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목신리 7번지에 소재한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62호인 ‘용인목신리석조여래입상(龍仁木新里石造如來立像)’. 이 목신리 석조여래입상은 용인시 원삼면 목신리에 있는 화강암으로 만든 여래입상이다. 입상의 하반신이 땅에 묻혀 있을 뿐만 아니라, 마멸이 심해 정확한 원형을 파악하기 힘들다.

 

목신리 석조여래입상은 머리에는 넓고 큼직한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솟아 있으며, 얼굴은 마멸이 심해 원형을 알 수 없지만 본래는 원만한 인상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워낙 마멸이 심해 처음 조성했을 당시 형태는 아예 추정하기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화재들은 전국을 다니면서 답사를 하면서 수도 없이 만날 수가 있다.

 

고려시대 이전의 석조불상으로 추정해

 

이 목신리 석조여래입상의 법의는 통견으로 양 어깨에 두껍게 걸치고 있는 형태이다. 어깨 부분에서 굵은 옷 주름이 보이고, 가슴에는 U자형의 옷 주름을 표현하였다. 오른손은 가슴에서 엄지와 검지손가락을 맞댄 형태이고, 왼손은 아래로 내려 손바닥을 밖으로 향하고 있는 시무외여원인의 모습이다.

 

자세히는 알 수 없으나 전체적인 석조여래입상의 형태로 보면, 옷 주름이나 신체 표현에서 유연성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고식적인 법의의 형태인 통견이나 손의 형태가 시무외여원인을 결한 것으로 보아, 이 석조여래입상은 제작시기가 고려시대 이전으로 올라갈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 소중한 문화재 지금부터라도 제대로 간수해야

 

찬찬히 살펴보아야만 그 형태를 그나마 추정이라도 알 수 있는 목신리 석조여래입상. 아랫부분은 땅 속에 묻혀있어, 제대로 된 모습을 보기는 어렵다. 하지만 찬찬히 뜯어보면 눈과 코는 식별이 불가능하지만, 목까지 길게 내려온 귀나 도톰한 입술 등으로 볼 때 상당히 인자한 표정이었을 것이란 생각이다.

 

손과 발, 주름 등도 확연히 나타나지는 않는다. 하지만 깊게 파인 옷 주름 등으로 볼 때, 조성 당시에는 꽤나 걸작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수많은 문화재들이 이렇게 비바람, 혹은 막무가내 식인 훼손에 의해서 사라졌다. 자신들의 소중한 문화유산인 문화재조차 제대로 지켜내지 못한 안타까운 현실에 고개를 들 수가 없다.

 

언잰가 전라남도 구례군에서 문화재 답사를 하고 있을 때, 어린 학생에게서 참으로 충격적인 발언을 들었다. 구례 화엄사에의 문화재를 열심히 촬영을 하고 있는데, 중학생 정도로 보이는 항생 하나가 말을 건넨다.

 

“선생님 이 문화재는 언제 적 거예요?”

"신라시대에 연기조사가 조성을 했다고 전해지지“

 

낯 뜨거운 일화, 지금도 부끄럽다.

 

당시 화엄사 각황전 뒤편에 있는 ‘효대’를 열심히 촬영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사사자 삼층석탑이 있는 곳을 효대라고 부르는 이유는, 어머니에게 고마움을 표현하기 위한 연기조사의 사사자 삼층석탑으로 인해 효를 상징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국보 제35호인 이 사사자 삼층석탑은 신라 진흥왕 5년인 544년에 연기조사가 화엄사에 조성한 것으로, 탑 안에는 부처님의 진신사리 72과를 봉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신라 때 문화재도 이렇게 보존이 잘 되어있는데, 왜 조선시대에 조상한 불상이나 탑들을 보면 다 부수어지고, 심지어는 머리가 없는 불상들이 그렇게 많아요? 누가 그런 짓을 했는지는 모르지만, 문화국민이라고 말로는 떠들면서 정말 무책임한 어른들이네요.”

