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 고성군문화원에서 발행한 자료에 의하면 화진포 팔경 제1경은 원당리 마을 앞에 호수에 비친 반달 그림자와 누런 가을곡식, 단풍나무가 어우러진 풍광이 아름다워 '월안풍림(月安楓林)'이라 했으며, 2경은 화포리 찻골에서 저녁밥을 짓는 연기가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모습이 한 폭 그림 같다하여 '차동취연(次洞炊煙)'이라 했다.

 

3경은 호수 주변 모래밭에 피는 빨간색 해당화가 봄에 피는 모습이 영롱하여 '평사해당(平沙海棠)', 4경은 호수동편에 있는 장평부근에 찾아오는 많은 기러기의 울음소리가 청명하여 '장평낙안(長坪落雁)', 5경은 화진포 앞바다에 떠있는 금구도(金龜島)의 모습이 한가로워 '금구농파(金龜弄波)', 6경은 화진포 호수의 물이 바다로 빠지면서 바닷물과 부딪치며 물길이 솟아오르는 모습이 마치 용()이 물을 차는 듯하여 '구용치수(龜龍治水)'로 정했다.

 

7경은 풍암별장에서 보이는 돛단배가 한가로이 노니는 모습이 정겨워 '풍암귀범(楓岩歸帆)'이라 했으며, 8경은 모화정리(茅花亭里:지금의 죽정1)의 호수변의 모래밭에 아름다운 정자가 있어 '모화정각(茅花亭閣)'이라 칭하는데 조선시대의 풍류시인인 김삿갓이 화진포에 머무르는 동안 이를 읊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이곳 금구도는 신라시대 수군기지가 있었단 곳으로 밝혀졌다.

 

 

매년 새해의 첫날인 11일이 되면 동해안에서 떠오르는 해를 맞이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모여든다. 동해인은 가장 북쪽인 강원도 고성군 화진포부터 시작하여 속초, 양양, 강릉, 삼척 등과 경북 울진, 경주 문무대왕 수중릉과 감포, 영남 주상절리 등 해를 바라볼 수 있는 곳이면 어디나 사람들이 모여든다.

 

이렇게 사람들이 동해안으로 모여드는 것은 새해 첫날 떠오르는 해를 보고 마음에 담아 둔 염원을 기원하면 이룰 수 있다는 무속적 사고에서 기인하지만 그보다는 새해 첫 번째 뜨는 해를 바라보면서 일 년의 안녕과 건강을 발원하고 새로운 마음을 다지기 위한 것이란 생각이다. 밤길을 달려 동해안으로 향하는 많은 사람들의 염원이 다 같기 때문이다.

 

고성은 호수와 산이 어우러지는 아름다운 고장이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전까지만 해도 현 속초시에 있는 영랑호가 간성군에 속해있는 호수였다. 조선시대 남인학자 이만부의지행부록(地行附錄)동계조에 보면 간성(수성)의 대표적인 3대 호수는 화진포(花津浦), 광호(廣湖=여은포라고도 불렀으며 현 봉포리와 용촌리 사이에 있는 석호이다), 영랑호(永郞湖)라고 하였다,

 

 

1231일이 되면 고성군 화진포 일대는 일출을 보기위해 몰려온 사람들로 북새통을 이룬다. 아마 깨끗한 동해인의 물에서 떠오르는 헤를 보고 싶기 때문일 것이다. 올해는 동해인 일출을 보기위해 먼 길을 달려가기 힘들에 생겼다. 그동안 동해인 곳곳을 다니면서 일출을 보아왔기 때문에 회진포 일출의 아름다움을 알고 있다. 경자년 11일이 죄기 전 화진포 일출을 보기위해 모여든 사람들 무리를 보는 것으로 화진포 일출의 모습을 가늠하기 바란다.

