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잎황태정식. 보기만 해도 군침이 돈다


 

정조대왕이 만든 시장이라는 팔달문 앞의 시장. 딱히 팔달문 시장이라고 하지만, 사실 그 일대는 모두 같은 상권이었다. 그러던 것이 장시가 형성이 된 후, 각자 상인회를 꾸며 분리가 된 것으로 보인다. 팔달문 시장은 1796년 화성이 완공되면서 장시가 개설이 되었다. 그 후 200여년이 지난 1989년에 팔달문시장 상인회가 창립이 되었다.

 

2005년에는 인정시장으로 등록을 하고, 2007년 시장 내의 거리 보수를 하였으며, 상인대학을 개설하고 상인회 교육관을 지었다. 2009년에는 제15회 팔달문 거리축제를 열었으며, 2010년에는 팔달문 특화육성사업을 시작했다. 2013년 팔달문 시장 상인회에서 협동조합으로 마련한 수라상 ‘꽃담’을 개장했다.

 


 수원천 변에 자리한 '꽃담'의 실내


 

삼심(三心)을 요리하는 수라상 꽃담.

 

삼심(三心)은 세 가지 마음을 말한다. 진심(진정한 마음), 연심(사랑하는 마음), 공겸심(공경하는 마음)을 요리에 담아낸다는 것이다. 수원시 팔달구 팔달로 1가 144번지. 수원천에 조형된 남수문 앞쪽 2층에 자리하고 있는 꽃담은 우리의 음식을 고집하는 식당이다. 꽃담에서는 일제 화학조미료를 사용하지 않으며, 6년 된 연근과 오가피의 효소로 건강을 요리한다.

 

7월 5일(금) 꽃담을 찾았다. 올해 개장을 한 꽃담은 분위기부터가 남다르다. 수원천 변을 모두 유리로 조성해 밖에 시원하게 내다보인다. 화성이며 지동시장, 수원천을 걷는 사람들이 보인다. 창가에 늘어놓은 각종 토기들이 그런 정경들과 잘 어울린다는 생각을 한다. 실내에 나무로 된 식탁과 의자가 예스럽다는 생각을 들게 한다.

 


 올해 열린 적국요리경연대회에서 연잎보쌈으로 금상을 수상했다 


 

점심을 같이하기로 한 분이 오셨다. 연잎 황태정식을 시켰다. 꽃담의 요리를 하는 분들(정운성, 이유림)은 올 6월에 열린 제5회 수원 전국요리 경연대회에서 ‘연잎 보쌈’으로 금상을 수상했다. 그만큼 정성을 다하고, 명예를 지키기 위해 요리를 한다고 한다. 이 꽃담의 주 요리는 연을 사용한다.

 

연근과 연잎의 효능을 살려 조리한 음식

 

수라상 꽃담에 음식은 연근과 연잎을 사용한다. 연잎 보쌈정식(12,000원), 꽃담 밥상(7,000원), 연잎 황태정식(12,000원), 연근 콩국수(6,000원), 녹두 삼계탕(12,000원), 연잎 보쌈(대, 35,000원. 소, 25,000원), 연근전(12,000원) 등이다. 연근과 연잎을 이용하여 조리한 음식은 의서에 그 효능이 잘 나타나 있다.

 

연잎의 효능을 보면 지방을 분해시켜 비만해소에 도움을 준다.(동의보감), 연잎을 차로 울어내 오래도록 마시면 늙지 않고 흰머리가 검게 변한다.(본초강목), 혈을 잘 순환하게 하고 어혈을 제거한다.(신동중약), 장복하면 사람의 마음을 맑게 하고 기분을 좋게 한다.(명의별록), 오래도록 마시면 인체의 온갖 병을 낫게 하고 몸을 좋게 만든다(동의보감) 등이다.

 

 

연근의 효능 또한 다양하다. 연근은 피로회복과 빈혈 예방, 심혈관질환 예방 및 엽산 보충, 변비예방, 뼈 강화, 피부노화방지와 피부미용 및 위 기능 강화, 지혈작용 및 소염작용, 두뇌발달 촉진 및 니코틴 배출 효과, 다이어트에 좋다 등이다.

 

차례대로 상이 차려진다. 꽃담의 김치는 연근김치이다. 배추김치 사이에 연근이 들어있다. 음식마다 연을 이용해 조리를 했다. 그만큼 이 집의 음식은 건강을 최우선으로 생각한다. 전국 요리경연대회에서 금상을 받을 만큼 자부심을 갖고 요리를 한다고 한다. 팔달문상인회 협동조합에서 문을 연 ‘수라상 꽃담’. 좋은 사람들과 찾아가 그 분위기에 젖어보길 권한다.

세계문화유산이자 사적 제3호인 수원화성은 그 축성을 규장각 문신 정약용이, 동서양의 기술서를 참고하여 만든 「성화주략(1793년)」을 지침서로 하였다. 재상을 지낸 영중추부사 채제공의 총괄아래 조심태의 지휘로, 조선조 정조 18년인 1794년 1월에 착공에 들어가 1796년 9월에 완공하였다.

