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산청군 신등면 율곡사길 182(율현리)에 소대한 율곡사. 신라 경순왕 4년인 930년에 감악조사(感岳祖師)가 창건하였다고 전하는 절이다. 절과 관련된 사초 중 고려와 조선시대의 역사는 자세히 전하지 않지만, 현재의 대웅전은 2003년 해체과정에서 어칸 종도리 하부에서 강희십팔년기미월일상량기(康熙十八年己未月日上樑記)”의 묵서명 기록이 나와, 조선 숙종 4년인 1679년에 대대적으로 중수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율곡사의 대웅전은 보물 제374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정면 3, 측면 3칸의 팔작지붕이다. 지붕 무게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짠 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다. 대웅전 앞쪽의 어간문을 비롯한 문의 문살은, 여러 문양으로 복잡하게 꾸며 건물에 더욱 다양한 느낌을 주고 있다.

 

 

화려한 닫집 밑에 아미타삼존불상 모셔

 

건물 안쪽 천장은 우물 정()자 모양의 우물천장으로 만들어 천장 속을 가리고 있고 불단 위쪽으로 지붕 모형의 닫집을 만들어 놓았다. 율곡사 대웅전은 산 중에 자리한 건물치고는 비교적 큰 규모의 조선 중기 건물이다. 전체적으로는 간결하면서도 웅장한 멋을 갖추고 있어 조선조의 건축문화 연구에 소중한 문화재로 평가받고 있다.

 

대웅전 정면에 마련된 불단 위에는 닫집을 달아내고 그 밑에는 아미타삼존불상을 모셨다.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73호로 지정되어 있는 나무로 만든 아미타삼존불좌상이다. 가운데 본존인 아미타여래상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관음보살상이 배치되고, 오른쪽에는 대세지보살상이 자리하고 있다.

 

 

삼존불의 크기는 1m 이상의 사람의 키만 한 불상으로서, 자세는 등을 세우고 고개를 약간 숙인 모습의 반가부좌상으로 전체적으로 균형감 있는 모습이다. 중앙에 좌정한 아미타여래상은 머리의 육계는 구분이 명확치 않으나 정상계주와 중앙계주를 표현하였다. 나발의 표현은 촘촘한 편으로, 얼굴은 방형에 가깝고 턱의 선은 비교적 둥글게 처리하였다.

 

아미타여래상은 이목구비가 뚜렷하여 서로 조화를 이룬다. 짧은 목 아래로 삼도를 뚜렷이 표현하였다. 삼도란 수행의 3단계인 견도(見道) · 수도(修道) · 무학도(無學道)를 말한다. 삼도는 성문과 보살 모두에게 해당하는 수행의 3단계이다. 아미타여래의 법의는 양어깨를 모두 덮은 두꺼운 대의를 입었고, 가슴 아래로 수평의 군의자락이 보인다.

 

양손은 따로 만들어 끼웠으며 엄지와 장지를 맞대고 있는데, 그 사이에 작은 구슬을 쥐고 있다. 오른팔은 구부려 손바닥을 바깥으로 향한 채 어깨부위까지 들어 올린 상태이고, 왼손은 반가부좌한 오른발 위에 얹고 있다.

 

 

세분의 상이 흡사한 것이 같은 시기에 조성

 

관음보살상과 대세지보살상은 자세, 손모양, 얼굴, 법의 등 거의 모든 면에서 본존인 아미타여래상과 공통적인 특징을 보인다. , 두 보살상은 장신구를 전혀 착용하지 않았으나 화려한 보관을 쓰고 있다. 얼굴 표현은 아미타여래상과 같고, 다만 본존불에 비해 조금 길고 갸름한 편이다.

 

옷차림은 대체적으로 본존불과 같으나, 관음보살상은 오른쪽 어깨에 반쯤 걸친 소위 반단형식이며, 등 쪽에는 왼쪽 어깨에서 넘어온 대의자락이 보이는데, 이러한 표현은 아미타여래상과 대세지보살상의 경우와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규모는 1m 이상의 비교적 큰 크기의 아미타삼존불좌상으로, 전체적으로 균형적이고 안정감 있는 조형성을 지니고 있다. 삼존불의 특징이 거의 일치하여 같은 시기에 함께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복장 유물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조선전기에 제작된 작품으로 추정한다.

 

산청 율곡사에서 만난 대웅전과 아미타삼존불상. 문화재를 답사하면서도 이런 삼존불을 만나면 그 자리에 머리를 조아릴 수밖에 없다. 만나는 부처마다 한 가지 원은 꼭 하는 편이다. 그저 우리나라에 산재한 많은 문화재가 훼손이 되지 않기를 먼저 바란다. 그리고 아직도 제자리를 찾아오지 못하고 있는 많은 문화재들의 조속한 귀환을 바라는 마음으로.