 

올 추석은 강원도 여행으로 쌓인 피로 풀어내고 새 기운 얻어

 

음력 815일을 추석(秋夕)’이라고 한다. 가을이 깊어진다는 말이다. 추석이 되면 모든 열매들이 결실을 맺어 풍요로움을 상징한다. 하기에 추석을 한가위라고도 한다. 올 추석은 태풍 링링으로 인해 많은 걱정을 했다. 전통시장도 태풍으로 인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매상을 올렸다고 한다.

 

더구나 과수농가에는 비상이 걸렸다. 결실을 앞둔 과수들이 태풍으로 인해 많은 열매들이 낙과가 되는 바람에 올 일 년 농사를 망쳤다고 한다. 결실을 맺기 위해 기다리고 있던 과수농가는 한숨만 몰아쉬고 있다. 가을 소득을 기대하면서 일 년 동안 정성들여 키운 과수가 못쓰게 되었으니 그 심정이야 오죽하겠는가?

 

추석연휴가 시작되는 날 길을 떠났다. 평소에 수원을 벗어날 수 없는 나로서는 예전보다 짧은 기간의 추석이지만 마음먹고 길을 나선 것이다. 그동안 가보고 싶었던 강원도 여행이라 마음을 설레며 떠난 길이다. 추석귀성으로 인해 길이 막힌다고 하지만 그동안 강원도를 여행하면서 막히지 않는 길을 익혀두었기 때문에, 고생스럽지 않게 강원도 고성군 최북단까지 수월하게 갈 수 있었다.

 

 

추석은 근친과 반보기를 하는 날

 

추석이 되면 사람들의 마음도 풍족해진다. 그만큼 풍성한 먹거리들이 이 계절에 상위에 오르기 때문이다. 하기에 설날보다 추석이 항상 풍족한 먹거리를 만날 수 있다. 이렇게 풍요로운 계절이다 보니 부모를 떠나 멀리 외지에 나가있는 자식들도, 이날 부모형제를 찾아보는데 이를 근친(覲親)’이라고 한다. 추석 때는 시집을 간 딸도 친정을 찾아가 부모를 뵙는다.

 

시집간 딸은 어지간한 일이 아니면 친정으로 나들이 하기가 쉽지 않다. 하기에 농사일이 어느 정도 마무리가 되고, 먹을 것이 풍부한 계절인 추석 때를 전후해 근친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근친을 할 수 없는 딸들은 친정과 시집의 중간 지점에서 부모를 만나게 된다. 이를 반보기라 한다. 이때는 좋은 음식을 서로 준비해서 만나게 되며, ‘반보기는 근친과는 달리 약속된 장소에서 만나기 때문에 그리움의 정은 배 이상일 것으로 보인다.

 

나야 근친도 아니고 반보기도 아니지만, 그래도 일 년에 한두 번 정도 며칠이라도 여행을 할 수 있는 시간이 명절 때 뿐이라 추석연휴 기간 중에 여행을 떠난 것이다. 사람들은 고향을 찾아 길을 나선다지만, 서울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자란 나로서는 고향이라는 곳을 찾아간다는 것이 남의 이야기처럼 만 들린다. 먼 길을 달려 근친을 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연휴를 이용해 여행을 하는 것으로 낙을 삼고 있다.

 

그나마 단 2~3일이라도 도심을 떠나 바닷가나 산을 찾아 그동안 쌓인 피로를 풀고 새롭게 앞으로 해야 할 일 등을 정리하는 것으로 근친이나 반보기를 대신한다, 마침 최북단이라는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산학리에 정수암이라는 작은 절이 있어, 그곳을 찾아가 일 년 동안 쌓인 피로를 풀고자 길을 나선 것이다.

 

 

다시 한 번 마음을 가다듬고 새롭게 시작하는 추석

 

추석을 명절로 삼은 것은 이미 삼국시대 초기이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 제3대 유리왕 때 도읍 안의 부녀자를 두 패로 나누어 두 사람의 왕녀가 각기 거느리고, 음력 715일부터 8월 한가위 날까지 한 달 동안 두레 삼 삼기를 하였다. 마지막 날에 심사를 해서 진 편이 이긴 편에게 한턱을 내고 회소곡을 부르며 놀았다고 하는데, 이를 가배라 해서 추석의 시원으로 보고 있다.