 

중학생 정도인 아이의 입에서 나온 이야기에 난 쥐구멍이라도 들어가고 싶은 심정이었다. 물론 성인이라면 역사적인 사건이나 종교적 이야기 등, 할 말이 많았겠지만 이 어른 아이에게 무슨 설명을 어떻게 할 수가 있을까? 그저 얼굴만 벌게진 채 말을 이을 수가 없다. 그때처럼 낯 뜨거운 일은 없었던 듯하다.

 

하기야 백번 천번 그 아이의 말이 맞다. 우리는 우리 것조차 제대로 지켜내지 못하고, 말로는 문화민족이라고 참 쉽게도 표현을 한다. 도대체 무엇이 문화민족이라는 것일까? 담당자가, 국민이, 그리도 책임 있게 보존을 해야 할 사람들이, 그 소중한 문화재를 올바로 지켜내지 못한 것이다.

 

그 뒤로 정말 최선을 다해 문화재를 답사하고, 글을 썼다. 그 이상은 부끄러운 선대로 아이들에게 남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사실 후손들에게 모두 부끄러운 조상들이다. 우리 것 하나 제대로 지켜내지 못하고 있으니 말이다.

“혹시 굿 보신 적 있으세요?”

 

이런 질문을 하면 대답은 두세 가지로 구분이 되어 나온다. 그 첫째는 “굿 좋죠. 우리 굿이야말로 정말 축제죠”라는 대답이다. 이런 대답을 하는 사람들은 대개가 그래도 우리 문화나 정체성에 대해서 조금은 인식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굿 TV에서 가끔은 보았는데, 무섭기도 하고요” 이런 대답을 하는 사람들은 한 마디로 무관심한 사람들이다.

 

그리고 또 한 가지의 사람들이 있다. “굿 그거요 미신이고 귀신들이 장난질 하는 것이잖아요” 라는 대답을 하는 부류이다. 이런 사람들은 난 종교적 사대주의자라고 표현을 한다. 한 마디로 굿이 무엇인지 그 어원조차 모르고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이란 것이다. 여기서 어떤 특정 종교를 거론하는 것이 아니다. 굿은 아주 오래 선사시대부터 우리 민족의 정신적인 지주였고, 그 굿을 통해 우리는 감사하는 방법을 터득했다.

 

 

먼 뜬금없이 굿 이야길 하자고

 

굿 이야길 하자고 하면 아마 삼년 열흘을 해도 모자랄 판이다. 그만큼 한 때 우리 굿에 미쳐 살았다. 오늘 뜬금없이 굿 이야길 하자는 것이 아니다. 누군가 굿판에서 나에게 이런 질문을 했다.

 

“도대체 저 사슬세우기는 왜 하는 것인지 모르겠어요?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바로 그 특별한 이야기를 하자는 것이다. 굿판을 혹 한번이라도 본 사람이 있다면, 굿을 하는 도중에 통돼지나 족발, 혹은 소머리 등을 월두나 삼지창 등에 끼워 세우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그것이 바로 ‘사슬세우기’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떡시루 등을 걸어서 세우기도 한다. 이 사슬이 잘 서야 그 굿을 신령들이 잘 받았다고 흔히 이야기들을 한다.

 

그런데 사슬세우기는 두 가지가 있다. 이런 굿판에 진열되었던 돼지나 떡시루 등을 세우는 사슬세우기가 있고, 또 하나는 물동이 위에 무당이 직접 올라서서 뛰는 ‘용사슬 세우기’가 있다. 용사슬이란 물동이 안에 물이 있다는 뜻일 것이다.

 

 

'사슬'은 신과 인간을 연결하는 고리

 

'사슬을 세운다' 는 것은 무의식에서는 상당히 중요한 행위를 말한다. 대감이나 장군, 혹은 별상이나 신장 등에서 사슬을 세우는데, 사슬을 세우는 것은 단순히 중심을 잡는 것이 아니다. 그 안에는 상당히 깊은 뜻을 내재하고 있다. 무의식에서 ‘사슬’이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사슬' 이란 고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우리는 흔히 생태계 등에서도 '먹이사슬' 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먹이고리’를 말하는 것이다. 무의식에서 나타나는 사슬이란 의미도 이런 고리로 연결이 된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가 있다. 즉 창이나 삼지창 등을 자루를 밑으로 하고, 위에 소머리나 돼지머리 우족이나 통돼지 등을 올려 중심을 잡는 행위이다.

