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을 날마다 해체하는 여인이 있다. 도대체 집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 것일까? 화가 박남희(여, 49세, 안양시 동안구 평촌동)에게 집이란 어떤 의미일까? 그리고 왜 그냥 집이 아니라, 집을 모두 펼쳐서 그림 안에 집어넣었을까? 3월 3일 오후에 평촌동 작업실에서 만난 그녀의 모든 것이 궁금하기만 하다.

“나의 조형예술은 ‘집’을 바라보는 시각으로부터 시작을 합니다. 집이란 사람이 가장 많은 시간을 그 안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하기에 집은 남다를 수밖에 없는 것이죠. 그것을 바라보고 관심을 갖는 대상은 일상적이기 때문입니다. 또 다른 의미에서 일상은 ‘일탈’을 도출하는 ‘꿈’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화가 박남희. 안양시 동안구 평촌동 귀인중학교 앞 작업실에서 만났다


‘꿈’을 집이라는 이미지로 승화시키는 화가

화가 박남희는 그 동안 네 번의 개인전을 열었다. 2003년 성보갤러리에서 제1회 개인전을 연 후, 2008년에는 세종문화회관에서 2회 개인전을 열었다. 그리고 2009년에는 관훈갤러리에서 3회를, 2010년에는 서울남부지방검찰청 갤러리에서 현대미술 초대전을 열었다. 그동안 단체전도 열심히 했다.

1999년 전통과 현대의 만남전을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연 것을 비롯하여, 2008년 중국에서 한일문화교류전, 2009년에는 공주 원골에서 예술과 마을 설치제, 2010년 2010 Project- C전 등 20여 회의 단체전을 열었다. 현재 서울미술협회 회원이면서 아트플래시의 회원으로 활동을 하고 있다.

“저는 그림을 늦게 접했어요. 어려서부터 시작을 한 것은 아닙니다. 처음에는 취미로 그림을 그리게 되었는데, 그런 작업을 하는 것이 너무나 즐거워서 늦게 그림을 시작했죠. 30대 초반에 시작한 그림이, 이제는 전업화가가 된 것이죠.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에서 회화를 전공했는데, 46세에 졸업을 했으니 참 늦은 셈이죠.”

그런 그녀가 그림에 푹 빠진 것이다. 집을 풀어 그림으로 표현을 하는 그녀의 작업은 늘 꿈으로 가득하다.

“꿈을 집이라는 이미지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죠. 물론 현실 세계에서는 불가능한 사고나 감정이죠. 하지만 그림 속에서는 이런 모든 것들이 다 가능하죠. 집을 바라보는 시각을 여러 가지로 표현을 하고, 그것을 펼쳐 놓는 것입니다. 그러다가 보면 그 안에 ‘꿈’을 그려 낼 수가 있는 것이죠,”

'집의 조각들'이란 개인전을 관훈크럽에서 기졌을 때의 작품 


그림속의 색채의 조화로움에 희열을 느껴

화가 박남희, 그녀의 그림 속에는 집안의 모든 것들이 나열이 되어있다. 하지만 그녀는 그림 속의 이미지보다 오히려 색채를 중요시 한다는 것이다. 그런 색채의 조화를 그려내다가 보면, 현실의 표면적인 현상보다도 본질과 자아의 내면세계를 더욱 풍부하게 만든다는 것. 그것은 현실 속에 존재하지 않는 것도, 이미지로 규칙과 제약이 없는 일정한 질서 속에 자유로움을 표현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그림을 그린다는 것은 즐거움입니다. 그림을 그리면서 희열을 느끼는 것이죠. 화가는 만족을 할 수 없습니다. 그림을 그리면서 끝없이 좌절하고, 다시 일어서기를 반복하는 것이죠. 그림을 그리면서 그 작업 안에서 느끼는 희열이 없다면, 아마도 아무도 그림을 그릴 수가 없을 것입니다. 그런 좌절과 희열이 반복되면서, 나의 무의식이 하고 싶은 것과 원하는 것을 가장 직설적이고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또 다른 욕망이라고 생각합니다”

박남희 작 <다섯 개의 구름기둥>. 그녀는 집을 평면화하여 그 안에 꿈을 그려 넣는 작업을 한다


그녀의 그림 속에는 일상적이고 친숙한 사물인 집이라는 건축이미지를 해체하여 평면화 시키고 있다. 그 안에 친숙하고 구상적 이미지인 하늘이나 식물 등의 이미지를, 평면과 입체의 이중적 공간을 다시 한 화면 속에 안착시킨다. 그것은 사물에 대하여 낯설음과 익숙함을 동시에 깨달아가기를 바라는 것이다.

그림은 내 영원한 동반자, 돈으로 따지고 싶지 않아

“저는 제 그림을 보는 사람들이 가장 편안하고 따듯한 느낌을 받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마치 이 그림을 보면서 본인의 현실적인 일탈을 벗어났으면 하는 바람이죠. 책장 속에 숨어 있는 수수께끼 같은 계단, 또는 반복적인 패턴화 된 층계, 안과 밖이 모호한 문 등, 초현실적인 이미지의 구성을 그런 마음의 평화를 얻기를 바라는 것이죠,”



그림을 그리다가 말고 너무 오랜 시간을 빼앗는 것 같아 죄스럽다. 하지만 그림을 바라다 볼수록 자꾸만 빠져드는 이상한 마력 같은 것을 느낀다. 아마도 화가 박남희의 말대로 그 그림 속에서 나의 일탈을 벗어나고 싶은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림을 그리기 위해 들어가는 비용은 어떻게 하느냐고 바보 같은 질문을 해보았다. 가정이 있으니 가족들의 도움도 받고, 초대전도 해서 충당하고 있다는 대답이다. 그림을 그릴 때는 팔기위한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는 단호하게 대답을 한다.

“저는 팔기 위해 그림을 그리지는 않습니다. 예술이라는 것이 돈이 목적이 된다면 그 안에 참다운 사고가 피어나질 않는다는 생각입니다. 예술은 신선해야 아름다운 것 아닌가요?”

되묻는 질문에 말문이 막힌다. 그저 세상 속물인 기자 하나가 예술가의 자존심을 건드렸나보다. 3~4월 경에 그룹전이 있어 요즈음은 하루에 7시간 이상을 작업에 몰두한다는 화가 박남희. 그 전시회가 기다려지는 것은 또 다른 건조물의 펼쳐짐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