 

풍족한 먹거리와 모든 가족들이 한 자리에 모여 즐길 수 있는 명절인 추석. 올해는 일요일까지 연 4일의 연휴를 맞게 되었다. 추석을 맞아 매년 일 년이면 몇 차례씩 만났던 사람들을 찾아본 여행. 물론 남자인 내가 친정을 찾아간 것도 친정 식구들을 만난 것도 아니지만 그동안 보고 싶다는 생각만 하고 있었던 의형제들을 만나고 돌아온 것만으로도 새로운 힘이 솟는다.

 

올 추석은 나에게는 그 어느 때보다 의미있는 추석연휴가 되었다. 새로운 기분으로 일상생활로 돌아온 날. 근친과 반보기는 아니지만 마음만은 그에 못지않다. 이번 여행에서 얻은 새로운 기운으로 열심을 내보아야겠다.

통일전망대에서 북녘 땅을 바라보다

 

참 알다가도 모르겠다. 난 민족주의자도 아니다. 그렇다고 태어난 고향이 이북도 아니다. 부모님들의 고양 역시 그곳이 아니다. 철책 너머 북녘 땅과는 전혀 무관한 사람이다. 그곳에 사랑하는 사람이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런데 왜 이곳에 와서 북녘 땅만 바라다보고 있노라면, 그렇게 눈물이 흘러 주체할 수가 없는 것일까? 참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22일과 3, 12일로 강원도 최북단인 고성과 속초를 다녀왔다. 모임이 있어 그곳에서 합동으로 다녀 온 답사 길이다. 그 첫 번째 돌아본 곳이 바로 통일전망대였다. 물론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전망대를 들어가기 위해 출입신고를 하고, 군인들이 차량을 일일이 조사하는 민통선을 넘었다.

 

 

통일전망대, 왜 가슴이 아픈 것일까?

 

통일전망대 앞에 섰다. 계단 밑에는 한 무리의 사람들이 해설사의 설명을 듣고 있다. 아마 안보교육이라도 받는 것인가 보다. 사람들이 북적거리는 전망대를 피해 바닷가로 내려갔다. 그곳에는 북녘 땅을 바라다보고 있는 대불(大佛)과 성모상이 있기 때문이다. 늘 이곳을 올 때마다 이상하게 이곳에 서서 북녘 땅을 바라보고는 했다.

 

바닷물이 참으로 깨끗하다. 쪽빛바다라고 하던가? 그 깨끗한 물은 남북을 마음대로 오간다. 남쪽에서 날아온 새 한 무리가 북녘 땅으로 들어갔다. 철책을 넘어서. 저 새들은 아무런 제재도 받지 않고 마음대로 남북을 오간다. 지금 이 자리에서 그 자유로운 새들이 그렇게 부러울 수가 없다.

 

 

갈 수 없는 삼일포, 꿈이라도 꾸었다면

 

관동팔경, 통천의 총석정, 간성의 청간정, 양양의 낙산사, 고성의 삼일포, 강릉의 경포대, 삼척의 죽서루, 울진의 망양정, 평해의 월송정을 말한다. 이 중 북한 땅이 된 고성에는 삼일포가 있었다. 삼일포는 신라 효소왕 때 국선인 영랑, 술랑, 남석랑, 안상랑 네 명의 국선이 절경에 반해, 3일 동안 머물렀기 때문에 삼일포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금강산 관광이 이루어지던 때에는 금강산 관광을 통해 삼일포역으로 갈 수가 있었다. 하지만 2008년 금강산 관광객 피살사건으로 인해, 오고가는 길이 막혀버렸다. 지금 서 있는 이곳에서 500m 거리에 있다는 군사보호지역인 비무장지대, DMZ(demilitarized zone) 저편에 보이는 북한군의 초소가 지척이다.