 

화성은 정조 이산이 당쟁에 의한 당파정치 근절과, 강력한 왕도정치의 실현을 위한 원대한 정치적 포부가 담긴 정치구상의 중심지로 축성되었다. 또한 아버지인 장헌세자를 향한 효심과, 수도 남쪽의 국방요새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기도 했다.

 

 

 

축성 이전부터 몰려든 상권

 

성을 쌓기 위해서는 많은 물자와 인력이 필요하다. 화성은 축성을 할 이전부터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그리고 축성이 시작되자 그 수많은 사람들이 살아갈 수 있는 생필품은 물론, 물자조달을 위한 장거리가 형성이 되었다. 팔달문 앞에 있는 상권은 이미 정조 이산이 화성을 축성하기 이전부터, 이곳을 기점으로 난전을 형성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남수문을 복원하고 있는 곳에서 그 위편 매향동 방향으로 수원천을 따라 올라가다가 보면, 개울가에 세워 놓은 그림을 그려 넣은 안내판이 눈에 띤다. 팔달문시장에서 조성한 것으로 보이는 이 그림안내판은, 팔달문시장의 개장배경과 함께 정조 이산의 꿈이 이곳 상권에 함께 했음을 알려주고 있다.

 

 

 

정조 이산이 직접 6만냥이라는 밑천을 대주어 이룩한 시장. 남문인 팔달문 앞에 전국 각처에서 수많은 인재들이 몰려들어 시장을 일으킨 것은, 바로 이러한 정조의 전폭적인 지지 때문이었다. 정조는 이 시장으로 인해 경제를 살리고 더욱 강한 왕권을 형성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한 것이다.

 

전국의 선비상들이 몰려든 수원

 

유상, 일반적인 장사치들이 아니다. 유상이란 수원 팔달문 앞에 자리를 잡고 장사를 하는 사람들이지만 그들은 선비들이었다. 물론 이 유상이란 말은 버드나무를 심은 수원을 ‘유경’이라 부른데서 비롯한 용어이다. 이들을 새롭게 조명해서 부르는 용어가 바로 유상이며, 전국 각처에서 모인 선비들로 이루어진 장사치들을 뜻한다. 그래서 이 유상들은 정조의 효심과 장조의 강한 왕권을 기반으로 한 국가를 건설하려는 뜻에 동참을 한 사람들이었다.

 

 

 

그 유상들 중에는 윤선도 가문의 후손들을 비롯하여, 전국의 내노라하는 선비들이 참여를 하였다. 정조는 이들에게 갓과 인삼의 유통권을 주었다. 갓과 인삼의 유통권을 갖는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수원 팔달문 시장의 우리나라 시장경제의 중심에 섰다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유상의 근거지인 수원의 팔달문 시장. 지금도 이곳은 팔달문시장을 중심으로 주변에 7~8개의 시장이 모여 있는 상권의 중심지이다. 수원시는 이곳을 지난해 8월부터 올해 2월까지 사업비 12억원(국,·도비 포함)을 투자해, 유상박물관과 팔달문시장 문화센터, 조형물 설치, IT 콘텐츠 제작 등 1차 사업을 완료했다. 또한 2차 사업은 12월까지 10개월에 걸쳐 추가로 진행될 예정이다.

 

 

 

팔달문 시장 등 재래시장 경쟁력을 키워주어야

 

그러나 이런 제반의 행위들이 의미가 있는 것인지 생각을 하게 만든다. 수원시는 수원역사의 AK백화점을 비롯하여 역세권 상권을 조성한다며 대형 롯데쇼핑물 등을 허가를 내주었다. 거기다가 호매실 등에는 대형 매장인 홈플러스 등이 속속 입점을 위한 공사에 착수를 했다. 이러한 대기업의 물량공세에 과연 기존의 상권들이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인가?

 

어찌보면 시가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유상선포식’ 등을 하고 재래상권을 살리겠다고 하지만, 이곳에 있는 상인들은 그리 마음이 편치가 않다고 한다. 아무래도 그러한 대기업의 물량공세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나와야한다는 것이다.

 

 

일부 의원들은 대형마트 등의 영업시간을 한 달에 두 번정도 쉬는 날을 제정하고, 영업시간을 단축한다고 하지만, 그도 '눈 가리고 아웅' 이라는 것이다. 집집마다 대형 냉장고 등을 갖추고 있는 작금에 하루 정도 대형마트 등이 문을 닫는다고 해서, 재래시장으로 상권의 중심이 옮겨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결국 근본적인 재래시장을 보호할 수 있는 강력한 조치가 준비되지 않는다면, 이산 정조의 꿈은 220년이 흐른 지금 끝이 날 수 밖에 없을 듯하다. 세상은 변한다고 하지만, 그래도 지켜져야 할 것은 지켜져야 하지 않을까? ‘유상선포식’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유상들이 옛 선조들의 당당함을 잃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단 생각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