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일어나니 골이 지끈거린다. 요즈음 연말이라고 해서 여기저기 돌아다니다가 보니 몸살이라도 오는 것일까? 오전에 약속이 되어있는 일정을 오후로 미루어 놓고 책상 앞에 앉았다. 머리가 이렇게 맑지가 않으면 도통 글을 쓸 수가 없다. 한참이나 멍하니 앉아 있다가 보니 앞에 달력이 눈에 들어온다.

 

2015년 달력이다. 이 달력은 지동 벽화골목 총괄작가이자 제일교회 종탑에 자리한 노을빛 갤러리이 관장인 유순혜 작가이 손 그림 달력이다. 달마다 작은 달력 안에 화려하게 그려진 수많은 사람들의 표정을 들여다보고 있자니, 세상이 참 재미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 달력 안 사람들이 모두 한 마디씩 하는 것만 같다.

 

 

2014년 난 과연 부지런히 살아왔는가?

 

달력을 한 장씩 넘겨본다. 달이 바뀔 때마다 새로운 그림들이 나타난다. 그리고 그 안에 수많은 사람들의 표정이 보인다. 그러고 보니 벌써 2014년도 보름밖에 남지 않았다. 벌써 1215일이다. 그동안 많은 일들이 있을 때마다 꺼내들었던 기자수첩을 꺼내본다. 두 권이나 되는 수첩에 글자들이 빼곡하니 차 있다.

 

수첩을 넘기면서 올 한 해 만난 사람들과 일들을 기억해 본다. 참 많은 곳을 다녀왔고, 많은 사람들을 만났다. 11일부터 어제까지 e수원뉴스에 송고를 한 기사가 450개나 된다. 하루에 1.3개꼴로 기사를 쓴 것이다. 거의 기사를 쓰지 않고 넘어간 날이 없다. 그렇게 많은 기사를 써 가면서 만난 사람들은 또 얼마나 될까?

 

아마도 행사장에서 만난 사람들을 따져본다면 수천 명이 넘을 것만 같다. 사람은 많은 사람들과 많으 일들을 겪으면서 세상을 산다고 한다. 그런 생각을 하다 보니 과연 2014년 한 해 동안 나는 잘 살기는 한 것일까? 혹 나로 인해 누군가가 마음에 상처를 입지는 않았을까? 이런저런 생각이 주마등처럼 머리를 스친다. 부지런히 산다고 해서 세상을 잘 살았다고 착각을 하는 것은 아닌가 모르겠다.

 

 

한 해의 마무리를 어떻게 해야 할까?

 

생각해보면 산다는 것이 참 단순한 것이 아닌가 싶다. 그저 사람들을 만나고 그들의 이야기를 듣거나, 세상의 일을 하나하나 짚어가면서 그 문제를 이야기를 하다 보니 어느새 또 일 년이 지났다는 것이다. 나이가 먹으면 시간이 지나는 것이 같다고 했던가? 생각해보면 그 말이 딱 맞는 듯하다.

 

10대 때 처음으로 작곡이라는 것을 해서 상을 받았을 때, 나는 대한민국 최고의 작곡가가 되겠다고 생각을 한 적이 있다. 그래서 많은 노력을 했고 나름대로 이름께나 알렸다. 그런데 어느 순간에 나는 세상을 돌아보고 사람들을 만나기 시작하면서, 그런 젊은 시절의 생각은 까맣게 잊어버렸다.

 

 

그리고 이제는 기자라는 명함을 남들에게 건네는 사람이 되었다. 뒤틀어진 세상을 바로잡기 위해서, 또한 따듯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하기 위해서 시작한 일이다. 나에게 주어진 일을 최선을 다해서 한다는 것이 올해 첫날 가졌던 생각이다. 하지만 과연 난 그렇게 최선을 다한 한 해를 살았을까?

 

이제 보름 남짓 남은 2014. 15일 동안 과연 올 한 해 내가 정한 일들을 제대로 마무리 할 수는 있는 것일까? 그런 생각을 하니 지끈거리던 마리가 가시는 듯하다. 오늘 약속을 한 곳을 찾아가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1231, 올 한 해 내가 꼭 이루고 싶었던 일을 이루는 해로 기억하고 싶다.

사람들은 일 년이 끝나 가면 무엇인가 자신의 일 년 동안 발자취를 기억하고는 한다. 남들은 7대 뉴스네 10대 뉴스에 하지만, 참 그렇게 바쁘게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난 그렇게 많은 뉴스거리가 없는 듯하다. 고르고 또 골라보았자 단 5개가 전부이다. 그것도 우격다짐을 만들어 달랑 5개의 나름 의미 있는 거리를 찾은 듯하다.