 

고성을 저만큼 두고 삼일포를 찾아가니

그 남쪽 봉우리 벼랑에 ;영랑도 남석행이라 쓴

붉은 글씨가 뚜렷이 남아있구나.

이글을 쓴 사선은 어딜 갔는가?

여기서 사흘을 머무른 뒤에

또 어디 가서 머물렀던고?

선유담, 영랑호 거기나 가 있는가?

청간정, 만경대를 비롯하여 몇 군데서 앉아 놀았던고?

 

송강 정철의 관동별곡중 삼일포를 노래한 시이다. 그 경치가 얼마나 좋았기에 3일이나 그곳에서 묵었을까? 그런 절경을 지척에 두고도 갈 수 없는 분단의 아픔을 느끼는 이곳. 통일전망대 성모상 앞. 북녘 땅에서 넘어오는 찬바람이 옷깃을 여미게 한다.

 

 

차마 망원경을 못 보겠소.

 

그렇게 하염없이 지척에 있는 북녘 땅을 바라보고 있노라니, 양 볼에 눈물이 흐른다. 주체할 수 없는 눈물을 닦을 생각도 하지 못했다.

 

먼일 있소? 왜 눈물을 흘리고 그래요?”

 

함께 한 일행이 묻는다. 대답을 하지 못하고 그냥 주먹으로 눈물을 훔쳐낸다. 날이 좋은 날이면 일출봉, 신선봉, 옥녀봉 등을 육안으로도 바라다 볼 수 있다고 하는 이곳 통일전망대. 성모상 앞에서 그렇게 이리저리 마음대로 오가며 모래톱을 긁어대는 물길을 바라다보며, 나도 모르게 깊은 한숨을 내쉰다. 성모상을 뒤로하고 돌아 나오는 길에 뒤에서 장사를 하시는 분의 한마디 말이 오장을 긁는다.

 

얼른 통일이 되던지, 금강산이 열리던지. 정말 장사 안 돼 못살겠네.”

고성군 현내면은 예전에 열산현의 소재지가 있던 곳이다. 현재 현의 터는 화진포에 잠겨있지만 거진읍 화포리와 현내면 죽정리 등에는 10여 개의 선사시대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어, 이곳은 아주 오래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살던 곳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현내면 송현리와 죽정리 등에서는 돌토끼와 민무늬토기 같은 청동기 유물이 발견이 되기도 했다.

 

이 현내면은 지역적으로 군사적으로 상당히 중요한 곳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금강산을 들어가는 길목이라는 현내면은 명파리와 죽정리 등에서 신라고분 6기가 발견이 되기도 했다. 현내면에는 고성산이라는 산이 산학리에 솟아있어, 이곳이 군사적 요충지이기도 했음을 알 수 있다.

 

 

군사적 요충지인 산학리

 

고성군 현내면 산학리는 원래 두 마을로 나뉘어져 있었다. 옛 운근리를 나누어 산학리(山鶴里)와 열산리(烈山里)로 구분했다. 고려 때는 열산현(烈山縣)의 소재지가 열산리에 있었으나 조선시대 관제개혁으로 폐현되는 동시에 간성군에 속했으며, 현내면으로 개칭된 후 1915년 행정구역 폐합으로 두 부락의 '()'자와 '()'자를 따서 산학리로 불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까지는 현내면 소재지이기도 하였던 산학리는, 마을 뒤편에 고려 초에 만든 것으로 전하는 약 12m정도의 성지(城址)의 흔적이 남아 있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쑥고개의 봉화봉에서 횃불로 신호하면, 이곳에서 간성 고성산으로 연락하였다고 한다. 이 성터를 산학리성터 혹은 고성산성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 산학리의 지명을 보면 죽정리, 산학리 경계지점인 길모퉁이에 조선시대에 현령을 지낸 권모의 공덕비라고 전하는 비가 고송과 함께 남아 있어, 외솔배기라고 불렀다고 한다. 그리고 산학리에서 고성산을 끼고 화진포로 넘어가는 낮은 구릉에는 고려 초에 축성한 것으로 보이는 토성의 흔적이 보이는데, 주둔군부대의 방호시설로 인해 훼손이 되었다.

