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송 몇 그루가 만들어 내는 멋진 풍광. 그리고 주변으로 흐르는 물과 바람에 바스락거리는 나뭇잎. 빼어난 주변경관과 무슨 이야기 하나 있을 듯한 분위기. 바람과 물, 송림이 함께 어우러져 아름다운 자태를 만들어 내는 곳. 이런 곳이 바로 누정를 짓는데 꼭 필요한 요건이다.


경북 영주 소수서원 입구를 들어서 송림 사이를 지나는 길, 하늘 높게 자란 노송들이 즐비하다. 열을 맞추어선 노송 사이를 지나면서 깊은 호흡을 한다. 솔향이 코끝을 간지럽힌다. 이런 좋은 송림에서 사람들은 노송의 자태를 닮아 푸른 마음을 가졌던 것일까? 물소리가 나는 곳으로 다가가 건너다보니, 내를 건너 노송 몇 그루와 함께 어우러진 정자가 보인다.

 

 

500년 세월 고고한 자태를 지니다


취한대, 조선조 명종 5년인 1550년, 당시 풍기군수이던 이황선생이 처음으로 지은 정자다. 이 아름다운 곳에 정자를 짓고, 소수서원의 원생들이 시를 지으면서, 청운의 꿈을 키우도록 한 것이다. 누구인들 이 아름다운 풍광에 젖지 않았을까? 아마도 이런 곳에 지은 이 취한대로 인해 수많은 젊은이들이 풍운의 끔을 안고 큰 발걸음을 옮길 수가 있지 않았을까?


취한대를 오르기 위해 내를 건너간다. 물살이 흐르는 곳에 시멘으로 넓적하니 징검다리를 만들어 놓았다. 내를 건너 천천히 취한대를 향한다. 그저 바쁜 일이 없다. 이 절경에 나를 맡겨본다. 그것이 자연과 하나가 되는 길이다. 바쁜 걸음을 걷다가도 이런 곳을 만나면, 그저 시간을 붙들어 놓은 듯 여유를 부릴 수가 있다.

 


바쁠 길 없는 여정, 서낭에 돌을 놓다


가는 길에 보니 서낭이 있다. 예전 이 내 곁으로 난 길을 따라 걷던 사람들이, 여정의 평안함을 위해 돌 몇 개를 올려놓고 안전을 빌었을 것이다. 서낭 주변에는 금줄이 처져있는 것을 보니. 주변 마을에서 이곳에 제라도 지내는 모양이다. 아마도 오랜 시간 그렇게 사람들과 함께 했을 것이다. 


주변에 구르는 돌 하나를 집어 서낭에 던진다. 돌과 돌이 부딪치며 내는 "딱" 소리가 경쾌하다.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답사를 하는 나로서는 이렇게 서낭을 만날 때마다 돌 하나라도 더하고 간다. 그 숱한 여정의 무탈을 위하는 마음에서이다.

 

 


정자는 보수를 하였는지 말끔하다. 단청을 하지 않은 맨살을 드러낸 나무들이 소수서원과 어울린다는 생각을 한다. 주변의 소나무들이 오히려 이 맨살의 나무들을 더 아름답게 치장을 해주는 듯하다.


호연지기를 키우는 정자, 취한대


‘취한’이란 맑은 물 푸른 솔과 함께 호연지기를 키우라는 뜻이다. 이렇게 맑은 물이 흐르고 노송이 푸르른 자태를 자랑하는 곳이라면, 그 누군들 호연지기를 키우지 않으리오. 아마 젊은이들이 이 취한대를 자주 찾아드는 것도 그런 꿈이 있기 때문인가 보다.


취한대를 보고 있는데 젊은 남녀들이 앞을 질러간다. 취한대 마루에 앉아 담소를 하는 모습을 보며 미소를 짓는다. 세월은 지나고 사고는 달라져도, 아름다움을 느끼는 마음은 예나 지금이나 다름이 없나보다. 젊은이들은 무엇이 그리 즐거운지 연신 웃음소리가 그치지 않는다. 옛 소수서원의 원생들도 이들과 같은 모습이었을까? 시를 짓고 세상을 논하고 자신을 알아가고, 아마 그런 꿈을 만들었을 것이다.

 


취한대의 모습에 녹아본다. 저 대들보 위에 그동안 얼마나 많은 젊음의 이야기가 쌓여있을까? 그 이야기를 훌훌 털어내어 한 아름 엮어내고 싶다. 그 이야기들을 오늘 꿈을 잃어버리고 대학이라는 문을 향해 달려가고만 있는, 이 시대의 젊은이들에게 들려주고 싶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