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소주시는 비단장수들이 집단으로 기거를 하던 곳이다. 전주시 완산구 중앙동과 다가동이 만나는 길목에는 ‘소주가(蘇州街)’가 있다. 이 거리는 100여 년 전에 소주 상해 등에 살던 벽돌공들이 전주에 있는 성당을 신축하기 위해, 100여명이 이주를 해오면서 생긴 거리이다.

지금은 몇 집 남지 않았으나 이곳에 정착한 중국인들은 소주의 유명한 포목점을 이곳으로 옮겨 개설을 했다. 지금도 4대째 포목점을 하던 집이 그대로 보존이 되어있을 정도로, 중국인 거리는 유명했다. 아직도 화교소학교가 자리하고 있는 곳이지만, 정작 남아있는 중국인은 많지가 않다.


소주시 인민정부가 세운 문

이 중국인거리라는 곳의 입구에는 커다란 문이 있다. 우리의 건축물과는 다른 중국풍의 문이 서 있다. 처마는 하늘을 향해 날아오를 듯 위로 치켜져 있고, 양편에 용은 물고기 형상에 가깝게 조각이 되었다. 용마름의 끝에는 원숭이 인 듯한 작은 동물이 있으며, 조각은 복잡하단 생각이다. 우리의 건축물보다 더 복잡하게 느껴지는 문 하나. 현판에는 ‘소주가’라고 쓰여 있다. 소주에서 성당에 쓰일 벽돌을 만들기 위해 온 사람들이 집단으로 모여 살던 거리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을 붙였다.

문을 들러보다가 한편 기둥아래 글씨가 보인다. <소주시인민정부 증. 공원 2002년 5월>이라고 적혀있다. 이 문을 소주의 인민정부가 이곳에 세운 것이다, 그래서 중국풍의 이러한 문을 세우고, 이 일대를 ‘차이나거리’라고 이름을 붙였나보다. 차이나거리에는 현재 중국인들이 몇 집이 살고 있다고 한다. 100여 년 전에 이곳에 정착을 한 소주 벽돌공들의 4대 후손들이다.



우리와는 다른 건축물의 지붕과 용의 모습. 그리고 소주인민정부가 기증을 했음을 알리는 글귀

한 때 이곳은 중국인들이 거리에 넘쳤다고 한다. 먼 이국으로 벽돌을 찍으러 온 소주사람들이 가족과 동행을 했고, 이들은 이곳에 보금자리를 틀었을 것이다. 이들 100여명이 왔다고 하면 그 때 생긴 중국인들의 집이 백여 집에 이르렀을 테고, 그 사람들을 상대로 한 식품점이며 포목상 등 많은 상점들이 따라 들어섰을 것이다. 이런 소주가를 중국인거리로 명명을 하였다.

전주시에서는 이 거리를 2003년 3월 21일 중화인민공화국 소주시와 자매결연을 한 기념으로 ‘차이나거리’로 명명을 하였다. 소주가의 문이 세워진 뒤 일년 후의 일이다. 소주가에는 중국풍의 가로등을 세웠고 바닥의 마감재를 화강암으로 하였는데, 움직이는 용을 형상화 하였다고 한다.



100여 년 전에 집단으로 이주 한 중국인들이 모여살 던 차이나거리

이 소주가가 끝나는 곳에 다가동우체국이 있고, 그 옆에는 보건소가 있다. 그런데 그 앞쪽에 작은 석비 하나가 눈에 띤다. ‘약전거리’라는 것이다. 이 길이 예전 약전거리였다는 것을 적고 있다. 조선조 효종 2년인 1651년에 시작하여 1943년까지 약 300년 동안 진주, 청주, 대구, 공주와 더불어 5대 약령시 중 한 곳이었다.

중국인거리와 약전거리를 끼고 있는 소주가. 소주시인민정부가 기증을 한 이 낯선 문에 대해서 사람들은 관심조차 없는 듯하다. 그저 이곳이 예전 성당을 짓기 위해 먼 이국땅으로 옮겨 온 소주벽돌공들의 애환이 담겨있는 거리라는 것이나 알고 있으려는지. 이 문 하나에 얽힌 수많은 이야기들은 그렇게 차량의 소음 속으로 묻혀버리고 만다.