 

옛 토성에 오르다.

 

23, 고성군 현내면의 2차 답사를 나섰다. 일행이 많아 두 대의 차량을 이용해 답사 길에 나섰다. 산학리에서 빠른 길로 화진포로 낮은 등성이를 넘다가 보니, 우측에 노송 몇 그루가 모여 있는 곳이 있다. 소나무의 굵기로 보아 수령 300년은 족히 넘었을 것 같은 소나무들이 모여 있어 그곳을 올라보았다.

 

 

석비 1기가 서 있는데, 그곳에 고성 산학리산성이라고 음각을 해 놓았다. 앞면에는 산성에 대한 설명이 적혀있다.

 

이곳은 옛날 이곳을 지키려는 선인들의 호국이 얼이 깃든 산성의 옛 터다. 처음 이곳에 성을 쌓은 시대와 성에 대한 내력은 전하는바 없어 자세하지 않으니, 고려시대 빈번하던 동여진족과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하야 쌓은 산성이라 한다.

 

1033(고려 덕종 2) 이 고장에 침입한 왜구의 무리와 1217(고려 고종4)에 침입한 거란 무리를 이 산성에서 막아 싸운 곳이라 전한다. 세월이 가고 옛 성은 허물어졌으나, 향토를 수호하려는 이 고장 선민들의 얼이 깃든 호국유적으로 이를 보호하고자 표석을 세운다.

1984, 9 고성군수라고 적고 있다.

 

 

토성으로 쌓은 성을 알아볼 수 있는 곳은 10m에 불과하다. 토성은 4~5m 높이로 경사를 보이고 있다. 그 위에는 10여 그루의 소나무들이 서 있는데 둘레가 족히 2m는 넘을 듯하다. 아마 이런 굵기를 본다면 이미 수령에 300년은 족히 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위는 군부대의 방호시설이 있으며, 서쪽 끝부분은 문지나 장대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토축산성을 고성산성이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보아, 고성산에서부터 이어져 내려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저 지나다가 들린 옛 성터. 2월의 바람이 불어온다. 주변을 둘러보지만 표석이 없었다고 하면, 이곳이 성터인줄 그 누가 알 수 있을까? 불어오는 바람에 실려 옛 이야기라도 한 자락 들었으면 좋았을 것을. 인적 없는 옛 성터가 더욱 쓸쓸하다.

풍아의 깁흔 뜻을 뎐하나니 긔 뉘신고(風雅深意 傳者其誰)

고됴를 됴하하나 아나니 전혀 업내(古調雖自 愛知者少)

졍셩이 하 미망하니 다시 블너 보리라(正聲何微 茫欲更吟)

 

내 말이 긔 어니 몰고 또 모라라(我馬維騏 載馳載驅)

질고를 믈을지니 원습을 갈힐소냐(詢其疾苦 奚憚原濕)

셩은이 지듕하시니 못갑흘가 하노라(聖恩至重 惟恐不能酬)

 

위의도 거룩하고 녜모도 너를시니(威儀盛大 禮貌寬兮)

희학을 됴하하나 학하미 되올쇼냐(善戱謔兮 不爲虐兮)

아마도 성덕지션을 못니즐가 하노라(盛德至善 終不可諼兮)(하략 김광섭 역)

 

 

권익륭이란 고성군수가 지은 연작시이다. 권익륭은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다. 조선 후기의 문인으로 시조작가이며, 본관은 안동 자는 대숙이다. 호는 하처산인으로 숙종 34년인 1708년에 양성(안성시) 현감을 지낸 후, 1710년 간성군수로 부임을 했다. 이 시는 <풍아별곡>이라고 하는 권익륭이 1710년 간성군수로 있을 때 지은 모두 6수의 연작시이다.

