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 부석사(浮石寺). 우리는 흔히 부석사라고 하면 경상북도 영주시에 소재한 부석사를 먼저 생각한다. 하지만 서산 부석사도 영주 부석사와 같이 한자로도 사찰명이 일치한다. 서산 부석사는 신라 때 의상대사가 창건 한 절로 전해진다.

 

부석시 일원은 도비산의 강무지로 알려져 있다. 강무지란 임금이 직접 참여하여 군사훈련을 한 곳임을 말한다. 조선조 제3대 태종이 14162163남인 충령대군(후 세종)과 함께 군사 7,000명을 이끌고 이곳에서 사냥몰이를 하였다. 임금이 직접 참여한 이러한 군사훈련을 강무(講武)’라 칭한다.

 

훈련이 끝난 후 태종과 충령은 해미현에서 숙박을 한다. 원래 이 강무일정은 28일에 서산에 도착하였으나, 비가 내리는 바람에 210일까지 서산에서 머물고, 11일에 태안 순성에 이르러 15일까지 굴포의 개착상황과 여러 곳을 거쳐 도비산에서 강무를 연 것이다. 태종이 이곳을 강무지로 택한 곳은 도비산 일원이 왜구의 침입이 잦았기 때문이다.

 

 

큰 돌이 허공에 떴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부석(浮石)

 

신라 제28대 진덕여왕 4년인 650년에 복흥사라는 절에 의상이라는 승려가 있었다. 의상은 큰 뜻을 품고 당으로 가서 지엄법사 밑에서 공부를 했다. 의상이 있던 지장사 아랫마을에는 젊고 예쁜 <선묘낭자>가 살고 있었는데, 이 낭자가 의상스님에게 반하고 만 것. 그래서 문무왕 1년인 661년에 의상이 신라로 돌아가려하자, 선묘낭자는 자신의 마음을 의상에게 밝혔다. 하지만 의상은 스님이기 때문에 허락을 할 수 없다고 거절했다는 것이다.

 

의상이 배를 타고 떠나려하자 선묘낭자는 스님의 복색을 하고 의상을 따라가 평생 시종을 들 것이라고 부탁을 했다. 하지만 그도 물리치자 선묘낭자는 바다에 뛰어들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것이다. 그 뒤 선묘낭자는 용이 되어 의상을 따라 해동 조선으로 나왔다고 한다. 의상은 자신 때문에 스스로 목숨을 끊은 선묘낭자를 위해, 절을 세워주기로 하고 절터를 찾던 중 서산 도비산 중턱에 절을 짓기로 하였다.

 

 

문무왕 10년인 670년에 도비산 중턱에 절을 짓기 시작하자 마을 사람들이 심하게 반대를 했다. 마을 사람들이 반대를 하는 것도 무릅쓰고 절을 계속 짓자, 마을 사람들이 몰려와 절에 불을 지르려고 하였다. 그 때 큰 바위 하나가 허공에 둥둥 떠 오더니 공중에서 큰 소리가 났다. “너희들이 절 짓는 것을 방해한다면 이 큰 바위로 너희들의 머리를 다 부수어놓겠다. 지금 당장 물러가라고 꾸짖었다. 사람들은 혼비백산 달아나버렸다.

 

이렇게 허공에서 소리를 친 것은 바로 선묘낭자의 화신인 용이었다는 것이다. 그때부터 이 절 이름은 도비산 부석사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바로 부석이라는 이름을 붙이게 된 이유이다. 결국 이 부석사는 큰 바위가 하늘에 둥둥 떠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임을 알 수 있다.

 

 

시민기자들이 찾아간 부석사

 

23일 일정으로 떠난 e수원뉴스 시민기자 워크숍. 그 첫날인 828일 서산 해미읍성을 거쳐 간월암의 풍광을 만난 후 찾아간 부석사. 지난 해 11월 이곳을 들려간 후 10개월 만에 다시 찾은 부석사이다. 이곳은 들릴 때마다 마음이 아픈 곳이다. 이 부석사에 봉안이 되어있던 700년 전인 고려 충숙왕 때 부석사에 봉안했던 금동관음보살좌상이 전문 절도단에 의해 일본에서 다시 우리나라로 반입이 되었다.

 

이 절도단은 자신들이 도적이 아닌 애국자이기 때문에 범법자로 재판을 받을 것이 아니라 국민재판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한 아픔이 있는 절 부석사를 찾은 시민기자들. 경내를 다니면서 사진촬영을 하고 꼼꼼히 기록을 하기도 했지만, 과연 이 부석사에 어떠한 역사적인 사건이 있었는지는 알고는 있는 것일까?

