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8일 아침부터 부산하게 준비를 하고 난 후 트럭에 대형 솥을 싣고 전주에 있눈 전주초등학교로 항했다. 전날 미리 눌러놓은 밀가루며 면을 삶아 낼 대형 솥 등을 차에 싣고 떠난 것은, 학교 급식소가 수리를 하기 때문이다. 도착하자 마자 준비를 하는데 이런 전기가 들어오질 않는다. 겨우 안으로 옮겨 면을 뽑기 시작한다. 땀을 흘리며 면을 뽑고보니 이번에는 영 가마솥에 물이 끓을 기미가 보이지를 않는다.

준비를 하는 사람들이나. 기다리고 있는 전주 중앙동장님과 전주초등학교 교감선생님이나 애가 타기는 마찬가지 겨우 면을 끓여 1학년 부터 배식을 시작한다. 처음으로 찾는 초등학교이기 때문에 이래저래 신경이 많이 쓰인다.

 


면을 뽑고 배식 준비를 마친 봉사단과 중앙동 직원들이 학생들을 기다리고 있다.

1학년 어린이들 부터 '스님짜장'을 맛보러 온다. 어린 꼬마들이 식판을 손에 들고 다가와 짜장을 받아들고
"고맙습니다"라고 한다. 아마도 그 말 한 마디를 듣기 위해 이렇게 땀을 흘리고 있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아이들은 식판에 짜장을 받아 이층 식탁이 있는 곳으로 올라간다. 나란히 줄을 지어 먹고 있는 아이들에게 

"맛있어요?"
"예, 그런데 왜 고기가 없어요?"
"스님이 만든 짜장이라 고기를 넣지 않았어요"
"왜 스님은 고기를 먹지 않아요?"
"....."


어린이들 다운 질문이다. 하지만 어떻게 대답을 해야할까. 무엇이라고 대답을 해야할지 모르겠다.

"스님들은 원래 고기를 먹지 않아요. 그래서 콩고기를 넣었어요"
"우리들은 스님이 아니라서 고기 먹어도 되는데요"
"아 그렇구나 그걸 몰랐네"



녀석들이 진땀을 빼게 만든다. 한 녀석이 질문을 하면 여러 녀석들이 동시에 질문을 퍼 붓는다. 이럴 때는 빨리 그 자리를 피하는 것이 상책. 밑으로 내려와보니 고학년 학생들이 줄을 지어 서 있다. 300여명의 어린이들에게 처음으로 만들어 준 '스님짜장'.

아마도 애를 탄만큼 더 값진 봉사는 아니었을까? 배식을 다 마치고 난 후, 한 그릇 푸짐하게 비벼 먹으면서 생각을 하고 혼자 키들거린다.

'정말, 고기를 넣으면 더 맛있을 것도 같다'

중국의 소주시는 비단장수들이 집단으로 기거를 하던 곳이다. 전주시 완산구 중앙동과 다가동이 만나는 길목에는 ‘소주가(蘇州街)’가 있다. 이 거리는 100여 년 전에 소주 상해 등에 살던 벽돌공들이 전주에 있는 성당을 신축하기 위해, 100여명이 이주를 해오면서 생긴 거리이다.

지금은 몇 집 남지 않았으나 이곳에 정착한 중국인들은 소주의 유명한 포목점을 이곳으로 옮겨 개설을 했다. 지금도 4대째 포목점을 하던 집이 그대로 보존이 되어있을 정도로, 중국인 거리는 유명했다. 아직도 화교소학교가 자리하고 있는 곳이지만, 정작 남아있는 중국인은 많지가 않다.


소주시 인민정부가 세운 문

이 중국인거리라는 곳의 입구에는 커다란 문이 있다. 우리의 건축물과는 다른 중국풍의 문이 서 있다. 처마는 하늘을 향해 날아오를 듯 위로 치켜져 있고, 양편에 용은 물고기 형상에 가깝게 조각이 되었다. 용마름의 끝에는 원숭이 인 듯한 작은 동물이 있으며, 조각은 복잡하단 생각이다. 우리의 건축물보다 더 복잡하게 느껴지는 문 하나. 현판에는 ‘소주가’라고 쓰여 있다. 소주에서 성당에 쓰일 벽돌을 만들기 위해 온 사람들이 집단으로 모여 살던 거리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을 붙였다.

문을 들러보다가 한편 기둥아래 글씨가 보인다. <소주시인민정부 증. 공원 2002년 5월>이라고 적혀있다. 이 문을 소주의 인민정부가 이곳에 세운 것이다, 그래서 중국풍의 이러한 문을 세우고, 이 일대를 ‘차이나거리’라고 이름을 붙였나보다. 차이나거리에는 현재 중국인들이 몇 집이 살고 있다고 한다. 100여 년 전에 이곳에 정착을 한 소주 벽돌공들의 4대 후손들이다.



우리와는 다른 건축물의 지붕과 용의 모습. 그리고 소주인민정부가 기증을 했음을 알리는 글귀

한 때 이곳은 중국인들이 거리에 넘쳤다고 한다. 먼 이국으로 벽돌을 찍으러 온 소주사람들이 가족과 동행을 했고, 이들은 이곳에 보금자리를 틀었을 것이다. 이들 100여명이 왔다고 하면 그 때 생긴 중국인들의 집이 백여 집에 이르렀을 테고, 그 사람들을 상대로 한 식품점이며 포목상 등 많은 상점들이 따라 들어섰을 것이다. 이런 소주가를 중국인거리로 명명을 하였다.

전주시에서는 이 거리를 2003년 3월 21일 중화인민공화국 소주시와 자매결연을 한 기념으로 ‘차이나거리’로 명명을 하였다. 소주가의 문이 세워진 뒤 일년 후의 일이다. 소주가에는 중국풍의 가로등을 세웠고 바닥의 마감재를 화강암으로 하였는데, 움직이는 용을 형상화 하였다고 한다.



100여 년 전에 집단으로 이주 한 중국인들이 모여살 던 차이나거리

이 소주가가 끝나는 곳에 다가동우체국이 있고, 그 옆에는 보건소가 있다. 그런데 그 앞쪽에 작은 석비 하나가 눈에 띤다. ‘약전거리’라는 것이다. 이 길이 예전 약전거리였다는 것을 적고 있다. 조선조 효종 2년인 1651년에 시작하여 1943년까지 약 300년 동안 진주, 청주, 대구, 공주와 더불어 5대 약령시 중 한 곳이었다.

중국인거리와 약전거리를 끼고 있는 소주가. 소주시인민정부가 기증을 한 이 낯선 문에 대해서 사람들은 관심조차 없는 듯하다. 그저 이곳이 예전 성당을 짓기 위해 먼 이국땅으로 옮겨 온 소주벽돌공들의 애환이 담겨있는 거리라는 것이나 알고 있으려는지. 이 문 하나에 얽힌 수많은 이야기들은 그렇게 차량의 소음 속으로 묻혀버리고 만다.


소주가와 맞물려 있는 약전거리와 이곳이 있는 한의원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