 

교주가곡집에 실린 권익륭의 풍아별곡

 

이 내용은 고성군 현내면을 답사하고 난 뒤, 고성향토사연구회 연구위원인 김광섭 선생의 논문과 자료에서 취합한 글이다. 김광섭 선생은 고성지역의 향토사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지역의 향토사를 정리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김광섭 선생이 보내 준 자료에는 1710년 간성군수를 지낸 권익륭에 대한 자료와 <고성화진포의 팔경과 시문학 고찰> 이란 선생의 논문이었다.

 

풍아별곡은 이 작품은 작가가 교방(敎坊)에서 손님을 맞이하여 즐길 때, 기존의 노래만 갖고는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부르도록 하기 위해 지은 노래라고 한다. 풍아별곡의 첫 수에서는 고조(古調)와 정성(正聲)이 전하지 않음을 한탄하면서 이를 재현하여 보려는 의지를 표방하였다. 그 다음부터 다섯째 수까지는 사람이 주연(酒宴)에서 갖추어야 마음 자세와 도리를 밝힌 다음, 마지막 수에서 인생은 무상하므로 생전에 후회 없이 놀고 즐기자는 뜻을 말하였다고 한다.

 

논두렁에 서 있는 소나무와 불망비

 

이렇게 권익륭에 대해 김광섭 선생을 통해 자세한 자료를 얻게 된 것은 다 이유가 있다. 고성군 현내면 산학리를 답사하고 있는데, 마을 앞 논가에 멋진 소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나무가 하도 아름다워 쫒아갔더니, 옆에 영세불망비가 한 기 서 있다. 하지만 불망비라는 각자는 보이는데, 그 위의 글씨가 지워져 알아볼 수가 없다.

 

 

할 수 없이 여기저기 수소문을 하던 차에 김광섭 선생을 소개를 받기에 이르렀고, 선생은 자신이 연구를 한 자료를 선뜻 보내주었다. 논가에 자리하고 있는 소나무 주변은 펜스를 쳐놓았고, 안내판에는 이 소나무가 수령이 150년 이상이라고 적혀있다. 하지만 나무의 모습을 보니 3~400년 가까이 된 나무처럼 보인다.

 

그 옆에 세워놓은 영세불망비. 군수였던 권익륭이 선정을 베푼 것에 대해 잊지 않겠다고 주민들이 감사하는 마음을 담아 세운 비이다. 1711년에 이 불망비를 소나무 곁에 세웠다고 치면, 이 소나무의 수령은 이미 3백년이 넘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결국 불망비 때문에 이 소나무의 수령이 우리가 짐작한대로 맞아 떨어진 셈이다.

 

 

 

왜 이곳에 불망비를 세워놓았던 것일까? 이곳 현내면 산학리는 바로 금강산으로 들어가는 입구였다는 것이다. 사람들이 이 불망비 앞을 지나쳐 금강산으로 오갈 때, 이 불망비를 보고 이곳에 선정을 베푼 권익륭 군수가 있었음을 알아달라는 뜻이었다는 것. 이 불망비와 동일한 불망비가 안성시 양성면사무소 뒤편에도 한 기가 서 있다고 한다. 결국 권익륭은 지역의 방백으로 가는 곳마다 선정을 베풀었음을 알 수 있다.

 

300년이 지난 소나무 가지 밑에 서 있는 권익륭 군수의 영세불망비. 각자는 다 흐려져 알 수가 없지만, 당시 주민들의 정성이 그 곳에 깃들어 있다. 이곳 산학리 금강산으로 들어가는 입구에서 300년 세월 그렇게 의지를 하면서 자리를 지켜 온 소나무 한 그루와 영세불망비 한 기. 그 모습에서 아주 오래 전의 역사 한 자락을 만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