 

 

선묘낭자의 모습을 담아 모셔놓은 선묘각에 들려 삼배를 올린 후 다시 새롭게 조성한 마애불상 앞으로 다가선다. 저 밑에 보이는 마을길을 달리는 차들이 조그마한 장난감만 같다. 마애불 앞에 머리를 조아리고 여정의 무사함을 기원한다. 그리고 의상스님을 사모해 애틋한 사연만 남기고 용이 되었다는 선묘낭자가 다시는 그런 아픔을 당하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도 전해본다.

수종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남양주 봉선사의 말사이며, 운길산 8부 능선에 자리하고 있는 조선 초기에 중창한 사찰이다. 소재지는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북한강로 433번길에 있다.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수되는 두물머리(양수리)를 내려다보고 있는 수종사는, 그 경계가 빼어난 사찰로 명성을 얻고 있다.

 

수종사라는 절 이름은 1458년 세조가 신병치료차 금강산을 유람하고 돌아올 때, 밤이 되어 이수두(二水頭=두물머리)에서 하룻밤을 묵게 되었다. 밤이 늦었는데 운길산 어디선가 은은한 종소리가 들려와 다음 날 숲 속을 둘러보게 하니, 천년고찰의 폐허 바위굴에는 18 나한상이 줄지어 앉아 있었는데 그 바위굴에서 물방울이 떨어지는 소리가 종소리처럼 들렸던 것을 알게 되었다.

 

이에 세조는 감동하여 왕명으로 지금의 자리에 절을 중창케 하고 절 이름을 수종사라 부르도록 하였다고 전한다. 조선 시대의 명문장가인 서거정은 수종사에서 두물머리를 내려다보고, 동방의 사찰 중 제일이라 했을 정도이다. 수종사 절 마당에서 내려다보는 북한강의 경관이 그 정도로 빼어나다.

 

 

8각으로 조성한 조선시대의 부도

 

수종사 경내에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7호인 남양주수종사부도(南楊州水鍾寺浮屠)’가 자리한다.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두는 탑이다. 수종사의 부도는 전체적으로 8각을 기본으로 하여, 2단을 이루는 기단 위에 탑신을 올리고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수종사를 다녀온 지도 벌써 한 달이 훌쩍 자났다. 하지만 문화재 답사라는 것이 다녀온 후 한꺼번에 모든 것을 다 기록할 수가 없으니, 이제라도 정리를 하는 수밖에. 수종사 부도의 기단부는 긴략하게 2개의 돌로 마련하였다. 일반적으로 부도의 경우 상, , 3단으로 구성되는데 비해 특이한 형태이다.

 

 

몸돌에 새긴 구름과 용, 장엄해

 

부도의 탑신인 몸돌은 둥근 형태가 변하여 거의 사각형에 가깝고, 용의 모습을 매우 도드라지게 새겨 넣었다. 구름과 함께 새긴 용은 섬세하지는 않으나, 그래도 장중함을 더하고 있다. 지붕돌은 두꺼운 편이고, 처마는 느린 U자형을 이룬다. 꼭대기에는 노반(머리장식받침) 위로 보주(구슬모양 장식)와 보륜(수레바퀴모양 장식) 등이 남아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

 

지붕돌 낙수면에 남아 있는 기록에는 <태종태후정의옹주사리탑시주○○유씨금성대군정통사년기미십월일입>고 적고 있다. 이 기록으로 보아 조선 세종 21년인 1439년에, 왕실의 뜻을 모아 이 부도를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부도 안에서 고려시대 청자로 만든 항아리와 은으로 만들어 금을 입힌 6각의 단지(보물 제259)를 발견하여,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태종의 다섯째 딸인 정의옹주의 부도로 알려진 수종사 부도. 두 마리의 용이 구름 위에서 여의주를 움켜잡고 비상하려는 용트림이 새겨져 있는 이 부도는, 화려하지는 않지만 운룡문 만으로도 장엄함을 엿볼 수가 있다. 원통형으로 조성한 탑신의 둘레가 218cm인 수종사 부도. 575년 세월을 그렇게 수종사에서 두물머리를 바라다보고 자리하고 있다.

 

찻집인 삼정헌 옆으로 다가가 두물머리를 내려다본다. 과거에는 수많은 배들이 드나들었을 두물머리. 지금은 그저 무심한 바람 한 점이 볼을 스치고 지나간다. 다산 정약용은 15세에 수종사에 노닐다라는 글을 지었다. 이곳이 다산의 놀이터였기 때문이다.