 

이것은 두개의 연결고리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사슬을 세우는 것은, 하늘과 땅, 신과 인간의 연결을 하는 의미로 볼 수 있다. 그 안에 신에게 올리는 제물을 드리는 것이다. 하기에 이 사슬이 잘 서야 신령이 감응을 했다는 말은 틀린 말이 아니다. 바로 그런 신과 인간을 연결하는 고리가 사슬인 것이다.

 

무격이 직접 고리가 되는 용사슬

 

무당들이 자신이 모시는 신령들을 위하는 굿인 맞이굿 등을 할 때나, 내림굿 등을 할 때는 항아리에 물을 담고 그 위를 한지로 덮어놓는다. 이 위에 오르는 것을 ‘용사슬’이라고 한다. 흔히 ‘용사슬 세운다’ 혹은 ‘용사슬 탄다’고 하는데 이것은 어떤 의미일까? 이것 역시 사슬과 다름이 없다.

 

일반적인 사슬은 제물로 대신하지만, 용사슬은 무당 자신이 직접 제물이 되는 것이다. 즉 신과 인간의 연결고리인 사슬을 자신이 직접 세움으로써, 자신이 주제자(主祭者)의 위치에 서게 되는 것이다. 사슬이란 단순히 중심을 잡는 것이 아니라, 무의식에서 중요한 뜻을 가진 하나의 신성한 의식이 된다.

 

‘굿은 미신이다’라는 일제의 허망한 이야기가, 아직도 공공연히 종교적 폄하로 사용이 되고 있다는 것이 참 안타깝기만 하다. 굿을 제대로 이해를 하려고도 하지 않는 사람들과, 그 굿을 이용해 정말로 혹세무민을 하는 사람들. 이제 제발 이런 마음 아픈 이야기들은 들리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온전한 사슬이 서야 나라가 평안하다는.

사람이 세상을 살다가보면 이런 이야기 저런 이야기 참 많이도 듣게 된다. 그 중에 하나는 남녀사이의 이야기가 사람들의 흥미를 유발하는데는 최고인 듯하다. TV에서 방송되는 남의 집 가정사 역시 정상적인 이야기보다는, 불륜이나 정상적이지 못한 것들이 더 시청률이 높다는 것은 아마도 점점 사람들 스스로가 속물이 되어가고 있다는 것을 뜻하는가 보다.

아마 혹자는 그런 드라마를 보면서 그 주인공이 자신이기를 바라는 바보 같은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아니면 스스로가 그런 것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거나, 은연 중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드라마 주인공처럼 불륜을 저지르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그것이 자신을 억압하고 있는 틀에서 벗어난다고 미련한 생각을 하겠지만, 그 끝은 언제나 파멸이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알고는 있는 것인지.

이 곳에 올린 사진은 기사의 내용과 절대 무관합니다.

택시 기사가 들려 준 충격적인 이야기.

그야말로 영화 속 이야기인 줄 알았다. 그러나 그 일이 실제 한 지역에서 일어난 이야기라니. N시에 가면 개울 가에 두 채의 같은 숙박업소가 나란히 서 있는 것이 보인다. 이상한 것이 없는 법이다. 어딜 가나 요즈음은 쌍둥이 모텔이라는 업자들이 지은 모텔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모텔들은 외형적으로 같은 모습을 하고 나란히 서 있어, 흔히 쌍둥이 모텔로 불린다.
 
그런데 이 N시에 있는 숙박업소는 남다른 사연을 갖고 있다. 택시를 타고 그 앞을 지나가는데 기사분이 이야기를 한다.