 

사람마다 살아가는 방법도 틀리다. 그리고 그것을 즐기는 방법 역시 다르다. 누구는 무엇을 어떻게 했느냐는 남들이 왈가왈부할 일이 아니다. 그것은 본인만의 사고요, 본인이 이것이 내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으로 족한 것이라 생각한다. 하기에 나 스스로 이것을 내가 2013년의 5대 뉴스라고 생각하면서 그것으로 올 한 해를 정리하고자 함이다.

 

 

1. 오마이뉴스 명예의 전당에 오르다

200895일에 오마이뉴스에 기사를 하나 보냈다. 그리고 1년이 지난 2009928일부터 본격적으로 오마이뉴스에 문화재 답사 기사를 쓰기 시작했다. 그리고 2012년에 1,000번째 기사를 송고를 했다. 그리고 오늘까지 1,239개의 기사를 썼다. 222일 오마이뉴스에서 기자에게 주는 최고의 상인 명예의 전당에 올랐다. 아마도 이 날은 내가 그동안 살아오면서 인생의 한 정점을 찍은 날이라고 생각된다.

 

 

2. e수원뉴스 특별시민기자되다

2013225일 수원으로 올라 온지 14개월. 지난해 813일부터 e수원뉴스에 글을 쓰기 시작했다. 그리고 나름 많은 활동을 해서인가 225e수원뉴스 특별시민기자로 위촉을 받았다. 1년 동안 열심히 기사를 쓰라는 격려일 것이다. 그래서인가 꽤 많은 곳을 찾아다니면서 취재를 하고 기사를 썼다. 2013년 한 해 동안 430건의 기사를 썼다. 지금 생각해도 1년이라는 시간이 언제 지났는지, 얼마나 많은 땀을 흘렸는지 모르겠단 생각이다.

 

 

3. 대단한 산삼한 뿌리를 캐다

남들이 생각하면 웃을 수도 있다. 얼마나 이야깃거리가 없으면 산삼을 캔 것을 다 이야기를 하는가 하고. 하지만 2013년 한 해 정말 열심히 산행을 했다. 그리고 많은 것을 자연에서 얻고 많은 사람들과 나누었다. 5117구짜리 산삼 한 뿌리를 캤다. 남들은 어쨌냐고 묻는다. 혹 팔아먹은 것은 아니냐고. 천만의 말씀이다. 함께 산행을 한 아우가 꼭 필요한 것이기에 주어버렸다. 내가 캔 것 내가 주었는데 이유가 있을 수는 없지 않은가?

 

 

4. ‘생태교통 수원2013’에 살다

9월 한 달 참 지겨우리만큼 날이 뜨거웠다. 연일 30도를 웃도는 더위 속에서 살았다. 한 달 동안 차 없는 거리의 시범을 보인 수원시 팔달구 행궁동. ‘생태교통 수원2013’은 전 세계가 주시하는 가운데 수원에서 열린 국제적인 환경 프로젝트이다. 한 달 동안 생태교통 프레스센터를 거의 혼자 지키며, 소소한 사람들의 크고 작은 이야기들을 전했다. 오늘 내 블로그(http://rja49.tistory.com) 보니 121개의 생태교통 관련 글이 남아있다. 생태교통의 세세한 것까지 기록을 한 나름대로의 자산이란 생각이다.

 

 

5. ‘258의 사람을 만나다.

사람들은 살면서 많은 사람들을 만난다. 그것이 어떤 이유에서인지, 혹은 왜 만나야 하는지도 나름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올 한 해 나는 어떤 사람들을 만났을까? 돌이켜보면 2013년만큼 많은 사람들을 만나적은 없을 듯하다. 14일 남수동의 허름한 국밥 집에서 막걸리 잔을 놓고, 임애월 시인과 함께 한 후 올 한해 기사를 쓰면서 내가 만난 사람들이 자그마치 258. 적지 않은 사람들과 마주앉아 이야기를 주고받았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과의 교분도 쌓인 것이 아닐까? 세상은 어차피 사람들과의 만남에서 사는 것이니 말이다.

 

사는 것은 흥미롭다. 그리고 그 삶의 이야기 속에 한 해가 저문다. 이제 2013년이 딱 이틀 남았다. 그 이틀 동안 한 해를 정리하는 날을 삼아 근신을 해야겠다. 언제나 맞이하는 새해지만, 2014년은 인생의 또 다른 전환점이 필요한 듯해서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