소주가와 맞물려 있는 약전거리와 이곳이 있는 한의원들 


일반적으로 탱자나무의 키는 보통 3m 정도 자란다. 탱자나무는 줄기와 가지 곳곳에 커다랗고 뾰족한 가시들이 달려 있다. 이 가시는 단단해 촘촘히 심으면 아무도 근처에 얼씬을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남쪽 지방에서는 탱자나무를 울타리용으로 많이 심고 있다. 탱지니무는 중국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 일부의 학자들은 한국에서도 자생해왔다고 주장하지만, 오래 전 중국에서 전해졌다는 견해가 많다.

문경시 산북면 대하리 460-6에 소재한 장수황씨 종택, 솟을대문 안으로 들어서면서 좌측으로 보면 탱자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이 탱자나무는 수령이 400년이 지난 것으로, 현재 경상북도 기념물 제135호이다.


황희정승의 후손이 심은 탱자나무

이 나무는 일반적인 탱지나무보다 생육이 좋다. 높이는 6m에 이르고, 나뭇가지는 동서로 10,8m, 남북으로는 11,2m나 되며 수관을 자랑하고 있다. 이 탱자나무는 사실은 두 그루이다. 마치 한 그루가 자라난 것 같지만 밑 부분을 보면 두 그루가 붙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나무의 수령이 400년이나 되었다고 보는 것은, 황희정승의 7세손인 칠봉 황시간(1558 ~ 1642)이 이곳에 터를 잡고 집을 지으면서 심었던 것으로 추정하기 때문이다.

나무를 돌아보니 밑 부분은 수술을 하였다. 강화 등지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탱자나무가 있기도 하지만, 전국을 돌아보아도 이렇게 생육이 좋은 나무는 찾아보기가 힘들다. 나무는 두 그루의 나무가 붙어 몇 개의 가지를 위로 뻗고 있다. 밑 부분은 많이 파여 수술을 했으나, 가지 등을 보면 아직도 건재하다.




탱자나무를 보면 마음 아픈 사연이

푸른 나뭇잎들이 달려있는 나무에는 열매도 보인다. 나무의 크기답게 긴 가시들이 사람을 위협을 한다. 이 나무를 보고 있노라니 가슴 아픈 기억이 새롭다. 예전 경상북도 영주시를 답사할 때인가 보다. 소수서원 건너편에 보면 금성단이 있다. 이 금성단을 지나 마을 안길로 들어가면, 금성대군이 위리안치를 당했던 곳이 나온다.

위리안치란 형벌 가운데서도 가장 두려운 형벌로 알려져 있다. 신체적인 고통은 그리 크지 않다고 하지만, 정신적인 고통은 그 어느 것보다도 크다는 것이다. 인가도 없는 들판에 구덩이를 파고 그 안에 사람을 가둔다. 구덩이는 돌로 둥그렇게 앃은 후 맨바닥이라, 사람이 재데로 앉아 있을 수도 없다. 물론 그 안에 갇힌 사람은 밖으로 나올 수가 없다. 그리고 주변을 바로 이 탱자나무로 두른다. 입구 한 편만 열어놓는데, 그곳은 병사들이 지키고 있다.




촘촘히 심어놓은 탱자나무는 틈이 없다. 나뭇가지를 벌린다고 해도, 그 가시들 때문에 손으로 잡기도 힘들다. 결국 사람도 없는 웅덩이 속에서 서서히 죽어가는 것이다. 탱자나무를 볼 때마다 금성대군이 갇혔던 위리안치지가 생각이 난다. 그 안에서 얼마나 몸부림을 쳤을까? 약재로 사용하는 탱자나무이지만,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그렇게 모진 나무가 될 수도 있다.

사람이나 식물이나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그 가치가 달라진다. 장수황씨 종택의 탱자나무는 사랑채와 사당 앞에 심겨져 아름다움을 자랑하고 있다. 같은 나무이면서도 어찌 전혀 다른 세상을 살고 있을까? 그것이 세상사는 것이라고 하지만, 이 탱자나무를 보면서 가슴이 아프다. 미처 몰랐다. 이 나무 하나가 주는 아픈 기억이 그리 오래 갈 줄은.

최신 댓글