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품을 파는 문화재답사를 한지가 벌써 20년째다. 그동안 숱한 문화재를 보고 다녔지만, 아직도 너무 많은 곳을 찾아가야 한다는 생각에 늘 마음만 바쁘다. 일을 시작하고 보니, 요즈음은 시간이 더 빠른 듯하다. 문화재 답사를 하면서 가장 화가 나는 것은 꽁꽁 닫힌 문이다. 사람이 거주하고 있는 곳임에도 불구하고, 열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담장 밖에서 까치발을 딛고 보아야하기가 일쑤였다.


생활에 여유가 있는 것도 아니고, 시간이 남아도는 것도 아니다. 내가 아니라도 많은 사람들은 문화재 답사를 하고 글을 올린다. 그래서인지 이제는 그만 두고 싶다는 생각을 가끔은 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럴 수 없는 것은, 아마 타고난 역마살 때문일 것이다.



닫힌 문 앞에 메모지 하나


충북 단양군 가곡면 덕천리에 가면 중요민속자료 제145호인 조자형가옥이 있다. 어렵게 길을 물어 찾아간 곳은, 좁은 마을길로 들어서야만 한다. 집 앞에 도착하니 문이 닫혀있다. 오늘도 또 공을 치나보다 하고 돌아서려니, 대문 사이에 웬 쪽지 한 장이 보인다. 가서 읽어보다가 왈칵 눈물이라도 쏟을 것만 같다.


‘주인은 외출중입니다. 천천히 둘러보시고 안녕히 가십시오.’



세상에 이런 배려를 하는 문화재도 있다. 문을 밀쳐보니 열린다. 안으로 들어가니 곳곳마다 이곳은 어디입니다. 이곳은 무슨 용도로 쓰이는 곳입니다. 그런 안내문구가 붙어있다. 어떻게 이렇게 자상할 수가 있는 것일까? 남들은 문화재를 보호한다고 사람이 있어도 문도 열어주지 않는데, 주인이 없다는 안내와 함께 문을 열어 놓고 천천히 돌아보란다.


집 안으로 들어가니 모든 것이 깨끗하게 정리가 되어있다. 40평의 목조기와집은 조자형 가옥은 남향집이다. 집 앞으로는 남한강이 흐르고 뒤로는 산을 두르고 있는, 전형적인 배신임수의 형태를 띤 전형적인 민가이다. 집이 자연을 벗어나지 않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지어졌다. 주인의 심성을 닮아서인가 보다.

  



안채 대청마루와 안채 부엌의 까치구멍, 그라고 부엌 건너에 아랫방

1800년대 중부지방의 민가형태


이 집은 일제 때는 최씨가 살았고, 6,25 동란 후에는 박씨가 살았다고 한다. 1958년에는 조성락씨가 대대적인 수리를 하였으며, 1972년 현재의 주인인 조자형씨가 매입을 했다고 한다. 집의 전체적인 구조는 ㄱ 자형의 안채와 ㄴ 자형의 사랑차가 맞물려 튼 ㅁ 자 형으로 꾸며져 있다.


사랑채는 대문 쪽으로 사랑마루를 둔 조금은 색다른 형태로 꾸며졌으며, 사랑채의 안쪽은 행랑으로 삼았다. 사랑채와 대문을 두고 맞물린 곳은 광채로, 좁은 공간을 적절히 이용한 것이 특이하다. 중부지방의 전형적인 건물배치를 하고 있는 이 가옥은 부엌과 안방을 두고, 꺾인 부분에 대청마루와 건넌방을 두었다. 한 가지 특이한 점은 부엌 아래에 별도로 아랫방을 한 칸 더 두었다는 점이다.  





대문을 사이에 두고 광채와 사랑채가 접해있다(맨위) 뒤뜰도 말끔하게 정리를 했으며, 장독대와 예전에 사용하던 풍구가 보인다.

집을 한 바퀴 돌아보고 이것저것 사진을 찍었다. 예전에 사용하던 여물통이며 디딜방아, 그리고 풍구 등도 그대로 말끔하게 손질이 되어, 제자리에 놓여있다. 마치 연대를 거슬러 올라, 이런 것들을 사용할 당시 그대로인 것만 같다. 곳곳마다 붙어있는 안내문구가 정말로 사람을 기분좋게 만든다.


수많은 문화재를 답사하면서 다녔지만, 20년 만에 가장 기분 좋은 하루가 된 날이다. 이렇게 주인이 없어도 개방을 하고, 사람들을 받아들여도, 훼손이 없이 더 잘 보존이 될 수 있다는 모범을 보이는 것만 같다. 집을 다 둘러보고 나서는 부엌 문 앞에는 이런 글이 적혀 있었다.


‘방문해 주신 것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둘러보시고 문은 닫아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가시는 길 안전운행 하시고, 안녕히 가십시오.       


집 안 곳곳에 붙어있는 안내문구. 문화재 답사 20년 만에 가장 기분좋은 답사를 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