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가평군 하면 하판리의 현등사는 운악산(해발 935m) 산등성이에 위치한 신라시대의 고찰이다. 신라 법흥왕 27년인 540년에 인도에서 불법을 전하기 위해 건너온 마라가미 스님을 위해 왕이 지어준 사찰로, 오랫동안 폐사 되었다가 신라 효공왕 2년에 도선국사가 다시 중창하였다.

 

현등사는 창건 이래 많은 중창을 하였다. 신라 말 효공왕 2년인 898년 도선국사가 한양을 도읍으로 정하고 동쪽의 지세가 약해 이를 보강하기 위해 운악산을 돌아보던 중 옛 절터가 있는 것을 보고 이곳에 절을 지었다고 한다. 두 번째 중창은 고려 회종 6년인 1210년 보조국사 지눌이 운악산 중턱에서 불빛이 비쳐 이곳을 찾아오니 석등과 마륵바위에서 불빛이 비치는 것을 보고 현등사라 이름 하였다고 한다.

 

 

그 후 조선 태종 11년인 1411년 함허득통화상이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현등사 경내에는 1619년 봉선사에서 조성한 보물 제1793호인 현등사 동종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3호인 삼층석탑, 183호인 목조아미타좌상, 184호 청동지장보살좌상 등 12점의 문화재가 전해지고 있다.

 

2km를 걷는 길 겨울경치도 아름다워

 

날이 차다. 입구에서 현등사까지의 거리는 2km 남짓. 하지만 주변 경관을 들러보고 가노라면 언제 다 왔는지 일주문이 보인다. 운악산 현등사라고 현판을 단 일주문을 지나면 계단을 오르는 초입에 불이문이 서 있다. 불이문 한 옆 커다란 바위위에는 수많은 사람들의 기원을 담은 작은 돌들이 빼곡히 쌓여있다.

 

 

천천히 계단을 오른다. 바쁜 일이라고는 없지 않은가? 그저 오늘은 세상 시름 이곳에 다 버리고 훌훌 털고 가야겠다는 생각이다. 조금은 안쓰럽게도 보이지만, 그래도 온갖 세월의 풍상을 다 이겨낸 지진탑이 보인다. 잠시 걸음을 멈추고 그 앞에 머리를 숙인다. 그 탑이 대단해서가 아니라, 오래 전 그 탑을 조성한 장인에게 죄스런 마음 때문이다. 제대로 지켜내지 못했음에 대한 미안함 때문에.

 

경내로 들어서는 입구에 삼층석탑이 보인다. 이 탑은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했다고 한다. 하지만 도굴을 당한 것을 2006년 삼성문화재단으로부터 되돌려 받아, 다시 제 자리에 모셨다고 하니 탑이 더 빛을 발하는 듯하다.

 

응진전 앞에서 걸음을 멈추다

 

절이라는 곳이 명소 아닌 곳이 어디 있겠는가? 곳곳의 전각마다 부처가 아니 계신 곳이 어디 있겠는가? 하지만 나에게 가장 눈에 띤 것은 바로 커다란 소나무 밑에 한 칸으로 조성을 한 응진전이었다. 그 모습이 왜 그리 눈물겨웠을까? 아마도 그 안에 들어가 머리를 조아려 절을 하고 있는 저 보살도 나와 같은 생각이 아니었을까?

 

 

전국에 산재한 수많은 고찰들을 찾아다니다가 보니, 이제는 그 분위기만 보아도 대충은 그 절의 세를 가늠할 수 있게 되었다. 웅장하고 사람이 많다고 해서 좋은 절일까? 아니면 일 년의 수입이 많다고 해서 좋은 절일까? 물론 요즈음같은 물질만능시대에 그런 것으로 절의 가치를 정하는 사람도 적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런 절에서 고승들이 득도를 했을까? 왜 역사에 남을만한 고승들은 모두 사람의 발길이 미치지 못하는 깊은 산속으로 숨어들었을까? 인간의 오욕이 보이지 않는 곳을 찾아 부처의 참 마음을 깨우치기 위해서는 아니었을까? 현등사 경내를 돌아보면서 온갖 질문을 하고 그 해답을 얻으려고 애를 써본다.

 

하지만 무슨 소용이 있으랴. 이미 내 마음과 몸이 속세의 찌들어있는데. 그저 바람 한 점이 불어 내 몸에 묻은 속세의 먼지를 훌훌 털고 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눈은 녹았지만 찬바람은 그대로인 한 겨울의 현등사. 그곳에서 난 잠시 동안이나마 속세를 떠나 자유로운 영혼이 되어본다.

