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익산시 웅포면 송천리에 소재한 숭림사. 고려 충목왕 원년인 1345년에 처음으로 창건된 선종 고찰이다. 그러나 그 이후에 어떻게 변천이 되어왔는지는 확실하지가 않다. 다만 숭림사의 대웅전인 보광전 중수기에 따르면 순조 19년인 1819년에 중수를 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숭림'이라는 사찰명은 중국의 달마대사가 숭산 소림사에서 9년간 앉아 도를 닦고 득도하여, 첫 선종사찰이 되었으므로 숭산의 '숭(崇)'자와 소림의 '림(林)'자를 따서 숭림이라 이름 지었다고 전한다. 

 

 

맞배지붕인 보광전은 단아한 아름다움 배어있어

 

숭림사는 보광전이 대웅전이다. 보광전 안에는 목조석가여래좌상을 안치하였는데, 복장기문에 의하면 조선조 광해군 5년인 1613년에 조성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런 복장기문에 의해 보광전은 17세기 이전에 지은 건물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 보물 제825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보광전의 규모는, 정면 3칸·측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다.

 

대웅전이 맞배지붕으로 구성된 예도 드문 경우이지만, 보광전의 건축기법과 법식이 특이해 조선조 후기 건축물 연구에 주목받는 문화재로 평가받고 있다. 다포계 맞배지붕으로 조성된 숭림사 보광전. 주변을 돌면서 살펴보면 참으로 단아한 멋을 느낄 수가 있다. 맞배지붕으로 지어진 화려하지 않은 보광전은 중간 중간 기둥들이 자연 재목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렇게 다듬지 않고 사용한 나무들이 그대로 자연을 느끼게 만든다.

 

 

 

자연석인 주추의 위를 평평하게 다듬은 것 또한 그러하다. 지붕의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한 구조물인 다포양식임에도 건물 옆면에 공포를 배치하지 않은 것 또한 특이하다. 화려하지 않고 단아하면서도 기품을 잃지 않은 숭림사 보광전. 보물로 지정된 까닭을 알 만하다.

 

보광전 안 닫집의 아름다움

 

보광전의 불상 안에는 용과 구름으로 조각이 된 화려한 닫집이 장식되어 있다. 보광전 건물 안쪽은 보 끝에 용머리를 조각해 놓았고, 기둥 윗부분에는 연꽃, 용의 몸, 용 앞발이 여의주를 쥐고 있는 건축 부재들이 화려한 모양으로 장식이 되어있다. 화려하지 않고 단아한 외부의 장식과는 달리, 보광전의 내부 장식은 화려하게 치장이 되어있다.

 

 

 

퇴색할 대로 퇴색이 된 닫집은 그야말로 목조각 예술의 극치를 표현하고 있다. 연꽃과 구름 용 등이 서로가 자태를 드러내고 있는 닫집은 요즈음의 닫집의 형태와는 차이가 있다. 퇴색한 색이 오히려 닫집의 아름다움을 배가시키는 듯하다.

 

보물 제825호 숭림사 보광전. 그저 낮은 야산 자락에 자리를 하고 앉은 전각은 언제나 그 자리에 있어야할 것처럼 자리를 하고 있다. 오래된 고향집을 찾은 것처럼 편안함을 주는 숭림사 보광전. 화려하지 않은 모습이 마음을 편하게 하기 때문인가 보다. 크고 화려하게 지어대는 요즈음의 건축물 때문에 오히려 크지 않고 화려하지 않은 숭림사 보광전이 더욱 값지게 느껴지는 것은 아닐까? 오래도록 그 앞을 떠나지 못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