옛 선인들은 정자에 자신의 아호나 이름을 붙이기를 좋아했는가 보다. 정자를 답사하다가 보면, 자신의 아호를 따서 ‘○○정’ 등의 이름을 붙인 곳이 상당하다. 경남 함안군 함안면 괴산리에 소재한, 경남 유형문화재 제158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무진정’도 그러한 정자 중 한 곳이다.

무진은 원래 조삼 선생의 호이다. 무진정은 조삼선생이 후진양성과 남은여생을 보내시기 위하여, 함안면 괴산리 지금의 자리에 직접 지은 정자이다. 이 정자를 자신의 호를 따라 ‘무진정(無盡亭)’이라 이름을 하였다. 무진정은 뒤로는 노송들이 자리를 하고 있고, 앞으로는 대밭이 자리하고 있어 한 겨울에도 푸른색을 잃지 않는 정자이기도 하다.


계절이 따로 없는 정자

무진 조삼선생은 조선조 성종 4년인 1473년에 태어나, 성종 20년인 1489년 진사시에 합격을 하였다. 그 후 중종 2년인 1507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함양, 창원, 대구, 성주, 상주 등 경상도 일대에서 부사와 목사를 역임하고, 내직으로 사헌부 집의 겸 춘추관 편수관 등을 지냈다.

이러한 조삼선생이 노후에 후학들을 가르치고, 찾아오는 동료들과 강론을 하고자 지은 정자무진정. 무진정을 찾아갔을 때는 앞으로 조성한 연못의 바닥을 고르기 위해, 몇 대의 중장비들이 연못 안에 들어가 굉음을 내고 작업을 하고 있었다. 연못 가운데는 적은 섬을 만들어 ‘영송루’라는 정자를 세우고, 그곳으로 교각을 세워 무진정으로 오를 수 있도록 조성하였다.



연못에 걸린 다리를 지나, 잠시 ‘영송루(迎送樓)’를 돌아본다. 말 그대로라면 이곳에서 사람을 맞이하고 보냈다는 뜻이다. 또한 달밤에 휘영청 떠오르는 달을 맞이하고 보내기도 했을 것이다. 그러한 영송루를 지나 커다란 고목을 끼고, 돌아 오르는 다리를 마저 건넌다.

‘정말 절경이다’ 감탄이 절로 나와

무진정을 오르는 계단에는 커다란 바위가 하나 버티고 있다. 예전에야 상당한 운치가 있었을 것이다. 오르는 계단 주위로는, 푸른 대가 아직은 찬바람을 맞아 잎이 부딪쳐 바스락거린다. 작은 일각문 하나가 손을 맞이한다. ‘동정문(動靜門)’이라 편액이 걸려있다. 움직임과 고요함이 있는 문이란다.




마치 선 문답을 하듯 한참이나 속으로 그 뜻을 되뇌어 본다. 무슨 뜻으로 이런 일각문을 달아놓았을까? 정면 세 칸 측면 두 칸의 무진정은 건물로 팔작지붕이다. 앞에서 보니 정자 가운데에 방을 드렸는데, 온돌방이 아닌 마루방이다. 주변에는 모두 누마루를 깔고, 정면을 뺀 삼면에는 창호를 달아냈다.

무진정이 아름다운 것은 바로 이 창호들이다. 삼면의 창호를 모두 열어 위로 올려 달아놓게 되어있다. 어찌 이런 생각을 할 수가 있었을까? 바람이라도 세차게 불고 비라도 뿌리는 날이면, 문을 모두 닫아 앞으로 보이는 경치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하고, 날이 좋으면 모든 창호를 위로 열어. 바람을 맞이하도록 하였다.




선생의 심성을 그대로 닮은 정자

정자의 기둥 위에도 아무런 장식이나 조각물이 없다. 축대를 쌓은 돌도 장대석이 아닌 자연적인 돌을 이용하였다. 일반적인 정자들이 보이는 양반가의 냄새를 풍기지 않는다. 전체적으로 단순하고 소박한 조선 전기의 정자 형식을 갖추고 있다. 신발을 벗고 누마루로 올라본다. 조금은 찬바람이 볼을 간질인다.

그러고 보니 정자 가운데 있는 방의 문도 좌우 문을 위로 달아 놓게 되어있다. 참으로 대단한 운치를 지닌 정자라는 생각을 한다. 아마도 생전 선생의 마음이 모든 사람들을 편하게 하지를 않았을까? 그저 모든 일에 답답함이 없었을 것이란 생각을 한다. 돌아오는 길에 화두 하나를 들고 온다. ‘움직임과 고요함이 과연 무엇일꼬?’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