 세 개의 융기선으로 구획하고, 천판에서 종의 입 사이에 다양한 무늬를 시문하여 절로감탄을 자아내게 만든다. 작은 마름모꼴의 연곽에 구슬 모양의 연꽃봉우리라든가, 천판의 내림연꽃이 중앙을 향해 보상화문처럼 말려든 형태와 그 위로 표현된 구슬무늬 등이 아름답다.

 

 

또한 종의 블록한 배 부분에 크게 자리 잡은 역동적인 연화당초무늬와, 하대에 표현된 물거품이 일렁이는 파도무늬 등은 장엄의 극치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요소는 1469년 작 남양주 봉선사 동종(보물 제397)이나 흥천사명 동종(보물 제1460), 그리고 1491년 작 합천 해인사 동종(보물 제1253) 등 조선전기의 왕실발원 범종의 전통을 따르고 있는 것이다. 원래 이 종을 소장했던 봉선사도 왕실의 원찰이었기 때문에, 이전에 만들어진 궁중양식 범종의 여러 가지 요소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