"손님 저 두개 숙박업소가 나란히 서 있는 것 보이세요?"
"예, 왜요?"
"저 숙박업소에 대한 이야기 들어보셨어요?"
"아뇨. 무슨 좋은 이야기 있나요?"
"좋은 이야기가 아니라 황당한 이야기죠. 영화 속에서나 나올만한"

그런 이야길 들으면 갑자기 궁금해진다. 블로그를 하면서 참 이상한 버릇 하나가 생겼다. 바로 무슨 이야기를 들으면 그냥 넘어가질 못한다는 것이다. 끝까지 그 내용을 알아야만 한다. 글을 써야하니까. 이것이 좋은 버릇인지는 모르겠다. 어쩌면 상대방을 피곤하게 할 수도 있으니 말이다.  

이 곳에 올린 사진은 기사의 내용과 절대 무관합니다.

한 자매가 한 남자와 살다니. 세상에 이런 일이

"도대체 무슨 일인데요?"
"저 두 개가 나란히 서 있는 숙박업소의 주인이 친 자매예요"
"그게 이상한 일은 아니잖아요"
그런데 저 두 자매가 한 남자하고 살았다는 것이죠"
"한 남자하고 살다뇨?"

이해가 가질 않는다. 도대체 무슨 이야기인가? 한 남자하고 살았다면, 아버지나 그런 친족관계가 아닐까를 먼저 생각한다. 하기야 그렇다면 이 기사분이 이야길 꺼내지도 않았을 것이다.

" 친 자매가 한 남자를 남편으로 삼아 살았어요. 그래서 저렇게 나란히 숙박업소를 지어서 자매에게 하나씩 준거죠"
"설마요"
"정말이라니까요. 친 자매를 데리고 산 남자도 그렇고. 친 자매가 한 남자를 남편으로 삼아서 산 것도 그렇고. 정말 영화 속에서나 있는 일이죠"

정말 무엇이라고 이야기를 해야할 지 모르겠다. 남자분은 한 때는 이곳에서 상당히 많은 재산을 축적한 분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그 속사정을 차마 물어볼 수는 없는 일이다. 그 나름대로 피치못할 사연이 있을 테니까? 그런데도 우리나라의 정서에서는 그런 일이 일어났다는 것 하나만으로도 대단한 이야기꺼리 임에는 틀림이 없다.  

이 곳에 올린 사진은 기사의 내용과 절대 무관합니다.

세상에는 별별 일이 다 있게 마련이다. 우리가 다 듣지를 못하고 보지를 못해서 그렇지. 남녀사이라는 것이 어디 그리 만만하게 이야길 할 수 있는 일인든가? 다시 한 번 그 쌍둥이 숙박업소를 돌아보게 된다. 그 사람들 사이에는 우리가 모르는 많은 고통이 있지나 않았을까? 참 많은 이야길 듣고사는 세상이라지만, 이런 이야기는 소설 속이나 영화 속에서나 있는 이야기인줄로만 알았는데. 

이런 이야길 들으면 예전에 듣던 이야기가 생각이 난다. 한 남자와 두 여자가 한 집에 살았다는. 그런데 그런 일이야 우리 사회에서는 비일비재한 일이 아니든가. 일부러 자손을 두기 위해 시앗을 두는 일도 많았으니 말이다. 하지만 이렇게 자매가 한 남자를 남편으로 섬기고 살았다는 이야기를 들으니, 정말 황당하단 생각 밖에는 들지가 않는다.

하지만 이젠 나이들이 먹었을 그분들도 편하나 살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무슨 사연으로 그리 되었는가는 '잘 모르겠다'는 대답이다. 아마도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특별한 사연이 있었을 테지. 이야길 듣다가 그 끝을 듣지 못하면 괜한 궁금증만 커지는 것을. 그러나 그 나름대로의 아픔이 있었을 것을 생각하면, 더 이상은 물을 수가 없다. 참 11월의 날씨 한 번 쌀쌀하다. 곧 눈이 내리려나?  

(알림) 어느 분이 문화재를 찾아야 하는데 어디 쳐박힌 줄을 모르겠다고 말씀을 하시길래
이틀을 꼬박 새워 세분으로 하였습니다. 작게 쪼개 분류를 하다보니 참 많이도 돌아다녔다는 생각이....
찾아보기가 조금은 수월해졌을 것 같습니다. 서비스 차원에서 이틀을 꼬박 새웠다는^^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