가슴까지 서늘하게 만들 만한 맑은 물이 암반 위로 흐른다. 물은 그렇게 돌바닥 위를 흐르면서 소리를 낸다. 마치 바닥의 암반이 차서, 얼른 피해가려는 듯 내리 구른다. 전남 곡성군 곡성읍 월봉리에 소재하고 있는 도림사 앞으로 흐르는 계곡. 도림사 계곡은 해발 735m의 동악산 남쪽 골짜기를 흘러내리는 물줄기이다.

‘월봉계곡’이라고도 부르는 도림사 계곡은 동악계곡, 성출계곡과 더불어, 아홉 구비마다 펼쳐진 넓은 바위 위로 맑은 물줄기가 흐르면서 아름다운 정경을 연출한다. 마치 비단을 펼쳐놓은 듯하다는 도림사 계곡. 전라남도 기념물 제101호로 지정이 된 도림사 계곡은, 일 년 내내 물줄기가 그치는 않는 아름다운 계곡이다.



시인묵객들이 찾던 발길의 흔적

맑은 물은 쉴 새 없이 흘러 하류로 내려간다. 주변에는 늙은 노송들과 크고 작은 이름 없는 무명의 폭포들이 널려있다. 그저 바라다 만 보아도 좋다. 세세연년 이곳의 아름다운 경치를 찾아왔던 수많은 시인묵객들. 풍류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던 도림사 계곡은, 그들이 남기고 간 흔적이 여기저기 널려있다.



길이 1km 정도를 흐르는 도림사 계곡. 9개의 넓은 바위에는 선현들이 새겨 놓은 문구가 남아있어, 당시의 풍류를 느낄 수가 있다. 계곡 정상부근에는 신선이 쉬어간다고 전하는 높이 4m, 넓이 30평에 달하는 신선바위가 남아 있다고 한다. 흐르는 물줄기를 아래로 굽어보고 있는 ‘단심송(丹心松)’ 한 그루가 외롭게 보인다. 그러나 그 외로움이 느껴지지 않는 것은, 바로 암반 위를 흐르는 맑은 계곡물 소리 때문이다.



신라 무열왕 7년에 창건한 도림사에 오르다.

도림사는 신라 무열왕 7년인 660년에 원효대사가 창건을 한 절이다. 원효대사가 이곳에 절터를 잡을 때, 풍악소리가 온 산에 진동을 해 산 이름을 ‘동악’이라고 했다고 전한다. 그리고 도인들이 원효대사가 지은 절로 구름떼처럼 모여들었기에, 절 이름을 ‘도림사(道林寺)’로 지었다는 것이다.

원효대사가 창건한 도림사는, 한강왕 2년인 876년에는 도선국사가 중창을 하였으며, 고려 때는 지환스님이, 1633년에는 영오선사 등이 중창에 참여를 했다. 도림사 경내로 발을 옮긴다. 일각문을 들어서니 넓지 않은 경내에 전각들이 오밀조밀하다. 보제루와 오도문을 지나면 보광전, 응진전, 명부전, 칠성각, 궁현당, 정현당, 설선당, 종각 등이 있다.



수석의 경치가 삼남제일이라는 곳

도림사의 중심 전각인 보광전을 오르는 계단 좌측에는 연리지가 있다. ‘사랑나무’라고 부르는 연리지는, 두 나무의 가지가 서로 합해지는 것을 말한다. 연리지는 양귀비 사후 50년이 지난 806년, ‘백거이’의 장한가에 인용이 되면서 남녀 간의 변함없는 사랑의 상징이 되었다. ‘칠월 칠일 장생전에서 깊은 밤 두 사람은 은밀한 약속을 하는데, 우리가 다시 하늘에서 만나면 비익조가 되고, 이승에서 만나면 연리지가 되세’ 라는 대목이다.



도림사를 돌아 나오면 다시 계곡의 물소리와 만난다. 들어갈 때와는 사뭇 다른 소리가 들린다. ‘수석(水石)의 풍경이 삼남에서 제일’이라고 하는 도림사 계곡이다. 그저 어딜 보아도 신선들이 유유자적 걸음을 옮길만한 경치이다. 8월 21일에 찾아간 곡성 도림사와 계곡. 더럽고 추한 사바세계가 아닌, 신선들이 살아가는 선경이 그곳에 있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