 

다래덩굴 드리운 비탈진 섬들이나

경내로 드는 길은 과연 어느 곳인고?

응달 숲 속에 아직 묻은 눈이 남아있고

양지바른 물가엔 아침햇살에 이슬이 반짝인다.

샘물이 솟아 땅은 표주박처럼 움푹하고

종소리는 메아리쳐 깊은 산속으로 흘러가네.

내 여기를 수없이 노닐었지만

그 그윽함을 아직 다 모르겠구나.


전북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에 가면 전북 유형문화재 제93호인 여산동헌이 자리하고 있다. 이 동헌 건물은 조선 시대에 고을의 수령이 집무를 보던 청사이다. 이 건물은 3단의 계단식 건물 제일 위에 자리를 잡고 있다. 맨 아래는 대원군의 쇄국정책의 일환으로 전국을 피로 물들인 병인박해로 인한 아픔의 장소이다.

조선 고종 3년인 1866년 정월에 대원군은 전국에 천주교의 탄압 교령을 포고했다. 병인사옥, 혹은 병인박해라고 하는 이 천주교의 탄압 포고령으로 인해 여산 동헌의 맨 아래 뜰에서는 천주고 신도들을 잡아와, 얼굴에 물을 뿌리고 백지를 여러 겹 붙여 호흡을 못하게 만드는 백지사를 행한 곳이다.


한식 건물의 아름다움을 지닌 동헌

여산동헌은 조선 조 말기에 벽과 방의 구조를 일부 개조하기는 했지만, 비교적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는 건물이다. 특히 추녀와 대청마루에서 한옥의 멋스러움이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동헌 앞뜰 우측에 서 있는 수령 600년이 넘는 느티나무는 이 동헌의 역사를 말해주고 있다.

전북 기념물 제116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느티나무는 여산 동헌과 주변에 7그루가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점으로 보아, 여산 동헌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 느티나무를 보면 여산 동헌은 조선조 태종 조에서 세종 조대에 설치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느티나무는 가슴 높이 둘레는 4.5m, 높이는 22m 정도이다.



여산동헌은 한옥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여산동헌을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구성되었다. 동헌을 바라보면서 좌측 2칸은 뒤로 물린 방을 드리고, 우측 세 칸은 마루로 놓았다. 이 대청에서 고을의 수령이 집무를 맡아 본 것이다. 여산은 고려 공양왕 3년인 1391년에는 감무를 두었고, 조선 태종 2년인 1402년에는 여산현으로 불렀다. 그 뒤 세종 18년인 1436년에는 원경황후의 외향이라 하여 군으로 승격이 되기도 했다.




동헌은 장주추를 써 높였다. 그리고 기둥은 보수를 한 흔적이 역력하며, 대청의 뒷벽은 판벽으로 구성했다.
 
동헌 한 편에 남아있는 아픔, 척화비

동헌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한옥의 멋을 그대로 들어내고 있다. 대청마루 밑은 앞을 벽으로 막아 그 안에 아궁이를 내고, 주초는 장초석을 사용했다. 마르를 높게 만들고 그 밑으로 아궁이를 낸 것도 이 건물의 특징이다. 대청의 뒷벽은 모두 판벽으로 마감을 했으며, 판자문을 내었다. 3단으로 구성된 축대 맨 위에 자리한 동헌. 아마 이곳에서 호령을 한다면 밑 뜰에 모인 사람들은 오금이 저렸을 것이다.


동헌 앞뜰에 서 있는 느티나무는 수령이 600년이 넘었다

동헌의 우측에는 일각문이 있는데, 그 사이에 비석이 줄지어 서 있다. 송덕비라도 모아 놓은 것일까? 그런데 그 앞에 철책으로 둘러 친 한 기의 비석이 눈에 띤다. ‘척화비’다. 대원군이 쇄국정책을 펴면서 전국에 세운 척화비 중에 하나이다. 그 비를 보면서 마음이 아프다, 저 비로 인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받고 이 앞에서 목숨을 잃었을 것인지.

더위는 한풀 간다고 하지만 아직 한 낮의 더위는 따갑다. 동헌마루에 올라 앉아 그늘을 드리운 느티나무를 바라다본다. 철 늦은 매미 한 마리가 목청을 돋는다. 저 매미도 이 여름이 가는 것이 안타까운가 보다. 세월은 그렇게 흘렀어도 동헌 앞마당의 느티나무가 변하지 않듯, 이곳의 아픔도 쉬이 가라앉지는 않을 것만 같다.

동헌의 경내에 서있는 송덕비와 그 앞에 섰는 척화비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