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충주시 신니면 문숭리에 소재한 사적 제445호 숭선사지.고려시대부터 이곳에 자리했다는 숭선사지, 이 거대한 절이 언제 사라졌는지 알길은 없다. 폐허가 되어 옛 영화를 찾아볼 수는 없지만, 절터 안에 널린 석조물로 보아 예전의 그 규모를 가늠할 수가 있다. 밤나무 아래 커다랗게 쌓아올린 와편 더미. 그 하나만으로도 오래전 영화를 찾아볼 수 있으니 말이다.

숭선사는 고려 광종 5년인 954년에 광종의 모후인 신명숭선황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워진 원찰이라고 전한다. 숭선사는 한강 이남에서 최초로 확인된 고려시대 원찰이라는 것에서 그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절 곳곳에 들어난 석조물, 그것만으로도 대단해

숭선사지를 찾아가 보았다. 마을의 안길을 따라 들어가다가 낮은 산길을 조금 오르다가 보면, 여기저기 석재가 널려있는 모습이 보인다. 널려있는 석조물들을 보아도 예전의 그 그 규모가 짐작이 간다. 이렇게 거대한 사찰이 어떻게해서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린 것일까?

지금까지 확인된 것만 보아도 상당한 사찰이었음을 알 수가 있다. 금당터와 배수로, 남문지, 담장터 등이 확인이 되었다는 숭선사지. 사지 안을 조금만 둘러보아도 옛날의 화려했던 흔적이 그려진다. 더욱 왕의 모후의 명복을 비는 원찰로 창건하였으니 그 규모가 어떠했을까?



1980년 초 절터 아래 형성한 숭선마을에서 <숭선사>명 기와가 발견이 된 후 주목을 받은 숭선사지. 그 곳에서 금동보살두, 분청사기 장군 등 많은 유물이 발견이 되었다고 한다. 널려있는 수많은 석재들을 보아도 그 규모가 상당하다. 절터 곳곳을 돌아보다가 보니 머릿 속에 숭선사의 옛 모습이 조금은 그려지는 듯도 하다.

조선 성종 10년인
1497년과 명종 6년인  1551년, 그리고 선조 12년인 1579년에 중창을 한 것으로 밝혀진 숭선사지는 조선조까지도 그 대 가람으로서의 웅장한 모습을 지켜왔다고 한다.

 


세월이 아무리 흘렀다고 해도 그 폐사지가 된 절터 안에 남아있는 석조물들. 그리고 와편더미. 그런 것에서 찾아볼 수 있는 많은 이야기들은 숭선사지의 옛 영화를 그려보는데 부족함이 없다. 전국을 다니면서 만나보는 옛 절터 하나하나가 소중하개 다가오는 것은 바로 남아있는 옛 흔적 때문이다. 그런 모습이 있어 나그네의 발길은 더욱 빨라지는지도 모르는 것이고.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